인지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의 치료목표와 치료기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지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의 치료목표와 치료기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인지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의 치료목표와 치료기법

본문내용

E 모형
7.인지치료 이론의 한계점과 사회복지실천과 연관성
1) 인지치료의 한계점
①지적인 수준이 낮거나 현실감이 없는 클라이언트 혹은 사고가 지나치게 경직되어 잇는 클라이언트에게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②치료방법이 매우 지시적이고 교육적이므로 치료자의 가치와 철학을 클라이언트에게 강요할 수 있다.
③인지와 신념에 대한 강조는 자칫 사건 자체의 주요성을 간과할 수 있다.
④신체적인 질명이나 유전적인 영향에 까지 치료적 대상일 수 없다.
2)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①인지이론에서는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②인지이론에서는 인지는 현실을 해석하여 정서와 행동에 영향을 주는 매개요인으로 작용한다.
③매우 위축되고 박탈된 집단이 모든 문제를 자신의 탓으로 돌리며 사회적 영향을 고려하지 못할 경우, “자신들이 부족하고 잘못되어 문제가 일어난다”는 인지와 신념을 변화시키 권하부여 접근의 근거가 되었다는 점에서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 프로이드의 인간관

1. 人間을 합리적인 존재로 인식하던 당대의 지적 분위기에 저항해 인간을 意識의 領域 밖에 存在하는 非合理的이고 統制할 수 없는 無意識的 本能의 支配를 받는 受動的 存在로 보았다.
2. 人間本性에 대한 非合理的인 觀點과 生物學的인 決定論은 人間이 性格에 대한 不變性의 信念과 連結 되어 있다. 인간의 기본적인 성격구조는 만5세이전의 초기 아동기의 경험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성격구조는 성인이 되어도 변하지 않고 지속한다고 보면서 과거의 경험을 중시한다.
3. 個人의 快樂原則과 文明化된 社會 사이에는 많은 葛藤 存在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인간의 존재는 자신의 쾌락과 행복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사회에 지속적으로 대항하는 투쟁적 존재로 보며 사회를 개인활동의 산물로 보았다.


※행동주의 이론의 치료목표-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적용

1.전통적 행동주의 이론에서는새로운 학습환경을 구성하여 잘못 학습된 부적응적 행동을 제거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이나 기술을 학습하도록 내담자를 원조하는 데 치료 목적을 둔다.그러나 최근의 사회학습이론이나 인지적 행동치료에서는 자아규제나 자아효능감 증대에 목표를 둔 치료들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2. 행동치료 또는 행동수정는 포괄적 치료목표를 배제하고 내담자의 특성에 맞는 구체적이고 명료한 행동적 목표를 설정한다.


※인지이론의 기본가정

1. 일생을 통하여 인지적 성장과 변화가 이루어 진다.2. 특정 연령에서 각 개인의 특정 영역의 인지적 유능성(예: 지능,문제해결능력,의사결정)은 개인이 기능하는 맥락에 따라 차이가 있다..3. 인지( 지식, 사고, 문제 해결 등)는 개인이 환경적 사건에 노출된 결과일 뿐 아니라 개인이 이러한 사건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구성한 결과다.4. 개인은 환경적 사건을 표상하고 따라 행동한다.5. 사고, 감정, 행동, 그 결과는 원인적으로 관련성이 있다.6. 자신에 대한 사고를 포함한 인지적 표상은 사회적 기능과 정서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며, 변화가 가능하다.
7.인지변화는 행동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89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