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발달 및 이상행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의 발달 및 이상행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물을 이해할 뿐 타인의 위치에서 보이는 사물의 모습을 추론하지 못하는 사고의 한계를 보인다.
ㆍ자기중심적 언어
자기 중심적 언어(egocentric speech)는 듣는 사람이 자신이 하는 말을 이해할 수 있는가의 여부를 고려하지 않은 채 자신의 생각만을 전달하는 전조작기 특유의 의사소통 양상을 뜻한다.
ex) 파란 것이 있었어. 많이 있었는데 전부 한 줄로 갔어
(자신이 본 비행기 편대를 뜻함)
나는 그걸 그리고 싶어.(비행기를 그리고 싶다는 뜻)
피아제는 이와 같이 자기중심성으로 인해 의미전달이 어려운 유아기 특유의 대화형태를 집단적 독백(collective monologue)이라 부르고 있다.
→ 이후 7세부터 자기중심적 언어는 급격히 감소하여 사회화된 언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자기중심성에 대한 피아제의 주장은 많은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전조작기 유아도 대상에 따라 자신이 하는 언어적 표현을 적절히 조정하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 타인의 시각조망을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2) 직관적 사고
직관적 사고란 대상이나 사태가 갖는 단 한 가지의 가장 현저한 지각적 속성에 의해 그 대상이나 사태의 성격을 판단하는 유아기 중심화된 사고양상을 의미한다.
ㆍ보존개념에서의 직관적 사고
보존개념이란 어떤 대상의 외양이 바뀌어도 그 양적 속성이나 실체는 바뀌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보존개념이 형성되지 못한 전조작기 아동은 같은 양의 물을 다른 모양의 컵에 담았을 때 물의 높이에 따라 물의 양을 판단해 버린다.
5. 부모-아동 상호작용
2~3세경부터 부모는 아동이 자신의 욕구를 적절히 통제하고 상황에 적합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사회화시킬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 부모-아동은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1)부모의 양육유형
ㆍ 애정과 통제는 아동기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주축이 되는 차원이다. 부모-자녀간 상호작용은 애정과 통제의 정도에 따라 그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부모-자녀 상호작용 양상을 결정하는 두 주요 차원을 교차시켜 보면 다음과 같은 네 개의 부모양육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애 정
수 용
거 부
통 제
엄 격
부모가 적절한 권위를 가지고 자녀와 양방적 의사소통함(민주형)
부모가 권위에 의해 일방적으로 지시하고 주장함(전제형)
허 용
부모의 권위없이 자녀의 욕구나 주장에 따라함(익애형)
부모 역할에 무관심하고 방임적이며 자녀를 무시함(방임형)
<부모-아동 상호작용 차원 따른 양육형태>
(Maccoby & Martin, 1983에서 인용)
ㆍ Baumrind(1967, 971, 1977, 1991ab)는 14주 동안 유치원에서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여, 활기있고 다정한 아동, 갈등이 있으며 초조한 아동, 충동적이며 공격적인 아동의 세 유형을 식별해 냈다. Baumrind는 이들 각 유형의 아이들의 부모와의 면접을 통해 가정에서 부모가 아동과 상호작용하는 양상을 조사하는 한편, 실험실에서 직접 관찰하여 자료를 얻었다. 이들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각 유형의 아동의 부모는 각기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자녀를 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세 개의 부모양육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유형은 허용적-익애적 유형(permissive-indulgent style), 권위주의적 유형(authoritan-style), 권위있는 유형(authoritative style) 이었다.
부모유형
아동행동
허용적-익애적 부모
규율을 명시하거나 부과하지 않음
아동의 울음, 고집 등에 굴복
일관성 없는 훈육
독립적이며 성숙한 행동에 대한 요구나 기대가 적음
나쁜 행동을 무시 또는 수용
참기 어려움, 분노, 짜증을 숨김
애정적임
충동, 욕구의 자유스런 표현의 중요성 강조
충동적이며 공격적인 아동
어른에 저항, 불복종
자기신뢰성 낮음
성취지향성 낮음
자기통제력 낮음
공격적임
쉽게 화내지만 유쾌한 기분으로 회복도 빠름
충동적임
목적이 없거나 목표지향적 활동이 적음
지배적임
권위주의적 부모
규율을 맹목적으로 강요
나쁜 행동을 즉각 지적하고 처벌함
분노와 불쾌감으로 표시
규율을 명확히 설명 않음
반대에 직면해도 규율을 끝가지 강요함
심한 처벌과 훈육 가함
애정과 긍적적 관여가 낮음
아동과 함께 하는 문화적 활동 없음
교육적 요구나 규준이 없음
갈등이 있으며 초조한 아동
공포와 두려움이 많음
우울하고 불행함
쉽게 초조해짐
직접 표출하지는 않으나 적의적이고 배타적임
스트레스를 쉽게 받음
공격적인 행동과 무뚝뚝하고 무관심한 생동이 교차함
목적이 없음
권위 있는 부모
엄격한 규율을 이행
아동의 고집에 굴복 않음
불복종적 행동통제
아동의 나쁜 행동에 불쾌와 짜증스러움 보임
규율을 명확히 전달함
아동의 욕구를 고려하여 의견을 듣고 조정함
대안을 제시함
애정적이며 관여적이고, 반응적임
아동의 연령에 적합한, 성숙하고 독립적인 행동 기름
아동과 함께 하는 문화적 활동계획
활기있고 다정한 아동
자기신뢰적임
자기통제적임
활동수준 높음
쾌활함
또래 친구와 잘 사귐
스트레스에 잘 대처함
새로운 상황에 흥미와 호기심 높음
성인에 협조적임
목적적임
성취지향적임
<부모양육과 아동행동>
(Baumrind, 1967, Hetherington & Park, 1993에서 인용)
이 연구에서 다루어 지지 않은 형태로서 자녀를 무시하거나 무관심하며 방임하는 양육형태가 있다. 실제로 방임적인 양육형태가 자녀의 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양육형태는 부모가 우울증 등 특수한 성격을 갖고 있거나, 가정에서 돌발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태가 발생할 때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경우 부모들은 자신의 내적 긴장이나 불안 등 정서적 상태에 압도되어 자녀를 보살필 여유를 갖지 못하게 된다(Kochanska, 1991). 이러한 부모에게서 자란 아동은 충동적이고 공격적이며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사회적으로 미성숙하고 무능하며 책임감이 없다. 인지적 발달이 늦고 학업성적도 떨어지며, 사춘기 이후 불량화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Patterson et al., 1992).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9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