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신경성 폭식증 환자의 미술치료 사례-프로그램 >
본문내용
에 알맞게 적응할 수 있는 힘을 되찾게 되는 것이다.
통제와 자율에 대해 갈등하는 섭식장애 여성들은 음식에 대한 강박 관념으로 충동적인 행동을 한다. 그러므로 그들이 삶을 통제하고 자율성을 얻기 위해 적합하고 건전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에너지를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중요하다. 미술치료는 미술과업을 통해 이들 환자들이 우월감과 성취감을 갖도록 돕는다. 미술작품의 창조는 내담자들에게 에너지를 재생산해 주고 긍정적인 자아확대에 대한 잠재력을 부여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를 통해 신경성 폭식증을 겪고 있는 여성이 자존감을 높여주고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자기 자신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15회기라는 짧은 시간 동안 폭식증을 겪는 내담자에 근본적인 섭식장애에 대한 문제나 이를 겪게 된 심리적 원인 등에 대해서 완벽하게 파악하고 치료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신경성 폭식증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은 자신의 질병에 직면해 있는 섭식장애 환자들을 격려하고 좀 더 적합하고 건강한 생활방식을 갖도록 하기 위해 그들의 무질서한 식사습관을 쉽게 제거하도록 짜여져야 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의사, 임상미술치료사, 영양사, 그리고 다른 보조 치료자들을 포함한 치료 팀을 구성해야 하며 치료집단이 수립한 다양한 치료 전략들을 제공해야 한다. 또 미술치료에서는 신경성 폭식증과 같은 섭식장애를 겪는 사람들에 대한 좀 더 깊은 연구를 통찰해보아야 할 것이다. 또 중요한 것은 폭식행동의 심각도 수준 및 보상행동의 유무에 따라 치료적인 개입도 어떻게 달라져야 하며 어떠한 접근이 가장 효율적인지에 대한 연구도 추후에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 참고 문헌 -
(현장적용을 위한) 미술치료의 이해 / 유미 / 한국학술정보 / 2007
성인 미술치료 / 김동연, 최외선 /동아 문화사 /1994
미술치료기법 / 최외선 / 학지사 / 2007
(실제 적용 중심의)미술치료 / 정현희 / 학지사 / 2006
섭식 장애: 날씬한 몸매를 위한 처절한 투쟁/ 김정욱 / 학지사 / 2000
신경성 폭식증 여성에 대한 자가미술치료 사례 연구 / 김미진 / 2004
현실요법을 적용한 K-Nectar Program이 여대생의 신체상과 폭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박성용/ 2003
지시적/비지시적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차미성 / 2001
완벽주의 성향과 신경성 폭식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
/ 이희주 / 2001
인터넷 사이트
: naver 블로그 미술치료와 섭식장애
joins 뉴스 폭식증, 다이어트보다는 스트레스 해소에 초점을
< 섭식 태도 검사지 >
문항
5
4
3
2
1
0
1. 살이 찌는 것이 두렵다
2. 배가 고파도 식사를 하지 않는다.
3. 나는 음식에 집착하고 있다.
4. 억제할 수 없이 폭식을 한 적이 있다.
5. 음식을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먹는다.
6.내가 먹고 있는 음식의 영양분과 열량을 알고 먹는다
7 빵이나 감자 같은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은 피한다.
8. 내가 음식을 많이 먹으면 다른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 같다.
9. 먹고 난 다음 토한다
10. 먹고 난 다음 심한 죄책감을 느낀다.
11. 좀 더 날씬해 져야겠다는 생각을 떨쳐 버릴 수가 없다.
12. 운동을 할 때 운동으로 인해 없어질 열량에 대해 계산하거나 생각한다.
13. 남들이 내가 너무 말랐다고 생각한다.
14. 내가 살이 쪘다는 생각을 떨쳐 버릴 수가 없다.
15. 식사시간이 다른 사람보다 더 길다.
16. 설탕이 든 음식은 피한다.
17. 체중조절을 위해 다이어트용 음식을 먹는다.
18.음식이 나의 인생을 지배한다는 생각이 든다.
19. 음식에 대한 자신의 조절능력을 과시한다.
20.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음식을 먹도록 강요하는 것 같이 느껴진다.
21. 음식에 대해 많은 시간과 정력을 투자한다.
22. 단 음식을 먹고 나면 마음이 편치 않다.
23. 체중을 줄이기 위해 운동이나 다른 것을 하고 있다.
24. 위가 비어 있는 느낌이 좋다.
25. 새로운 기름진 음식을 먹는 것을 즐긴다.
26. 식사 후에 토하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신체 이미지 검사지 >
거의 항상 그렇다
자주 그렇다
보통 그렇다
때때로 그렇다
전혀 그렇지 않다
4
3
2
1
0
문항
4
3
2
1
0
1. 내가 잘 모르는 사람들과의 사회적 모임
2. 모임에서 나에게 시선이 집중이 될 때
3. 만족스럽지 않은 차림으로 누군가를 만나야 하는 경우
4. 동성인 어떤 사람이 매력적이라고 느껴질 때
5. 이성인 어떤 사람이 매력적이라고 느껴질 때
6. 다른 사람이 내 신체부위 주 특히 내가 불만스러워 하는 부위를 볼 때
7. 어떤 사람이 특정 각도에서 나를 볼 때
8. 누군가가 나의 외모에 대해서 칭찬할 때
9. 누군가가 날르 무시하거나 거절을 한다고 생각할 때
10. 외모에 대한 주제로 대화를 할 때
11. 누군가가 나의 외모에 대해서 좋지 않은 이야기를 할 때
12. 누군가가 다른 사람의 외모를 칭찬하면서 나의 외모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을 때
13. 누군가가 내 앞에서 다른 사람의 외모에 대해 비평을 할 때
14. 체중이나 다이어트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15. TV나 잡지를 통해서 매력적인 사람을 볼 때
16. 몸매가 드러나는 옷을 입었을 때
17. 특정상황에서 다른 사람들과는 다르게 옷을 입었을 때
18. 화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거울을 볼 때
19. 거울에 비친 나의 벗은 몸을 볼 때
20. 사진이나 비디오를 통해서 나를 볼 때
21. 친구나 애인이 나의 차림새에 대해서 아무런 언급이 없을 때
22. 체중을 잴 때
23. 체중이 조금 늘었다는 생각이 들 때
24. 배부르게 먹고 난 후에
25. 어렸을 때의 외모에 대한 생각을 할 때
26. 현재의 내 외모에 대한 바램을 생각 할 때
27. 평소보다 운동을 적게 했을 때
28. 체중이 조금 줄었다는 생각이 들 때
29. 다른 일로 인해 이미 기분이 안 좋을 때
30. 성관계를 가질 때나 성관계를 예상할 때
통제와 자율에 대해 갈등하는 섭식장애 여성들은 음식에 대한 강박 관념으로 충동적인 행동을 한다. 그러므로 그들이 삶을 통제하고 자율성을 얻기 위해 적합하고 건전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에너지를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중요하다. 미술치료는 미술과업을 통해 이들 환자들이 우월감과 성취감을 갖도록 돕는다. 미술작품의 창조는 내담자들에게 에너지를 재생산해 주고 긍정적인 자아확대에 대한 잠재력을 부여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를 통해 신경성 폭식증을 겪고 있는 여성이 자존감을 높여주고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자기 자신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15회기라는 짧은 시간 동안 폭식증을 겪는 내담자에 근본적인 섭식장애에 대한 문제나 이를 겪게 된 심리적 원인 등에 대해서 완벽하게 파악하고 치료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신경성 폭식증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은 자신의 질병에 직면해 있는 섭식장애 환자들을 격려하고 좀 더 적합하고 건강한 생활방식을 갖도록 하기 위해 그들의 무질서한 식사습관을 쉽게 제거하도록 짜여져야 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의사, 임상미술치료사, 영양사, 그리고 다른 보조 치료자들을 포함한 치료 팀을 구성해야 하며 치료집단이 수립한 다양한 치료 전략들을 제공해야 한다. 또 미술치료에서는 신경성 폭식증과 같은 섭식장애를 겪는 사람들에 대한 좀 더 깊은 연구를 통찰해보아야 할 것이다. 또 중요한 것은 폭식행동의 심각도 수준 및 보상행동의 유무에 따라 치료적인 개입도 어떻게 달라져야 하며 어떠한 접근이 가장 효율적인지에 대한 연구도 추후에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 참고 문헌 -
(현장적용을 위한) 미술치료의 이해 / 유미 / 한국학술정보 / 2007
성인 미술치료 / 김동연, 최외선 /동아 문화사 /1994
미술치료기법 / 최외선 / 학지사 / 2007
(실제 적용 중심의)미술치료 / 정현희 / 학지사 / 2006
섭식 장애: 날씬한 몸매를 위한 처절한 투쟁/ 김정욱 / 학지사 / 2000
신경성 폭식증 여성에 대한 자가미술치료 사례 연구 / 김미진 / 2004
현실요법을 적용한 K-Nectar Program이 여대생의 신체상과 폭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박성용/ 2003
지시적/비지시적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차미성 / 2001
완벽주의 성향과 신경성 폭식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
/ 이희주 / 2001
인터넷 사이트
: naver 블로그 미술치료와 섭식장애
joins 뉴스 폭식증, 다이어트보다는 스트레스 해소에 초점을
< 섭식 태도 검사지 >
문항
5
4
3
2
1
0
1. 살이 찌는 것이 두렵다
2. 배가 고파도 식사를 하지 않는다.
3. 나는 음식에 집착하고 있다.
4. 억제할 수 없이 폭식을 한 적이 있다.
5. 음식을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먹는다.
6.내가 먹고 있는 음식의 영양분과 열량을 알고 먹는다
7 빵이나 감자 같은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은 피한다.
8. 내가 음식을 많이 먹으면 다른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 같다.
9. 먹고 난 다음 토한다
10. 먹고 난 다음 심한 죄책감을 느낀다.
11. 좀 더 날씬해 져야겠다는 생각을 떨쳐 버릴 수가 없다.
12. 운동을 할 때 운동으로 인해 없어질 열량에 대해 계산하거나 생각한다.
13. 남들이 내가 너무 말랐다고 생각한다.
14. 내가 살이 쪘다는 생각을 떨쳐 버릴 수가 없다.
15. 식사시간이 다른 사람보다 더 길다.
16. 설탕이 든 음식은 피한다.
17. 체중조절을 위해 다이어트용 음식을 먹는다.
18.음식이 나의 인생을 지배한다는 생각이 든다.
19. 음식에 대한 자신의 조절능력을 과시한다.
20.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음식을 먹도록 강요하는 것 같이 느껴진다.
21. 음식에 대해 많은 시간과 정력을 투자한다.
22. 단 음식을 먹고 나면 마음이 편치 않다.
23. 체중을 줄이기 위해 운동이나 다른 것을 하고 있다.
24. 위가 비어 있는 느낌이 좋다.
25. 새로운 기름진 음식을 먹는 것을 즐긴다.
26. 식사 후에 토하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신체 이미지 검사지 >
거의 항상 그렇다
자주 그렇다
보통 그렇다
때때로 그렇다
전혀 그렇지 않다
4
3
2
1
0
문항
4
3
2
1
0
1. 내가 잘 모르는 사람들과의 사회적 모임
2. 모임에서 나에게 시선이 집중이 될 때
3. 만족스럽지 않은 차림으로 누군가를 만나야 하는 경우
4. 동성인 어떤 사람이 매력적이라고 느껴질 때
5. 이성인 어떤 사람이 매력적이라고 느껴질 때
6. 다른 사람이 내 신체부위 주 특히 내가 불만스러워 하는 부위를 볼 때
7. 어떤 사람이 특정 각도에서 나를 볼 때
8. 누군가가 나의 외모에 대해서 칭찬할 때
9. 누군가가 날르 무시하거나 거절을 한다고 생각할 때
10. 외모에 대한 주제로 대화를 할 때
11. 누군가가 나의 외모에 대해서 좋지 않은 이야기를 할 때
12. 누군가가 다른 사람의 외모를 칭찬하면서 나의 외모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을 때
13. 누군가가 내 앞에서 다른 사람의 외모에 대해 비평을 할 때
14. 체중이나 다이어트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15. TV나 잡지를 통해서 매력적인 사람을 볼 때
16. 몸매가 드러나는 옷을 입었을 때
17. 특정상황에서 다른 사람들과는 다르게 옷을 입었을 때
18. 화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거울을 볼 때
19. 거울에 비친 나의 벗은 몸을 볼 때
20. 사진이나 비디오를 통해서 나를 볼 때
21. 친구나 애인이 나의 차림새에 대해서 아무런 언급이 없을 때
22. 체중을 잴 때
23. 체중이 조금 늘었다는 생각이 들 때
24. 배부르게 먹고 난 후에
25. 어렸을 때의 외모에 대한 생각을 할 때
26. 현재의 내 외모에 대한 바램을 생각 할 때
27. 평소보다 운동을 적게 했을 때
28. 체중이 조금 줄었다는 생각이 들 때
29. 다른 일로 인해 이미 기분이 안 좋을 때
30. 성관계를 가질 때나 성관계를 예상할 때
추천자료
[유아 박물관교육][유아 미술관교육][미술심리치료][유아교육][유치원교육][미술교육][박물관...
[유아 미술치료][미술교육][EQ교육][인성교육][유아교육][유치원교육]유아 미술치료와 미술교...
미술치료 대상자와 미술치료에 요구되는 조건, 미술치료사의 태도와 자세
[아동상담] 미술치료의 이해 - 미술치료의 역사와 개념 및 주 적용대상, 미술의 치료적 요소...
자폐성 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자폐아치료, 자폐아미술치료, 미술치료사례, 자폐, ...
유아미술교육에 적합한 미술심리치료 기법 선정기준과 미술심리치료 기법을 활용한 유아미술...
지적 장애mentally handicapped 아동의 주의집중과 발달 미술치료 - 지적 장애 아동(지적 장...
★평가우수자료★[현대인의 정신건강] 미술치료 - 미술치료 개념, 미술치료 종류, 미술치료 방...
[미술치료 프로그램] 공격성 완화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 프로그램, 미술 프로그램 작성...
[★발표자료★][미술치료] 미술치료 소개, 미술치료 특징, 미술치료 효과, 미술치료 실제 및 인...
[★발표자료★][미술치료 Art Therapy] 미술치료의 개념과 미술치료의 특징 및 절차와 미술치료...
[가족미술치료] 가족미술치료기법(미술활동의 이론적 배경, 미술치료과정)
[창의적 노인미술치료] 노인미술치료의 창의성과 효과, 창의적 미술치료의 실제(퀼트를 통한 ...
미술치료기법의 활용 - 진단도구 및 치료도구로서의 미술, 미술진단기법 및 미술치료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