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특성이론
행동-인지적 접근
정신분석학적 이론
인본주의적 접근
사회문화적 접근
행동-인지적 접근
정신분석학적 이론
인본주의적 접근
사회문화적 접근
본문내용
잠재기) -> (성기적 성욕)
+일렉트라 콤플렉스
* Freud이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
+방법적 및 개념적 문제
1.프로이드의 결론은 객관적이지 않다.
2.개념적인 문제
3.분석가의 이론이 흔히 환자의 말을 액면 그대로 진실된 것으로 받아들여질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생물학인가? 문화인가?
사회적 요인에 대한 강조
문화적 절대론의 거부
+Freud 발달이론의 비판
구강기 및 항문기적 성격
보편적 외디프스 콤플렉스
+꿈,억압 및 방어에 대한 Freud이론
Freud의 꿈이론
꿈은 현재의 가장 중요한 동기를 표현한다
동일한 문제가 경우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불안과 기억에 관한 실험실 연구
+Freud의 공헌
>우리에게는 가끔 자각되지 않는 모종의 내적 강등이 있다는 개념
>거의 모든 영역의 인간 본성에 대한 관점을 포함하고 있다
인본주의적 접근
-자아실현
* 인본주의 운동의 주요 특징
>결핍욕구(필연적으로 생리적인 욕구에 대해 부족함을 느낌) 이상의 동기를 고려하여야만 한다. -->욕구위계(메슬로우)
+자아실현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
>자아실현자들
-현실지향적, 있는 그대로 받아 들임, 자발적, 소수의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 민주적 가치관
-절정경험을 다른 사람들보다 자주 체험한다.
* 인본주의적 접근의 평가
+경험적 및 개념적 문제점
>자아실현의 개념과 객관성 부족으로 평가가 어려움
+저항운동으로서의 인본주의 심리학
>행동주의와 정신분석학의 개념에 반하여 낙관적이고 넓은 조망에서 인간을 이해해야 한다.(다양한 심리학적 현상을 상기)
사회문화적 관점
-여타의 접근들이 개인에 초점을 두었다는 사실에 반하여 나타난 관점
* 인간의 다양성
+다양한 성격유형
>문화에 따라 다른 성역할이 나타난다.
* 인간의 동질성
+성격의 보편적 유형
>인간에게는 필시 어떤 보편적인 성역할이 있을 것이다.
>문화가 달라도 변하지 않는 성격특성이 있다.
* 집단주의의와 개인주의
현재의 문화와 인종을 집단주의-개인주의의 차원에서 구분한다.
>집단주의 : 공동체의 욕구, 기대 및 가치관이 중요(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등)
>개인주의 : 개인의 목표와 야망이 중요(미국, 서부 유럽, 캐나다, 호주 등)
+내집단과 외집단
>집단주의자들은 개인주의자들보다 내집단(전통적 결속관계에 의해 묶여 있는 집단) 구성원들의 압력에 더 영향을 받는다
* 자아개념의 문화적 차이
서구권 외의 문화에서는 개인을 별개이며 독립적인 존재로 보지 않는다.
사회에서 벗어난 개인적 돌깁성에 가치를 부여하지 않으며, 타인들과 상호의존성을 통하여 자아를 정의한다.
마지막 정리
-특성이론 : 성격을 몇 가지 기본 특징에 기초하여 설명하려 한다.(대다수가 선천적인 것)
-행동적 접근 : 개인의 관찰가능한 외적 행위에 초점을 둔다.
-심리역동적 접근 : 억압된 감정, 갈등, 및 욕구에 초점을 둔다.
-인본주의적 접근 : 개인의 개성과 잠재력의 실현을 강조한다.
-사회문화적 접근 : 개인의 개성과 자아의 몇몇 개념들이 서구 문화의 산물이며, 타 문화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일렉트라 콤플렉스
* Freud이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
+방법적 및 개념적 문제
1.프로이드의 결론은 객관적이지 않다.
2.개념적인 문제
3.분석가의 이론이 흔히 환자의 말을 액면 그대로 진실된 것으로 받아들여질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생물학인가? 문화인가?
사회적 요인에 대한 강조
문화적 절대론의 거부
+Freud 발달이론의 비판
구강기 및 항문기적 성격
보편적 외디프스 콤플렉스
+꿈,억압 및 방어에 대한 Freud이론
Freud의 꿈이론
꿈은 현재의 가장 중요한 동기를 표현한다
동일한 문제가 경우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불안과 기억에 관한 실험실 연구
+Freud의 공헌
>우리에게는 가끔 자각되지 않는 모종의 내적 강등이 있다는 개념
>거의 모든 영역의 인간 본성에 대한 관점을 포함하고 있다
인본주의적 접근
-자아실현
* 인본주의 운동의 주요 특징
>결핍욕구(필연적으로 생리적인 욕구에 대해 부족함을 느낌) 이상의 동기를 고려하여야만 한다. -->욕구위계(메슬로우)
+자아실현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
>자아실현자들
-현실지향적, 있는 그대로 받아 들임, 자발적, 소수의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 민주적 가치관
-절정경험을 다른 사람들보다 자주 체험한다.
* 인본주의적 접근의 평가
+경험적 및 개념적 문제점
>자아실현의 개념과 객관성 부족으로 평가가 어려움
+저항운동으로서의 인본주의 심리학
>행동주의와 정신분석학의 개념에 반하여 낙관적이고 넓은 조망에서 인간을 이해해야 한다.(다양한 심리학적 현상을 상기)
사회문화적 관점
-여타의 접근들이 개인에 초점을 두었다는 사실에 반하여 나타난 관점
* 인간의 다양성
+다양한 성격유형
>문화에 따라 다른 성역할이 나타난다.
* 인간의 동질성
+성격의 보편적 유형
>인간에게는 필시 어떤 보편적인 성역할이 있을 것이다.
>문화가 달라도 변하지 않는 성격특성이 있다.
* 집단주의의와 개인주의
현재의 문화와 인종을 집단주의-개인주의의 차원에서 구분한다.
>집단주의 : 공동체의 욕구, 기대 및 가치관이 중요(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등)
>개인주의 : 개인의 목표와 야망이 중요(미국, 서부 유럽, 캐나다, 호주 등)
+내집단과 외집단
>집단주의자들은 개인주의자들보다 내집단(전통적 결속관계에 의해 묶여 있는 집단) 구성원들의 압력에 더 영향을 받는다
* 자아개념의 문화적 차이
서구권 외의 문화에서는 개인을 별개이며 독립적인 존재로 보지 않는다.
사회에서 벗어난 개인적 돌깁성에 가치를 부여하지 않으며, 타인들과 상호의존성을 통하여 자아를 정의한다.
마지막 정리
-특성이론 : 성격을 몇 가지 기본 특징에 기초하여 설명하려 한다.(대다수가 선천적인 것)
-행동적 접근 : 개인의 관찰가능한 외적 행위에 초점을 둔다.
-심리역동적 접근 : 억압된 감정, 갈등, 및 욕구에 초점을 둔다.
-인본주의적 접근 : 개인의 개성과 잠재력의 실현을 강조한다.
-사회문화적 접근 : 개인의 개성과 자아의 몇몇 개념들이 서구 문화의 산물이며, 타 문화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추천자료
[정신분석이론][행동주의이론] 정신분석이론과 행동주의이론 비교 고찰(정신분석이론과 행동...
[프로이드][프로이트][프로이드이론][프로이트이론][자아][본능][초자아][성격발달이론][정신...
성격이론중 자신의 성격형성을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 1가지를 골라서 이론과 자신의 성장배...
정신분석이론, 심리사회이론, 분석심리이론, 개인심리이론 중 하나의 성격이론을 선 택하여...
프로이드Freud, 분석심리이론, 자아심리이론, 인지발달이론, 행동주의이론, 행동주의적 성격...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영화 ‘굿윌헌팅’을 보고_정신분석적 성격이론 또는 행동주의적 성격이...
성격이론 - 8가지 성격이론의 주요 내용 및 특징 &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이론
[에릭슨 성격발달이론 콜버그 도덕성 발달이론] 에릭슨(Erikson) 성격발달이론과 콜버그(Kohl...
정신역동이론은 인간의 성격을 이해하려는 많은 연구자와 실천가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쳐 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본주의 성격이론 (人本主義性格理論)≫ (인본주의 성격이론의 기본 ...
아들러(Alfred Adler) 이론 중에 가족구도 및 출생순위와 성격의 특징을 정리하시오. 그리고,...
[성격구분이론]성격유형론-프레스더스(Presthus) 이론, 맥클리랜드(McClelland) 이론, 다운즈...
[성격이론] 성격의 특성이론(유형론과 특질론)과 과정이론(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융의 분...
[카텔의 특질이론] 카텔(Cattell)의 성격이론 - 카텔의 생애 특질이론의 주요개념 카텔의 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