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양반의 의식주
의
식
주
한국 전통 의식주
의
식
주
의
식
주
한국 전통 의식주
의
식
주
본문내용
.
참고로 사극에 보면 조끼가 나오기도 하지만, 조끼가 나온 것은 근대 서양 의복의 영향 때문이라고 한다.
2. 조선 시대 선비들이 갓과 도포에 신는 신발도 있다.
평민들은 짚세기를 신었고, 주로 갖신을 신었습니다. 그리고 나막신 등도 신기도 하였으며, 그밖에 다양한 신이 있었습니다. 그래도 주로 신고 다녔던 신발은 갖신이나 혜화 등이다.
조선시대 양반들은 짚신이나 미투리를 신는 것을 수치로 생각하였다. 물론 그렇지 않고 평상시에도 신는 이들이 있었으나 대부분이 그리하다. 실제로도 불편하기도 했다. 그래서 노루가죽 같은 아주 비싼 가죽으로 된 갖신을 선호하였다.
<한국인의 의생활>
사계가 뚜렷하고 일교차가 심한 한반도의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한민족의 조상들은 겨울에는 찬바람과 추위를 막아 주는 따뜻한 견직물관 모직물을 즐겨 입고, 여름에는 덥고 습윤한 기후에 견딜 수 있는 통기성과 땀을 잘 흡수하는 삼베와 모시를 즐겨 입었다. 삼국시대이후로 한민족의 남정네들은 통이 넓은 바지와 길이가 둔부까지 내려오는 저고리를 즐겨 입었으며, 부녀자들도 통이 넓은 바지와 품이 넓은 치마, 둔부까지 내려오는 저고리를 즐겨 입었다.
전통적으로 서민들의 의생활은 여름에는 주로 삼베와 목면을 즐겨 입었고, 봄가을에는 목면을 즐겨 입었으며, 겨울에는 목면에 솜을 넣어 누빈 겹옷을 즐겨 입었다. 반면에 부유한 사람들은 여름에는 삼베와 모시옷을 즐겨 입었고, 겨울에는 명주에 솜이나 털을 넣어 누빈 옷을 즐겨 입었으며, 여름에는 옷이 몸에 착달라 붙지 않도록 '등잠'을 걸치고 '토시'를 낀 후에 겉옷을 입었다. 양반들은 여름에도 버선을 신고 미투리나 갖신을 신었으며, 서민들은 맨발에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오는 날에는 머리에 우장을 덮어 썼고, 나막신을 신었다. 조선시대 후기에 이르러 겨울에 남정네들은 방안에 있을 때 마고자를 즐겨 입었으며, 부녀자들은 배자(褙子)를 즐겨 입었다. 외출할 때는 방한모를 쓰는데 남정네들은 '풍차'를 즐겨 썼고, 부녀자들은 '조바위'나 '아얌'을 즐겨 썼다. 외출할 때는 여름에도 양반들은 도포와 흑립으로 의관을 갖추었고, 부녀자들은 머리에 장옷을 덮어 쓰고 외출을 하였고 외간남자와 마주치면 얼굴을 피하였다. 그리고 혼례 때에는 신랑은 청색의 관복을 입고, 혁대를 두르고, 사모를 쓰고, 혁화를 신고, 한삼을 손목에 끼운다. 신부는 꽃버선과 꽃신을 신고, 원삼을 입고 족두리를 쓰거나 활옷을 입고 화관을 쓴다.
참고로 사극에 보면 조끼가 나오기도 하지만, 조끼가 나온 것은 근대 서양 의복의 영향 때문이라고 한다.
2. 조선 시대 선비들이 갓과 도포에 신는 신발도 있다.
평민들은 짚세기를 신었고, 주로 갖신을 신었습니다. 그리고 나막신 등도 신기도 하였으며, 그밖에 다양한 신이 있었습니다. 그래도 주로 신고 다녔던 신발은 갖신이나 혜화 등이다.
조선시대 양반들은 짚신이나 미투리를 신는 것을 수치로 생각하였다. 물론 그렇지 않고 평상시에도 신는 이들이 있었으나 대부분이 그리하다. 실제로도 불편하기도 했다. 그래서 노루가죽 같은 아주 비싼 가죽으로 된 갖신을 선호하였다.
<한국인의 의생활>
사계가 뚜렷하고 일교차가 심한 한반도의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한민족의 조상들은 겨울에는 찬바람과 추위를 막아 주는 따뜻한 견직물관 모직물을 즐겨 입고, 여름에는 덥고 습윤한 기후에 견딜 수 있는 통기성과 땀을 잘 흡수하는 삼베와 모시를 즐겨 입었다. 삼국시대이후로 한민족의 남정네들은 통이 넓은 바지와 길이가 둔부까지 내려오는 저고리를 즐겨 입었으며, 부녀자들도 통이 넓은 바지와 품이 넓은 치마, 둔부까지 내려오는 저고리를 즐겨 입었다.
전통적으로 서민들의 의생활은 여름에는 주로 삼베와 목면을 즐겨 입었고, 봄가을에는 목면을 즐겨 입었으며, 겨울에는 목면에 솜을 넣어 누빈 겹옷을 즐겨 입었다. 반면에 부유한 사람들은 여름에는 삼베와 모시옷을 즐겨 입었고, 겨울에는 명주에 솜이나 털을 넣어 누빈 옷을 즐겨 입었으며, 여름에는 옷이 몸에 착달라 붙지 않도록 '등잠'을 걸치고 '토시'를 낀 후에 겉옷을 입었다. 양반들은 여름에도 버선을 신고 미투리나 갖신을 신었으며, 서민들은 맨발에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오는 날에는 머리에 우장을 덮어 썼고, 나막신을 신었다. 조선시대 후기에 이르러 겨울에 남정네들은 방안에 있을 때 마고자를 즐겨 입었으며, 부녀자들은 배자(褙子)를 즐겨 입었다. 외출할 때는 방한모를 쓰는데 남정네들은 '풍차'를 즐겨 썼고, 부녀자들은 '조바위'나 '아얌'을 즐겨 썼다. 외출할 때는 여름에도 양반들은 도포와 흑립으로 의관을 갖추었고, 부녀자들은 머리에 장옷을 덮어 쓰고 외출을 하였고 외간남자와 마주치면 얼굴을 피하였다. 그리고 혼례 때에는 신랑은 청색의 관복을 입고, 혁대를 두르고, 사모를 쓰고, 혁화를 신고, 한삼을 손목에 끼운다. 신부는 꽃버선과 꽃신을 신고, 원삼을 입고 족두리를 쓰거나 활옷을 입고 화관을 쓴다.
추천자료
조경배식학
연암 박지원의 문학관과 작품의식
축전지의충방전
[유기농][유기농업][유기농법][유기농육성]유기농업의 발생 배경, 유기농업의 필요성, 유기농...
신서비스개발 서비스설계요소 서비스청사진 프로세스구조를통한전략적포지셔닝 서비스프로세...
[직업][직종][유망직업][유망직종][직업관][외국 유망직업 사례][직업인][직업세계][직업윤리...
[3 1운동][일제시대][독립운동][일제식민시대]3 1운동의 원인, 3 1운동의 형태, 3 1운동의 준...
[퓨전][퓨전문화][퓨전음식][퓨전요리]퓨전(퓨전문화)의 개념, 한국 사회의 퓨전(퓨전문화), ...
호텔식음료분야의 업무현황 및 취업전략에 관한 연구
안산대학교 간호과 엔비 과제(ROM, 도뇨, 베드베이킹,식이, 비위관, 호흡, 혈압 등 24개)
식이 섬유소란? 식이섬유소의 인체내의 기능은?
[의식구조][일본인][납세자][계층][여대생음주][청소년][의식][논리의식][공동체의식][의식변...
[기업집단][기업그룹][기업집단 현황][기업집단 형성][기업집단 지배구조][기업그룹 지배구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