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상담자의 소진현상(열광, 침체, 좌절, 무감동, 절망)과 극복방안
본문내용
신이 직접 나서서 온실을 만들고 가꿀 필요가 있다.
4.일터에서 전문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늘 재미를 찾고 유머 감각을 잃지 않도록 노력한다. 상담자는 심각한 일을 수행하는 가운데서도 유머 감각을 잃지 말고 동료들과 우스개 소리나 농담도 나누고 함께 웃고 재미를 느끼고 신나게 "놀 수 있는"기회를 자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5."충분히 좋은 상담자"(good-enough practitioner)가 되고자 노력한다. 완벽한 상담자가 아니라 개개인이 내담자를 위해 충분히 좋은 상담자가 되려고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상담자가 사적인 자아(the personal self)를 보살피고 유지하려면?
1.재충전을 위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다.
상담자는 각자 자신의 취향에 따라 재충전을 위한 시간과 방법(예 : 옥외 활동, 운동, 여행, 화초 가꾸기 등)을 찾고 규칙적으로 재충전의 기회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2.주위 사람들의 지지와 보살핌을 구한다.
사적인 영역에서는 적어도 몇몇 사람들과는 서로 경험을 나누고 지지해 줄 수 있는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담자에게 좋은 것은 상담자에게도 좋은 것이다(what is good for clients is good for us).
나오는 말
상담하는 것 자체가 정신노동이며 긴장의 연속이기 때문에 상담자는 자신을 잘 보호하고 누적되는 긴장을 경계하고 이를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상담후 자신에게 긴장을 주는 사건이나 감정을 동료상담자와 토론하거나, 교육분석을 통해 전문적 자질 향상과 상담자 자신의 정신건강에 기여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명상, 단전호흡, 음악감상 등 나름대로 이완기법을 적용하여 자신을 이완시킬 수 있다. 또한 상담과정에 대한 현실적 기대를 함으로써 스스로를 보호하는 등 자신에 대한 돌봄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
참고문헌
Aguilera and Missick91982), Crisis Intervention, Burnout Syndrome, pp 179-185
T. Skovholt(Minnesota. univ), Beyond Burnout : Practitioner self-care and well-being. 1999 Pines, A, M.,
et.al.,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 Macmillan, 1981. pp. 37-38
4.일터에서 전문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늘 재미를 찾고 유머 감각을 잃지 않도록 노력한다. 상담자는 심각한 일을 수행하는 가운데서도 유머 감각을 잃지 말고 동료들과 우스개 소리나 농담도 나누고 함께 웃고 재미를 느끼고 신나게 "놀 수 있는"기회를 자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5."충분히 좋은 상담자"(good-enough practitioner)가 되고자 노력한다. 완벽한 상담자가 아니라 개개인이 내담자를 위해 충분히 좋은 상담자가 되려고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상담자가 사적인 자아(the personal self)를 보살피고 유지하려면?
1.재충전을 위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다.
상담자는 각자 자신의 취향에 따라 재충전을 위한 시간과 방법(예 : 옥외 활동, 운동, 여행, 화초 가꾸기 등)을 찾고 규칙적으로 재충전의 기회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2.주위 사람들의 지지와 보살핌을 구한다.
사적인 영역에서는 적어도 몇몇 사람들과는 서로 경험을 나누고 지지해 줄 수 있는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담자에게 좋은 것은 상담자에게도 좋은 것이다(what is good for clients is good for us).
나오는 말
상담하는 것 자체가 정신노동이며 긴장의 연속이기 때문에 상담자는 자신을 잘 보호하고 누적되는 긴장을 경계하고 이를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상담후 자신에게 긴장을 주는 사건이나 감정을 동료상담자와 토론하거나, 교육분석을 통해 전문적 자질 향상과 상담자 자신의 정신건강에 기여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명상, 단전호흡, 음악감상 등 나름대로 이완기법을 적용하여 자신을 이완시킬 수 있다. 또한 상담과정에 대한 현실적 기대를 함으로써 스스로를 보호하는 등 자신에 대한 돌봄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
참고문헌
Aguilera and Missick91982), Crisis Intervention, Burnout Syndrome, pp 179-185
T. Skovholt(Minnesota. univ), Beyond Burnout : Practitioner self-care and well-being. 1999 Pines, A, M.,
et.al.,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 Macmillan, 1981. pp. 3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