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덕 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기덕 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로, 여성의 성기(性器) 속으로 쑤셔 넣어 제 손으로 뽑아내며 신음하는 것이 엽기(獵奇)라고? 이런 허언을 일삼는 평론가들에겐 일일이 대응하고 싶지도 않다. 그들은 영화가 '구토 유발제'가 아니다라는 기본도 모르는 자들이기에.
각설하고, 김 감독에게 고언(苦言) 한마디 하자.
"퍼냄이 끝나고 나면 비어있음을 인정하고 겸허히 기다릴 줄도 알아야 한다. 인간의 재능이란 우물과 같다. 조급한 퍼냄 뒤에 다가올 빈 바닥을 왜 모르는가. 많이, 자주 만들어 내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어떤 방식으로 무엇을 향해 발언하느냐의 문제다."
김기덕 감독은 이쯤에서 호흡을 조절해야 한다. 그가 '섬'에서 그의 대리인-언제나 영화배우란 감독을 대신해 세상에 대해 발언하는 대변자에 다름 아니다- 현식을 희진의 자궁으로 회귀시켜 쉬게 한 것처럼 자신도 더디지만, 의미 있는 길을 가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며 쉬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질(膣)을 학대하는 것이 아닌 질(質)의 향상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아직껏 한국의 관객들은 김기덕이란 이름 석자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으며, 그가 '길'을 잃은 '섬'에서, 다시 헤엄쳐 나와 '길'을 찾아 줄 것을 기다리고 있다.

키워드

김기덕,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01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