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고분, 가야는 철의 왕국, 임나일본부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야고분, 가야는 철의 왕국,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육진흥 재단(재단법인) 版「반만년 대륙 역사의 영광- 하나되는 한국사」대산출판사 版「고구려사(高句麗史) 7백년의 수수께끼」서해문집 版「발해제국사(渤海帝國史)」충남대학교 출판부 版「한국 근현대사 강의」
두리미디어 版「청소년을 위한 한국 근현대사」
해설자
이덕일(李德一) 한가람 역사문화연구소 소장한영우(韓永愚) 한림대학교 인문학부 석좌교수고준환(高濬煥) 경기대학교 법학과 교수서병국(徐炳國) 대진대학교 역사학과 교수이인철(李仁哲)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위원박걸순(朴杰純) 충남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조왕호(趙往浩) 대일고등학교 교사
임나일본부설
임나일본부설은 일본서기와 광개토대왕비문의 내용을 가지고 4C~6C까지 한국의 남부 임나(가야)에 일본부를 설치하여 지배했다는 주장으로 남선경영론이라고도 한다. 특히, 광개토대왕비문의 내용 중 ‘신미년~’부분을 ‘왜가 바다를 건너와 백제와 신라를 격파하고 왜의 신민으로 삼았다’고 해석하면서 그들의 임나일본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광개토대왕비가 1880년대 일본에 의해 재발견되고 이후에 비문 탁본의 내용이 서로 엇갈리면서 비문이 조작됐었다는 의문이 제기되는 것으로 시작으로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반박이 이루어진다. 첫째, 비문의 ‘신미년~’부분의 주어를 왜가 아닌 고구려로 해야 광개토대왕비가 고구려의 유적이라는 것에 부합하게 된다. 둘째, 임나일본부가 위치하였던 가야지역에서 출토된 유물, 유적 중에 일본의 양식을 띤 것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 셋째, 임나일본부에 대해 기술된 일본서기는 일본왕가를 미화하는 책으로 신빙성이 떨어지고, 임나일본부가 설치되었다는 4C에는 일본열도가 정치적 통합이 되지도 않았는데 다른 국가를 지배하였다는 점에서 비판 받고 있다.
이후, 일본측에서도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지면서 임나일본부의 성립을 6C 전반 10여년으로 제한하고, 정치적 지배기관이 아닌 사신 또는 관인이 머무르는 외교목적의 기관으로, 가야제국이 신라와 백제의 압박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자주적 의지로 설치한 기관으로 인식하기 시작했고, 우리 학계에서도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그러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임나일본부설은 16C부터 일본의 국학자들이 조선 지배를 주장한 것으로부터 뿌리를 한다. 특히, 일본의 제국주의 시대에 그 연구가 크게 확대되어 정치적 목적으로 역사를 이용하기 위한 식민사학의 모습을 띠게 된다. 식민사학은 크게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으로 나뉘어 진다. 타율성론은 사대주의, 반도성론을 토대로 조선은 자주적이지 못하므로 역사적으로 계속 식민지 지배를 받았다는 게 그 주장이다. 정체성론은 조선을 봉건제 시대가 없었다는 봉건제결여론, 조선의 근대화는 일본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식민지시혜론을 발전된 조선의 역사는 발전없이 정체되었다는 주장이다. 이후 식민사학은 ‘조선과 일본의 조상은 같다’는 동조동근(同祖同根), 일선동조(日鮮同祖)론과 ‘만주와 조선은 하나다’라는 만선불가분론(蠻鮮不可分論)으로 발전하여 한반도와 만주에 대한 침략을 정당화하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현재는 일본의 역사교과서의 내용에서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왜곡이 나타나고 있다.
정치적 목적으로 역사가 왜곡되는 것도 심각하지만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 정도가 더욱 심한 것 같다. 역사는 한나라의 정체성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런데 잘못된 역사 교육으로 정체성이 왜곡되어 형성된다면 일본이 저지른 과거의 만행을 되풀이할 수도 있을 지도 모른다.
동양에서 역사는 감(鑑)으로 지칭됐다. 즉, 과거를 바라보는 거울이라는 소리다. 역사를 과거의 실수를 다시 해서는 안 되는 반성의 거울로 삼아야 한다는 점에서 일본의 역사 왜곡이 씁쓸하기만 하다.

키워드

가야,   고분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1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