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체중 부하에 따른 응력과 변형 좌상, 맞지 않는 신발
①발의 외반 pes valgus ; 회내 - 외반 변형, 체중이 내측종족궁과 횡궁을 감소시키는 작용
- 평편족 pes planus 혹은 구조적이며 고착된 편평발 (마지막 단계)
②발의 내반 pes varus ; club foot ; 영구적의 발의 회외 - 내반 변형, 체중이 발의 외측에 전달되어 발의 내측연이 바닥에서 떨어짐
③구족 pes calcaneus ; 뒤꿈치로 걸으며 지면에 전족부가 닿지 않음
④첨족 pes equinus ; 뒤꿈치가 지면에 닿지 않고 발의 ball 로 걸음 - 말발
⑤요족 pes ca편 ; 종족궁이 너무 높거나 혹은 발바닥이 우묵하게 들어간 것
⑥무지외반 hallux valgus ; 엄지발가락의 외측 편위, 발가락 관절 내측에 활액낭의 염증, 건막류 발생
5. 발목과 발의 근육
1)후부 근육군 - 비복근, 가자미근, 후경골근, 장지굴근과 장무지 굴근
o 가자미근은 주로 빠른 - 연축 근섬유로 구성, 비복근보다 느린 - 연축 근섬유의 함유 비율이 높음
o 가자미근이 비복근보다 자세 흔들림을 조절, 발목을 안정시키는데 더 많이 관여
o 피로에 강한 가자미근, 지속적 수축을 유지하는데 피로를 덜 느끼며 경제적
o 비복근과 가자미근 발목의 강한 저측 굴곡 작용, 달리기와 점프에서 비복근의 작용은 근섬유가 빠르게 장력을 발생하는 능력 때문에 필수적
o 하퇴삼두근 calf muscle 마비
; 종요족 변형 calcaneocaval deformity, 후경골근, 장무지굴근, 장지굴근 (건이 관절 축의 후부 지남)은 발목을 저측 굴곡 못함, 건이 발바닥을 지나며 근육이 수축할 때 거퇴관절보다 원위관절에서 작용
o 장지굴근건과 장무지굴근건은 전후방향으로 단축, 하퇴삼두근에 대한 균형조절력이 소실되어 종골이 배측 굴곡 자세를 취함, 종요족 cacaneous foot 변형 유발
o tibial N 마비 ; calcaneus gait (종종 걸음), plantar flexion
o peroneal N 마비 ; tibialis anterior muscle 마비 또는 약증시 dorsi flexion 작용 못함 , steppage gait (= foot drop), 엄지발가락이 끌려간다.
2)외측 근육군 - 장단비골근, 비골근,
o 장단비 골근 ; transver arch를 받쳐 주는데 중요, 외부압력에 의해 손상시 골간인대 손상 , 편평발 변형
- 엄지발가락 ; 종자골이 두 개이기 때문에 체중지지가 많다.
o 개방성 연쇄에서 장. 단비골근과 제 3비골근은 거골하관절의 주된 외반근, 발목 배측굴곡, 저측 굴곡 작용
3)전면 근육군 = 전경골군 pretibial group
⑴전경골근 anterior tibialis
o 신경지배 ; 총비골 신경의 분지와 심비골 신경의 분지 , 마비시 foot drop 로 steppage gait
⑵장무지신근 extensor hallucis longus ⑶장지신근 extensor digitorus longus
ACTION
MUSCLE
ORIGIN
INSERTION
NERVE
ANKLE
plantar flexion
Triceps surae
Gastrocnemius 비복근
내측두-대퇴골 내측상과,
외측두-대퇴골 외측상과
아킬레스건으로되어 종골에 부착
경골신경(제1,2천신경)
soleus 넙치근
경골의 넙치선, 비골두 후방과 비골체 상부
아킬레스건으로 되어 종골에 부착
경골신경(제1,2천신경)
dorsi flexion &
inversion
Tibialis anterior 전경골근
경골의 외측골간, 골간막
제1중족골의 저부, 제1설상골
심비골신경(제3,4요신경, 제1천신경)
⑷전경골 근육군의 기능
o 배측 굴곡근, dorsi flexion 기능 마비시 foot drop 변형
o 근육 마비시 발가락이 지면에 끌리거나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관절과 슬관절을 과도하게 굴곡 steppage gait 형태 보행
o 신발을 신을때와 같은 개방성 연쇄에서 전경골근군은 발과 발가락 움직임
4)발의 내재근
o 손에 있는 근육과 이름이 유사, 발의 저측면은 4층의 내재근으로 구성
o 단지신근 extensor digitorum brevis
o 섬세한 동작에 발가락의 사용
6. 하지 근육 기능
o 큰 힘을 필요로 하는 폐쇄성 연쇄운동에서 중요한 기능
o 폐쇄성 연쇄에서 한 다리로 체중을 지지하거나 서 있는 것이 불가능 하다면 그 사람은 개방성 연쇄에서 공을 차거나 걷기 위해 나머지 한 다리를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땅을 딛고 서 있는 다리 (폐쇄성 운동 연쇄)에서 체중을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개방성 연쇄운동 불가능
1)족궁 arches of the foot
o 족척건막 plantar aponeurosis
- 복잡한 수직중격(벽)과 외측에 놓여 있는 구조는 종인대 longitudinal band 에 의해 심부구조와 피부, 서로간에 연결, 족척건막의 원위부착부는 굴곡건초와 족척판, 발가락의 심부구조와 결합(MTP 관절의 원위부 有)
2)동적 근력 dynamic muslces forces
o 발바닥의 모든 외재근과 내재근은 족궁 아래에서 교차
o 폐쇄성 운동연쇄에서 근육이 수축할 때 그 힘은 족궁을 튼튼하게 유지
o 후경골근과 장비골근은 발바닥에 넓게 붙어 있고 횡궁에 중요한 작용, 종족궁을 튼튼하게 유지, 수축해서 횡아치 보조하면서 eversion 함
o 장무지 굴근과 무지 외전근은 내측궁에 걸쳐 놓여 있고, 소지외전근은 외측궁에 걸쳐 있음
o 단지굴근; 수축시 횡아치 도와줌
3)발의 하중 분포 loading of the foot
o발의 하중 분포(서있을때) 종골과 중족골두에 각각 50 ; 50으로 분포
o 무지의 중족골두는 외측 4개 중족골두의 2배 즉 , 2:1:1:1:1의 비율로 지지
7. 임상적용
스포츠와 관련된 족궁의 일반적인 손상은 족척근막염 plantar fascilitis (weight 증가시 충격 많이 받아 막이 늘어나 arch 감소 되어져서 생김)이나 종골극(뼈의 돌출에 의해 유발)
①발의 외반 pes valgus ; 회내 - 외반 변형, 체중이 내측종족궁과 횡궁을 감소시키는 작용
- 평편족 pes planus 혹은 구조적이며 고착된 편평발 (마지막 단계)
②발의 내반 pes varus ; club foot ; 영구적의 발의 회외 - 내반 변형, 체중이 발의 외측에 전달되어 발의 내측연이 바닥에서 떨어짐
③구족 pes calcaneus ; 뒤꿈치로 걸으며 지면에 전족부가 닿지 않음
④첨족 pes equinus ; 뒤꿈치가 지면에 닿지 않고 발의 ball 로 걸음 - 말발
⑤요족 pes ca편 ; 종족궁이 너무 높거나 혹은 발바닥이 우묵하게 들어간 것
⑥무지외반 hallux valgus ; 엄지발가락의 외측 편위, 발가락 관절 내측에 활액낭의 염증, 건막류 발생
5. 발목과 발의 근육
1)후부 근육군 - 비복근, 가자미근, 후경골근, 장지굴근과 장무지 굴근
o 가자미근은 주로 빠른 - 연축 근섬유로 구성, 비복근보다 느린 - 연축 근섬유의 함유 비율이 높음
o 가자미근이 비복근보다 자세 흔들림을 조절, 발목을 안정시키는데 더 많이 관여
o 피로에 강한 가자미근, 지속적 수축을 유지하는데 피로를 덜 느끼며 경제적
o 비복근과 가자미근 발목의 강한 저측 굴곡 작용, 달리기와 점프에서 비복근의 작용은 근섬유가 빠르게 장력을 발생하는 능력 때문에 필수적
o 하퇴삼두근 calf muscle 마비
; 종요족 변형 calcaneocaval deformity, 후경골근, 장무지굴근, 장지굴근 (건이 관절 축의 후부 지남)은 발목을 저측 굴곡 못함, 건이 발바닥을 지나며 근육이 수축할 때 거퇴관절보다 원위관절에서 작용
o 장지굴근건과 장무지굴근건은 전후방향으로 단축, 하퇴삼두근에 대한 균형조절력이 소실되어 종골이 배측 굴곡 자세를 취함, 종요족 cacaneous foot 변형 유발
o tibial N 마비 ; calcaneus gait (종종 걸음), plantar flexion
o peroneal N 마비 ; tibialis anterior muscle 마비 또는 약증시 dorsi flexion 작용 못함 , steppage gait (= foot drop), 엄지발가락이 끌려간다.
2)외측 근육군 - 장단비골근, 비골근,
o 장단비 골근 ; transver arch를 받쳐 주는데 중요, 외부압력에 의해 손상시 골간인대 손상 , 편평발 변형
- 엄지발가락 ; 종자골이 두 개이기 때문에 체중지지가 많다.
o 개방성 연쇄에서 장. 단비골근과 제 3비골근은 거골하관절의 주된 외반근, 발목 배측굴곡, 저측 굴곡 작용
3)전면 근육군 = 전경골군 pretibial group
⑴전경골근 anterior tibialis
o 신경지배 ; 총비골 신경의 분지와 심비골 신경의 분지 , 마비시 foot drop 로 steppage gait
⑵장무지신근 extensor hallucis longus ⑶장지신근 extensor digitorus longus
ACTION
MUSCLE
ORIGIN
INSERTION
NERVE
ANKLE
plantar flexion
Triceps surae
Gastrocnemius 비복근
내측두-대퇴골 내측상과,
외측두-대퇴골 외측상과
아킬레스건으로되어 종골에 부착
경골신경(제1,2천신경)
soleus 넙치근
경골의 넙치선, 비골두 후방과 비골체 상부
아킬레스건으로 되어 종골에 부착
경골신경(제1,2천신경)
dorsi flexion &
inversion
Tibialis anterior 전경골근
경골의 외측골간, 골간막
제1중족골의 저부, 제1설상골
심비골신경(제3,4요신경, 제1천신경)
⑷전경골 근육군의 기능
o 배측 굴곡근, dorsi flexion 기능 마비시 foot drop 변형
o 근육 마비시 발가락이 지면에 끌리거나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관절과 슬관절을 과도하게 굴곡 steppage gait 형태 보행
o 신발을 신을때와 같은 개방성 연쇄에서 전경골근군은 발과 발가락 움직임
4)발의 내재근
o 손에 있는 근육과 이름이 유사, 발의 저측면은 4층의 내재근으로 구성
o 단지신근 extensor digitorum brevis
o 섬세한 동작에 발가락의 사용
6. 하지 근육 기능
o 큰 힘을 필요로 하는 폐쇄성 연쇄운동에서 중요한 기능
o 폐쇄성 연쇄에서 한 다리로 체중을 지지하거나 서 있는 것이 불가능 하다면 그 사람은 개방성 연쇄에서 공을 차거나 걷기 위해 나머지 한 다리를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땅을 딛고 서 있는 다리 (폐쇄성 운동 연쇄)에서 체중을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개방성 연쇄운동 불가능
1)족궁 arches of the foot
o 족척건막 plantar aponeurosis
- 복잡한 수직중격(벽)과 외측에 놓여 있는 구조는 종인대 longitudinal band 에 의해 심부구조와 피부, 서로간에 연결, 족척건막의 원위부착부는 굴곡건초와 족척판, 발가락의 심부구조와 결합(MTP 관절의 원위부 有)
2)동적 근력 dynamic muslces forces
o 발바닥의 모든 외재근과 내재근은 족궁 아래에서 교차
o 폐쇄성 운동연쇄에서 근육이 수축할 때 그 힘은 족궁을 튼튼하게 유지
o 후경골근과 장비골근은 발바닥에 넓게 붙어 있고 횡궁에 중요한 작용, 종족궁을 튼튼하게 유지, 수축해서 횡아치 보조하면서 eversion 함
o 장무지 굴근과 무지 외전근은 내측궁에 걸쳐 놓여 있고, 소지외전근은 외측궁에 걸쳐 있음
o 단지굴근; 수축시 횡아치 도와줌
3)발의 하중 분포 loading of the foot
o발의 하중 분포(서있을때) 종골과 중족골두에 각각 50 ; 50으로 분포
o 무지의 중족골두는 외측 4개 중족골두의 2배 즉 , 2:1:1:1:1의 비율로 지지
7. 임상적용
스포츠와 관련된 족궁의 일반적인 손상은 족척근막염 plantar fascilitis (weight 증가시 충격 많이 받아 막이 늘어나 arch 감소 되어져서 생김)이나 종골극(뼈의 돌출에 의해 유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