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요탄력성
공급탄력성
소득탄력성
공급탄력성
소득탄력성
본문내용
출액
지출(expenditure)
가격의 상승 의 증가로 인한 의 증가효과
의 감소로 인한 의 감소효과
인 경우,
가격상승 의 상승률 = 의 감소율 지출 불변
인 경우,
가격상승 의 상승률 < 의 감소율 지출 감소
인 경우,
가격상승 의 상승률 > 의 감소율 지출 증가
가격 하락의 경우는 위와 반대.
교재 페이지 94 그림4-5 참조.
(5) 수요의 가격탄력도의 결정요인
① 대체재의 존재여부
② 가계소득과 가격의 비율
③ 일상생활에서의 중요성
④ 기간의 장단
2. 수요의 소득탄력도와 교차탄력도
(1) 수요의 소득탄력도(income elasticity of demand)
정의:
(는 소비자의 소득)
의미: 소득탄력도의 부호는 재화의 종류에 따라 달라짐.
(정의)
정상재(normal good):
우등재(superior good)
열등재(inferior good):
Engel의 법칙(Engel‘s law)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소득 중 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든다.
식비의 소득 탄력도가 1보다 작다는 의미.(식비의 증가율<소득의 증가율)
(2) 수요의 교차탄력도 (cross elasticity of demand)
다른 재화의 가격 변화에 대한 그 재화의 수요량의 반응 정도를 측정.
정의:
이면, 는 대체재.
이면, 는 보완재.
이면, 는 독립재.
제2절 공급의 탄력도
1. 공급의 가격탄력도(price elasticity of demand)
* 정의
가격의 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의 정도를 측정.
가격의 1% 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를 의미.
호탄력도와 점탄력도.
2. 공급의 탄력도의 크기
(1) 선형 공급함수의 경우.
1) 탄력적인 공급함수
2) 비탄력적인 공급함수
*예외적인 경우
(2) 비선형 공급함수의 탄력도
각점에서 접선을 그어서 구한다.
: 비탄력적, :탄력적
소득 탄력성
소득탄력성(수요량의 변화율/소득변화율)은
예를들어,내소득이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올랐으면 어떤재화의 수요가 당연히 증가하겠죠..
그 수요는 내소득이 100%올랐으니 수요가 얼마만큼 증가하겠냐는 것입니다..
위 소득탄력성 3은 3/1로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내소득이 1%증가하면 재화의 수요는 3%증가한다는 말입니다..(즉 1:3의 비율)
따라서, 소득이 5000에서 6000으로 20%증가하였으니 수요는 60%가 증가하겠죠...
현재 수요량이 2000세대라면, 2000세대의 60%는 1200세대가 증가 할것입니다.
지출(expenditure)
가격의 상승 의 증가로 인한 의 증가효과
의 감소로 인한 의 감소효과
인 경우,
가격상승 의 상승률 = 의 감소율 지출 불변
인 경우,
가격상승 의 상승률 < 의 감소율 지출 감소
인 경우,
가격상승 의 상승률 > 의 감소율 지출 증가
가격 하락의 경우는 위와 반대.
교재 페이지 94 그림4-5 참조.
(5) 수요의 가격탄력도의 결정요인
① 대체재의 존재여부
② 가계소득과 가격의 비율
③ 일상생활에서의 중요성
④ 기간의 장단
2. 수요의 소득탄력도와 교차탄력도
(1) 수요의 소득탄력도(income elasticity of demand)
정의:
(는 소비자의 소득)
의미: 소득탄력도의 부호는 재화의 종류에 따라 달라짐.
(정의)
정상재(normal good):
우등재(superior good)
열등재(inferior good):
Engel의 법칙(Engel‘s law)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소득 중 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든다.
식비의 소득 탄력도가 1보다 작다는 의미.(식비의 증가율<소득의 증가율)
(2) 수요의 교차탄력도 (cross elasticity of demand)
다른 재화의 가격 변화에 대한 그 재화의 수요량의 반응 정도를 측정.
정의:
이면, 는 대체재.
이면, 는 보완재.
이면, 는 독립재.
제2절 공급의 탄력도
1. 공급의 가격탄력도(price elasticity of demand)
* 정의
가격의 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의 정도를 측정.
가격의 1% 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를 의미.
호탄력도와 점탄력도.
2. 공급의 탄력도의 크기
(1) 선형 공급함수의 경우.
1) 탄력적인 공급함수
2) 비탄력적인 공급함수
*예외적인 경우
(2) 비선형 공급함수의 탄력도
각점에서 접선을 그어서 구한다.
: 비탄력적, :탄력적
소득 탄력성
소득탄력성(수요량의 변화율/소득변화율)은
예를들어,내소득이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올랐으면 어떤재화의 수요가 당연히 증가하겠죠..
그 수요는 내소득이 100%올랐으니 수요가 얼마만큼 증가하겠냐는 것입니다..
위 소득탄력성 3은 3/1로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내소득이 1%증가하면 재화의 수요는 3%증가한다는 말입니다..(즉 1:3의 비율)
따라서, 소득이 5000에서 6000으로 20%증가하였으니 수요는 60%가 증가하겠죠...
현재 수요량이 2000세대라면, 2000세대의 60%는 1200세대가 증가 할것입니다.
추천자료
가격전략
산업조직 이론
기업가격정책
가격결정 전략에 대해
경제적 순손실과 자유거래의 이득을 비탄력적 공급과 탄력적 공급, 비탄력적 수요와 탄력적 ...
환율경제 이론
아파트 가격 결정요인 분석
우리나라 산업조직정책에 대하여
[국제마케팅(Global Marketing)] 삼익악기 - 위기를, 곧 기회로
서비스마케팅 - 07장. 서비스 가격관리
의약품의 수요는 가격변화에 비탄력적이지만 컴퓨터수요는 가격변화에 탄력적이다. 기술진보...
가격차별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실생활에의 응용사례를 찾아 서술
가격_ 가격결정의 개념과 요인, 가격의 환경적 요인, 헤어샵을 예로 가격전략 설명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비교,재정 - 고전학파(기본가정,총수요,총공급,산출량과 물가의 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