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 섬유소란? 식이섬유소의 인체내의 기능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이 섬유소란? 식이섬유소의 인체내의 기능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식이섬유소의 정의

- 식이섬유의 종류
1) 수용성 식이섬유
2) 비수용성 식이섬유

- 식이섬유의 인체내 역할
1. 식이섬유의 생리적 기능
2. 작용기전
(1) 배변작용
(2) 혈장 콜레스테롤의 저하
(3) 식사 후 당분의 흡수속도 조절
(4) 포만감을 부여하여 과식을 방지함으로써 체중조절을 도움
(5) 체지방의 축적감소

본문내용

식사를 할 때와 비교해보면 알 수가 있습니다. 췌장의 기능이 정상적인 경우, 섭취한 음식물로부터 혈액에 흡수된 당분의 양에 따라 인슐린이 분비되는데, 분비된 인슐린은 혈액 내 혈당치의 수치를 정상으로 돌려 놓습니다.
고식이섬유 식사를 하게 되면 영양소의 흡수는 서서히 일어나 소장의 아랫 부위까지 소화물이 내려가면서 영양소가 흡수되므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도 서서히 올라 가지만, 식이섬유가 거의 없는 식사를 하였을 경우 소화와 흡수속도가 대단히 빨라 소장의 윗부분에서 이미 흡수가 완료되므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급격히 상승했다가 크게 떨어집니다.
이와 같이 혈중 포도당 농도가 급격히 높아지게 되면 짧은 시간내에 많은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므로 인슐린의 분비기관인 췌장을 혹사시키거나 손상시켜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고식이섬유를 섭취하면 인슐린의 단시간내의 과다분비 필요성을 감소시켜서 많은 양의 당의 섭취에 대한 두려움 없이 많은 식사를 즐길 수 있도록 하여 줍니다.
고식이섬유 식사가 식이섬유가 부족한 식사에 비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를 낮게 유지한다는 것은 거의 확실시되고 있으므로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4) 포만감을 부여하여 과식을 방지함으로써 체중조절을 도움
비만은 섭취열량이 소비열량을 초과할 때 생깁니다.
과잉의 에너지는 복부 등의 부위에 지방으로서 저장됩니다. 보통 정상체중을 약 20% 초과했을 때 비만인으로 불립니다. 비만인은 당뇨, 심장병, 고혈압, 그리고 동맥경화의 위험률이 15 ~ 20% 가량 증가한다고 합니다.
식이섬유는 수분과 결합했을 때 부피가 증가하고 섭취 후 위장이 가득찬 느낌을 갖게 됩니다. 또한 섭취한 음식이 위장 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고, 위로부터 소장에 이르는 시간을 연장할 뿐 아니라 천천히 소화, 흡수되도록 하여상당히 오랫동안 포만감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과식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섭취칼로리를 줄일 수 있어 비만을 줄일 수 있습니다.
(5) 체지방의 축적감소
식이섬유는 체내에 들어가 위장과 장을 통과할 때 수분을 흡수하여 젤리처럼 굳어져 강한 점성을 갖는데, 이때강한 흡착력으로 인해 지방을 흡착하여 체내로 흡수되는 속도를 늦춰 주거나 지방의 배설을 촉진하므로써 체내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줄여줍니다.
시중에 다이어트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식이섬유를 주종으로 하고 있는데 바로 이러한 원리 때문인 것입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2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