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앗시리아 지배의 종언: 유다가 다시 독립을 얻다
1. 주전 7세기 중엽의 유다.
2. 앗시리아 제국의 말기
3. 요사야의 통치(주전 640-609년)
B. 신바벨론 제국과 유다의 말기
1. 요시야의 죽음에서 제 1차 바벨론 포수까지(주전 609- 597년)
2. 유다 왕국의 종언
C. 유다 말기의 선지자들
1. 점증하는 신학적 위기.
2. 선지자들과 이스라엘 신앙의 존속,
1. 주전 7세기 중엽의 유다.
2. 앗시리아 제국의 말기
3. 요사야의 통치(주전 640-609년)
B. 신바벨론 제국과 유다의 말기
1. 요시야의 죽음에서 제 1차 바벨론 포수까지(주전 609- 597년)
2. 유다 왕국의 종언
C. 유다 말기의 선지자들
1. 점증하는 신학적 위기.
2. 선지자들과 이스라엘 신앙의 존속,
본문내용
에스겔의 목소리가 머나먼 바벨론에서 가세하엿다. 에스겔도 역시 유다의 파멸을 여호와의 공의로운 심판이라고 선언하였다. 에스겔의 생애에 관해서는 우리가 아는 것이 거의 없다. 이스라엘의 모든 훌륭한 선지자들 가운데서 에스겔만큼 기이한 인물은 찾아볼 수 없다. 분명히 엄격한 자제력으로 인하여 예레미야처럼 감정의 격발은 없었지만, 그가 선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느낀 여호와의 심판에 관한 소식은 그에게 격심한 내적 긴장을 불러일으켰고 때로는 육체의 기능이 마비되기도 하였다. 황홀경 상태나 거기에 가까운 상태에 빠져 당시 사람들에게 조차도 극히 기이하게 보였을 것이 틀림없는 상징적인 행위들을 통하여 자신의 메시지를 전하기도 하였다. 한번은 자기 집의 담에 구멍을 내고 밤중에 그리고 빠져 나가 등에 짐을 지고 포로로 잡혀가는 자의 흉내를 내기도 하였다. 에스겔이 선포한 심판의 취지가 표현하는 것은 다르지만 근본적으로 에레미야의 것과 같은 것은 것이었다. 자기 동포들의 공질적인 우상숭배, 패역함, 완악한 고집을 타매하면서, 그는 바로 이런 것들이 하나님의 진노를 불러들였다고 선언하였다. 에스겔은 자기 동포가 처음부터 부패했다고 선언하였다. 예레미야와 마찬가지로 그는 이스라엘을 여호와의 진노의 도가니 속에 송두리째 던져진 쇠찌꺼기로 여겼다. 그는 이를 인정하지 않으려고 몸부림쳤지만 이스라엘의 이 마지막 남은 자들조차도 멸해질 것임을 알고 있었다.
c. 선지자들과 이스라엘의 미래.
그릇된 소망을 가차없이 꺾어 버리고 민족의 재난을 여호와의 주권적이고 공의로운 심판이라고 선언함으로써, 선지자들은 신앙에 입각하여 그 비극을 앞서 설명했고 도 그렇게 함으로써 비극으로 말미암아 신앙이 파괴되는 것을 막았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선지자들의 메시지는 원래 국가를 향하여 말했지만 또한 이에 귀를 기울인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국가의 정책과 제도를 공박하는 여호와의 말슴을 지지하도록 호출하는 소리이기도 했다. 그래서 이 메시지는 개인의 결단을 토대로 한 새로운 공동체의 형성을 촉진하였다. 예레미야나 에스겔이나 개인적 신앙을 공동체적 신앙에 반대되는 것으로 선포하지 않았다. 더욱이 예레미야와 에스겔은 그릇된 소망을 꺾였던 것만이 아니고 직접 적극적인 소망을 제시하기도 했다. 예레미야도 소망을 가지고 있었다. 여호와는 예전에 이집트에서처럼 다시 자기 백성을 불러내어 그들의 죄를 용서하고 그들과 새로운 언약을 맺어 그들의 마음에 새 언약의 율법을 새겨 줄것이라는 것이었다. 국가가 심판받는데 근거가 되었던 여호와의 언약의 요구들과 신앙이 포기할 수 없었던 여호와의 확실한 약속들과의 엄청난 간격은 하나님의 은혜라는 측면에서 메워졌다. 국가를 단죄하였던 출애굽 신학은 민족의 소망의 토대가 되었다. 여호와는 죽은 백성들의 뼈들에 자기 영을 불어넣어 다시 “극히 큰 군대”로 일어나게 하고 자기 백성에게 여호와 자신을 섬길 새로운 마음과 새로운 영을 부여해 준 다음 그들을 고국으로 인도하여 그들과 영원한 평화의 언약을 맺고 그들 가운데 자기의 성소를 영원히 둘 것이라고 했다.
c. 선지자들과 이스라엘의 미래.
그릇된 소망을 가차없이 꺾어 버리고 민족의 재난을 여호와의 주권적이고 공의로운 심판이라고 선언함으로써, 선지자들은 신앙에 입각하여 그 비극을 앞서 설명했고 도 그렇게 함으로써 비극으로 말미암아 신앙이 파괴되는 것을 막았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선지자들의 메시지는 원래 국가를 향하여 말했지만 또한 이에 귀를 기울인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국가의 정책과 제도를 공박하는 여호와의 말슴을 지지하도록 호출하는 소리이기도 했다. 그래서 이 메시지는 개인의 결단을 토대로 한 새로운 공동체의 형성을 촉진하였다. 예레미야나 에스겔이나 개인적 신앙을 공동체적 신앙에 반대되는 것으로 선포하지 않았다. 더욱이 예레미야와 에스겔은 그릇된 소망을 꺾였던 것만이 아니고 직접 적극적인 소망을 제시하기도 했다. 예레미야도 소망을 가지고 있었다. 여호와는 예전에 이집트에서처럼 다시 자기 백성을 불러내어 그들의 죄를 용서하고 그들과 새로운 언약을 맺어 그들의 마음에 새 언약의 율법을 새겨 줄것이라는 것이었다. 국가가 심판받는데 근거가 되었던 여호와의 언약의 요구들과 신앙이 포기할 수 없었던 여호와의 확실한 약속들과의 엄청난 간격은 하나님의 은혜라는 측면에서 메워졌다. 국가를 단죄하였던 출애굽 신학은 민족의 소망의 토대가 되었다. 여호와는 죽은 백성들의 뼈들에 자기 영을 불어넣어 다시 “극히 큰 군대”로 일어나게 하고 자기 백성에게 여호와 자신을 섬길 새로운 마음과 새로운 영을 부여해 준 다음 그들을 고국으로 인도하여 그들과 영원한 평화의 언약을 맺고 그들 가운데 자기의 성소를 영원히 둘 것이라고 했다.
추천자료
교회와 사회의 관계의 역사적 재조명
유대인 이미지의 역사 (서평)
왜 신라 마립간들은 금관을 쓰게 되었는가?-신라 금관의 상징적, 역사적 의미.
[핀란드][핀란드문화]핀란드의 역사, 핀란드의 언어, 핀란드의 인종, 핀란드의 종교, 핀란드...
아이슬란드(아이슬랜드)의 역사와 자연환경, 아이슬란드(아이슬랜드)의 인구와 민족, 아이슬...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의 역사, 인도네시아의 경제, 인도네시아의 문화와 경제, 인도네시아...
[오늘날의프랑스]프랑스어의 역사에 대해 요약하여 서술하라
히브리인 ․ 헬라인 ․ 고대 근동 세계의 역사관의 차이점
세계 선교의 역사적 흐름
책요약 - 성경무오, 역사적 증명 (제2장부터 제5장까지 요약)
유대교(Judaism)란 무엇인가 (유대교의 기원, 역사, 특징, 절기와 축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