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아동발달검사
I. 영아/유아/아동을 위한 가정환경평가
II. 유치원/1학년용 선별검사
III. 학습평가를 위한 발달검사(DIAL-R)
IV. 초기 선별검사(ESP)
V. McCarthy(맥카시) 선별검사(MST)
VI. 취학전 아동발달척도(PDI)
아동발달검사
I. 영아/유아/아동을 위한 가정환경평가
II. 유치원/1학년용 선별검사
III. 학습평가를 위한 발달검사(DIAL-R)
IV. 초기 선별검사(ESP)
V. McCarthy(맥카시) 선별검사(MST)
VI. 취학전 아동발달척도(PDI)
본문내용
그리는 소책자를 포함한 도구 그리고 초시계가 필요하다.
이 검사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반분 신뢰도가 5세 수준에서 도안 그려보기(Draw-a-Design), 개념 분류하기(Concept Grouping) 그리고 다리통합(Leg Coordination)에 적용되었다. 상관계수는 .41:80의 범위였고 6개의 하위 측정 점수에 관한 검사-재검사가 3주에서 4주 동안에 4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32:69). 검사의 타당도는 이 검사가 McCarthy 척도의 개정물에 해당하기 때문에 MST 지침서에 나타
난 타당화에 관한 논의는 MSCA의 타당화 연구와 연관되어 있다. MST나 MSCA는 장래의 학업 성공에 관해 위험에 처한 아동들을 판별해낸다는 동일한 목적이 있다.
MST의 예언 타당도를 위해 Metropolitan Readiness Tests(MRT)를 이용한 52명의 아동들에 관해 측정한 결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MST와 MRT간에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검사는 실패 수와 통과 점수의 조합에 기초해서 학업에 위험이 있을지 아닐지를 결정하게 해 준다. MST는 인지 발달, 똑똑히 발음하는 기술, 운동발달, 그리고 표현하고 수용하는 언어 발달과 같은 네 개의 중요한 선별 검사 영역을 포함한다. 다른 모든 선별 검사와 마찬가지로 위험에 처했다고 판별된 아동들은 추후 측정과 관찰이 요구된다. 검사 도구의 내용은 양호하나 기록 형태가 아동이 시행하기에 어렵고 점수화 작업도 복잡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VI. 취학전 아동발달척도(PDI)
1988년 Freton에 의해 제작된 검사로서 검사의 주요 목적은 부모 보고를 통하여 3-6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검사이다. 아동의 학습능력을 방해할 수 있는 발달상의 그리고 다른 문제들을 가진 아동들을 판별하는 것이다.
검사의 구성을 살펴보면 '예', '아니요'로 응답해야 하는 84개의 객관적인 항목 중 60개는 일반적인 발달을, 24개는 증상과 행동들에 관한 것으로 되어있다. 아동의 묘사, 아동에 관한 사항, 그리고 특별한 문제나 장애에 대해 질문하는 세 개의 개방형 부분도 포함되어 있다.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10분내지 15분 정도이며, 검사에 필요한 도구로는 지침서, 부모 질문지, 부모에게 지시 사항을 알려주는 편지(선택)가 있다.
이 검사는 초기에 Developmental Indicators for the Assessment of learning(DIAL)과 함께 사용하였다 PDI 점수와 DIAL 결과의 비교에서 유사한 준거 타당도 결과가 나타났는데 DIAL 준거 타탕도는 대부분이 낮은 동작 수행에 기인한 반면 PDI 준거타당도는 회화와 언어, 행동상의 문제, 그리고 General Development Scale에서의 낮은 수행으로부터 나타났다.
이 검사는 여러 도구들과 마찬가지로 직접적인 선별 검사로 연결하는 훌륭한 보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PDI는 아동과 부모에 관한 매우 귀중한 정보 자료를 산출해 낼 수 있지만 표준화 표본과 유사한 아동들에게만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 검사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반분 신뢰도가 5세 수준에서 도안 그려보기(Draw-a-Design), 개념 분류하기(Concept Grouping) 그리고 다리통합(Leg Coordination)에 적용되었다. 상관계수는 .41:80의 범위였고 6개의 하위 측정 점수에 관한 검사-재검사가 3주에서 4주 동안에 4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32:69). 검사의 타당도는 이 검사가 McCarthy 척도의 개정물에 해당하기 때문에 MST 지침서에 나타
난 타당화에 관한 논의는 MSCA의 타당화 연구와 연관되어 있다. MST나 MSCA는 장래의 학업 성공에 관해 위험에 처한 아동들을 판별해낸다는 동일한 목적이 있다.
MST의 예언 타당도를 위해 Metropolitan Readiness Tests(MRT)를 이용한 52명의 아동들에 관해 측정한 결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MST와 MRT간에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검사는 실패 수와 통과 점수의 조합에 기초해서 학업에 위험이 있을지 아닐지를 결정하게 해 준다. MST는 인지 발달, 똑똑히 발음하는 기술, 운동발달, 그리고 표현하고 수용하는 언어 발달과 같은 네 개의 중요한 선별 검사 영역을 포함한다. 다른 모든 선별 검사와 마찬가지로 위험에 처했다고 판별된 아동들은 추후 측정과 관찰이 요구된다. 검사 도구의 내용은 양호하나 기록 형태가 아동이 시행하기에 어렵고 점수화 작업도 복잡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VI. 취학전 아동발달척도(PDI)
1988년 Freton에 의해 제작된 검사로서 검사의 주요 목적은 부모 보고를 통하여 3-6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검사이다. 아동의 학습능력을 방해할 수 있는 발달상의 그리고 다른 문제들을 가진 아동들을 판별하는 것이다.
검사의 구성을 살펴보면 '예', '아니요'로 응답해야 하는 84개의 객관적인 항목 중 60개는 일반적인 발달을, 24개는 증상과 행동들에 관한 것으로 되어있다. 아동의 묘사, 아동에 관한 사항, 그리고 특별한 문제나 장애에 대해 질문하는 세 개의 개방형 부분도 포함되어 있다.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10분내지 15분 정도이며, 검사에 필요한 도구로는 지침서, 부모 질문지, 부모에게 지시 사항을 알려주는 편지(선택)가 있다.
이 검사는 초기에 Developmental Indicators for the Assessment of learning(DIAL)과 함께 사용하였다 PDI 점수와 DIAL 결과의 비교에서 유사한 준거 타당도 결과가 나타났는데 DIAL 준거 타탕도는 대부분이 낮은 동작 수행에 기인한 반면 PDI 준거타당도는 회화와 언어, 행동상의 문제, 그리고 General Development Scale에서의 낮은 수행으로부터 나타났다.
이 검사는 여러 도구들과 마찬가지로 직접적인 선별 검사로 연결하는 훌륭한 보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PDI는 아동과 부모에 관한 매우 귀중한 정보 자료를 산출해 낼 수 있지만 표준화 표본과 유사한 아동들에게만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