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그 밖의 대부분의 성격적인 특성, 이를테면 내향성, 외향성, 지배성 등의 특성과 그 외의 사회적인 동기 같은 것도 이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인간의 심리적 특성이란 개발될 수 있고 또 개발되어야 하며 그것은 취학전 시기인 유년기에 더욱 적절하게 개발될 수 있다고 한다.
환언하면 이 시기에 성격의 기초가 형성되고 그 이후는 再學習(relearing)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그 이후에 極頂的 경험(peak experience)이 계속되면 어린 시절에 형성된 성격에 변화가 오지만 그 변화도 기본적 성격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따라서 가정교육에 있어서는 어린이의 지·덕·체의 조화가 이루어진 전인적인 발달을 재촉하는 것이 중요하고, 어린이가 각 시기에 있어서 획득해 가야 할 발달과제를 확실히 익힐 수 있도록 부모가 어린이에게 작용하여 이를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 가정교육의 기능은 궁극적으로 개개 가정의 열의와 자주적인 노력에 달려 있으나 행정적으로도 가정교육에 관한 부모의 학습기회, 학습내용의 충실이나 정보제공, 상담 체제의 정비 등을 진척시킬 필요가 있다.
2) 학교교육
언제, 어디서나, 누구라도 배울 수 있는 교육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평생교육의 이념은 종래의 학교라는 개념에 대한 발상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배우는 일이 즐거운 일'이라는 경험이 평생교육을 받아야 하는 현대인들에게 가장 필요한 경험이 되어야 한다. 이처럼 오늘날 학교교육은 무엇보다도 배우는 일의 지속을 위하여 학습활동의 즐거움, 학습의욕의 촉진, 학습태도의 정착, 그리고 학습습관의 효율화 등을 학습시킴으로써 학교교육을 필한 후에도 계속 교육받는 것이 보람있는 일이 되도록 해야 한다. 즉 초·중등교육에 있어서는 학습의욕을 길러 사물을 스스로 관찰하고 사고하여 거기에서 즐거움을 발견할 수 있도록 활기 넘치는 인간을 길러내는 것이 중요하다. 평생교육 체제하에서 학교는 여러 차원에서의 기능을 수행할 것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학교는 평생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지역사회에 대한 교육자원의 개방, 교육형태의 탄력화, 학부모 교육, 지역사회와의 연대를 통한 좋은 학교, 좋은 지역사회 만들기 등과 같은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3) 사회교육
사회교육이란 사회라는 여러 생활환경을 교육적으로 조직하여 학교 밖의 민중을 대상으로, 민중의 인간적·국민적·경제적 성장을 촉구하는, 자주적,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하는 교육이다.
Ⅲ. 결론
家庭敎育, 學校敎育, 그리고 社會敎育의 통합과 연계는 서로 간의 限界를 補完하고 상호 협조 적인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그 敎育的 역량을 極大化할 수 있다. 現代社會에서는 科學技術의 가속적인 發達과 지식의 증가로 인한 職業구조의 변화와 사회적 이동의 촉진으로 말미암아 職業 및 사회생활에의 적응을 위한 지속적인 再敎育이 요청된다. 시대와 사회의 변화는 전통적인 學校敎育에 대한 새로운 변화와 多機能的 역할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에 平生敎育의 必要性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더불어 福祉社會의 실현과 敎育機會의 균등한 제공으로 社會正義를 실현하는데 있어서도 平生敎育은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앞에서 살펴보았던 바와 같이 平生敎育은 垂直的으로는 개인의 전생애에 걸친 요람에서 무덤까지, 공간적으로는 전체사회가 하나의 敎育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교육이념이자 哲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개인의 전생애에 걸친 垂直的 시간과 空間的으로 전체사회가 하나의 커다란 교육공간이 이룩되기 위해서는 家庭敎育과 學校敎育 그리고 社會敎育기관이 다같이 노력해야 平生敎育의 이념실현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환언하면 이 시기에 성격의 기초가 형성되고 그 이후는 再學習(relearing)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그 이후에 極頂的 경험(peak experience)이 계속되면 어린 시절에 형성된 성격에 변화가 오지만 그 변화도 기본적 성격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따라서 가정교육에 있어서는 어린이의 지·덕·체의 조화가 이루어진 전인적인 발달을 재촉하는 것이 중요하고, 어린이가 각 시기에 있어서 획득해 가야 할 발달과제를 확실히 익힐 수 있도록 부모가 어린이에게 작용하여 이를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 가정교육의 기능은 궁극적으로 개개 가정의 열의와 자주적인 노력에 달려 있으나 행정적으로도 가정교육에 관한 부모의 학습기회, 학습내용의 충실이나 정보제공, 상담 체제의 정비 등을 진척시킬 필요가 있다.
2) 학교교육
언제, 어디서나, 누구라도 배울 수 있는 교육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평생교육의 이념은 종래의 학교라는 개념에 대한 발상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배우는 일이 즐거운 일'이라는 경험이 평생교육을 받아야 하는 현대인들에게 가장 필요한 경험이 되어야 한다. 이처럼 오늘날 학교교육은 무엇보다도 배우는 일의 지속을 위하여 학습활동의 즐거움, 학습의욕의 촉진, 학습태도의 정착, 그리고 학습습관의 효율화 등을 학습시킴으로써 학교교육을 필한 후에도 계속 교육받는 것이 보람있는 일이 되도록 해야 한다. 즉 초·중등교육에 있어서는 학습의욕을 길러 사물을 스스로 관찰하고 사고하여 거기에서 즐거움을 발견할 수 있도록 활기 넘치는 인간을 길러내는 것이 중요하다. 평생교육 체제하에서 학교는 여러 차원에서의 기능을 수행할 것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학교는 평생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지역사회에 대한 교육자원의 개방, 교육형태의 탄력화, 학부모 교육, 지역사회와의 연대를 통한 좋은 학교, 좋은 지역사회 만들기 등과 같은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3) 사회교육
사회교육이란 사회라는 여러 생활환경을 교육적으로 조직하여 학교 밖의 민중을 대상으로, 민중의 인간적·국민적·경제적 성장을 촉구하는, 자주적,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하는 교육이다.
Ⅲ. 결론
家庭敎育, 學校敎育, 그리고 社會敎育의 통합과 연계는 서로 간의 限界를 補完하고 상호 협조 적인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그 敎育的 역량을 極大化할 수 있다. 現代社會에서는 科學技術의 가속적인 發達과 지식의 증가로 인한 職業구조의 변화와 사회적 이동의 촉진으로 말미암아 職業 및 사회생활에의 적응을 위한 지속적인 再敎育이 요청된다. 시대와 사회의 변화는 전통적인 學校敎育에 대한 새로운 변화와 多機能的 역할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에 平生敎育의 必要性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더불어 福祉社會의 실현과 敎育機會의 균등한 제공으로 社會正義를 실현하는데 있어서도 平生敎育은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앞에서 살펴보았던 바와 같이 平生敎育은 垂直的으로는 개인의 전생애에 걸친 요람에서 무덤까지, 공간적으로는 전체사회가 하나의 敎育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교육이념이자 哲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개인의 전생애에 걸친 垂直的 시간과 空間的으로 전체사회가 하나의 커다란 교육공간이 이룩되기 위해서는 家庭敎育과 學校敎育 그리고 社會敎育기관이 다같이 노력해야 平生敎育의 이념실현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