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긍심을 갖게 되어 문제행동은 줄어들고 정상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 이런 아이는 이렇게, 이럴 때는 이렇게 _유미숙 편
소심한 아이, 지나치게 샘이 많은 아이, 예민한 아이, 부정적인 자아를 가진 아이, 또래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 발표력이 부족한 아이, 거짓말하는 아이 들은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아동심리전문상담가인 유미숙 교수는 아이의 성격장애나 문제 행동에 대해 잘잘못을 가리기보다는 아이의 마음, 정서, 감정 상태를 먼저 살피고 아이의 마음을 부모가 이해하고 있음을 표현하라고 강조한다. 또 아이와 대화할 때, 아이가 잘못을 했을 때, 아이가 폭력적일 때, 한 아이· 연년생 아이·쌍둥이 아이를 키울 때, 끊임없이 ‘왜’라고 물을 때 어떤 태도로 아이를 대해야 하는지 case-by-case별로 상세하게 설명하여 아이를 기르는 부모들에게 소중한 지침을 전하고 있다.
♠ 부모의 자세 _신철희 편
아동심리전문상담가인 신철희 교수는 신경질적인 엄마, 지적이고 따지는 엄마, 너무 깔끔한 엄마, 냉정한 엄마, 성질이 급한 엄마, 이기적인 엄마, 느긋하고 우유부단한 엄마 등 엄마의 성격에 따라 아이가 어떤 영향을 받고 어떤 행동을 하는지, 또 좋은 아빠가 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구체적인 예를 들어 소개함으로써 바람직한 부모의 모습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아이들의 문제행동에는 반드시 그럴 만한 이유가 있으며, 그 원인의 대부분은 부모에게서 찾을 수 있으므로 부모가 먼저 악순환의 고리를 끊도록 애쓸 것을 당부하고 있다. 부모가 변하는 만큼 아이도 변해 간다는 따끔한 조언도 잊지 않았다.
♠ 이런 아이는 이렇게, 이럴 때는 이렇게 _유미숙 편
소심한 아이, 지나치게 샘이 많은 아이, 예민한 아이, 부정적인 자아를 가진 아이, 또래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 발표력이 부족한 아이, 거짓말하는 아이 들은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아동심리전문상담가인 유미숙 교수는 아이의 성격장애나 문제 행동에 대해 잘잘못을 가리기보다는 아이의 마음, 정서, 감정 상태를 먼저 살피고 아이의 마음을 부모가 이해하고 있음을 표현하라고 강조한다. 또 아이와 대화할 때, 아이가 잘못을 했을 때, 아이가 폭력적일 때, 한 아이· 연년생 아이·쌍둥이 아이를 키울 때, 끊임없이 ‘왜’라고 물을 때 어떤 태도로 아이를 대해야 하는지 case-by-case별로 상세하게 설명하여 아이를 기르는 부모들에게 소중한 지침을 전하고 있다.
♠ 부모의 자세 _신철희 편
아동심리전문상담가인 신철희 교수는 신경질적인 엄마, 지적이고 따지는 엄마, 너무 깔끔한 엄마, 냉정한 엄마, 성질이 급한 엄마, 이기적인 엄마, 느긋하고 우유부단한 엄마 등 엄마의 성격에 따라 아이가 어떤 영향을 받고 어떤 행동을 하는지, 또 좋은 아빠가 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구체적인 예를 들어 소개함으로써 바람직한 부모의 모습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아이들의 문제행동에는 반드시 그럴 만한 이유가 있으며, 그 원인의 대부분은 부모에게서 찾을 수 있으므로 부모가 먼저 악순환의 고리를 끊도록 애쓸 것을 당부하고 있다. 부모가 변하는 만큼 아이도 변해 간다는 따끔한 조언도 잊지 않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