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본조사의 방법 및 이점
본문내용
사례연구 및 참여 관찰법에서도 실지로는 선택성이 작용함.
4. 표본추출법의 종류4.1 확률 표집법4.1.1 순 무작위 표집법 가장 기본적인 유형으로, 각 요소가 표본으로 선발될 확률이 동등하다는 원칙 현실적인 이유로 실제 사회 과학에서는 별로 사용하지 않음.
4.1.2 층화 표집법 모집단을 일련의 하위 집단들로 층화시킨 다음 각 하위 집단에서 적절한 수의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모집단을 동질적인 하위 집단으로 재구성 -> 비례 층화( 모집단의 상대 비율에 근거하여 각 층별로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하는 방법)와 비 비례 층화(모집단을 주요 변수별로 층화시켜 연속적인 명단을 마련히고서 계층적으로 추출하는 방법)
4.1.3 집단 표집법 (집락 표집) 표집 단위가 집락으로 개인명부의 준비가 현실적으로 곤란한 경우에, 일단 집락으로 추출하고서 다시 개인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 집락은 이질적으로 구성함 고려 사항 : 집락의 수와 집락내의 요소 수의 배분방법
4.1.4 가중표집 확률 표집의 논리를 따른 변의도 필요에 따라 표집율을 달리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4.2 비확률 표집법 확률 표집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면이 있음 모집단의 정확한 규정이 곤란한 경우에 사용
4.2.1 임의 표집법 임의적인 조사자의 표집방법. 예) TV 방송국에서 100명의 성인 남자를 면접할 때 아무나 지나가는 사람을 잡고 질문하는 경우 즉 " 길거리에 지나가는 사람들과의 면접"의 경우
4.2.2 질적 유의 표집법 목적적 표집 ; 중요한 변수에 대하여 한정된 범위의 표본만을 추출하는 접근
두가지 접근 방법 - 극단적 사례표본 - 어떤 변수상 극단적인 값을 갖는 사례들만을 대표하든가 과잉 표집. 예) 에베레스트 등반대의 연구 - 회귀요소표본 - 비교적 빈도가 낮은 사례들만 특별히 선별. 예) 성인 남자중 기혼자만이 연구의 대상4.2.3 이질적 유의 표집법 여러 가지 성질의 대상을 표본으로 추출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 모집단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골고루 표집되도록 주안을 둠. 즉 특정변수들을 중심으로 모집단을 몇 개의 부분 범주틀로 나눈 다음에 각 범주에서 모집단의 인구수에 비례하는 비율로 표본을 추출. 예 ) 전국 표본에서 도시와 농촌, 남녀, 나이 25세 미만의 집단, 근로자 계급, 기독교인 같은 범주들을 차례로 행렬에다 배열하고 각 범주의 상대적 비율에 따라 비례적으로 특성을 지닌 대상을 각 범주에서 일정한 숫자만 확보함.
4.2.4 구조적 표본 지배의 위계 서열, 사회 측정법의 그물, 의사 소통 그물과 같은 구조적 관계상의 위치로 표집당한 표본 이론적인 의미로 보아 중요성을 띠는 특정 관계 속의 단위를 표집 단위로 삼는 특수방법
4.2.5 전략적 제보자 표집법 인류학에서 주로 사용하고 사회학에서 점차 도입함. 동질적이며 구조적인 표본 추출법이 전략적 제보자 표집법임. 사회조직체, 지역 공동체, 총체적 사회를 연구하는 경우에 지식과 정보의 불균등 배분을 전제로 가정하는 접근 특정 집단의 성격에 관하여 가장 정확하고 일차적인 정보를 가장 많이 가진 사람들을 표본으로 뽑는 방법
4.2.6 판단 표집법 광의의 유의표집법으로 표집 기준만을 명시한 지침서를 만든 다음 현지 조사원 또는 면접자에게 마지막 표집 단위의 추출은 전적으로 그의 판단에 의거해서 실시하도록 하는 방법
4.2.7 공간 표집법 일정하게 한정된 모집단이 없고 부분 집단이 생겼다가 해체되고 다시 생기기를 반복하는 경우, 굳이 집단 자체를 규정하고 표집하려 하기보다는 어떤 중요한 사건이 일어나는 공간을 표집 대상으로하여 공간안에서 동시에 몇 명의 조사원이 사람들을 표집하는 방법 사회 운동과 군집 운동에 대한 연구시 사용
4. 표본추출법의 종류4.1 확률 표집법4.1.1 순 무작위 표집법 가장 기본적인 유형으로, 각 요소가 표본으로 선발될 확률이 동등하다는 원칙 현실적인 이유로 실제 사회 과학에서는 별로 사용하지 않음.
4.1.2 층화 표집법 모집단을 일련의 하위 집단들로 층화시킨 다음 각 하위 집단에서 적절한 수의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모집단을 동질적인 하위 집단으로 재구성 -> 비례 층화( 모집단의 상대 비율에 근거하여 각 층별로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하는 방법)와 비 비례 층화(모집단을 주요 변수별로 층화시켜 연속적인 명단을 마련히고서 계층적으로 추출하는 방법)
4.1.3 집단 표집법 (집락 표집) 표집 단위가 집락으로 개인명부의 준비가 현실적으로 곤란한 경우에, 일단 집락으로 추출하고서 다시 개인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 집락은 이질적으로 구성함 고려 사항 : 집락의 수와 집락내의 요소 수의 배분방법
4.1.4 가중표집 확률 표집의 논리를 따른 변의도 필요에 따라 표집율을 달리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4.2 비확률 표집법 확률 표집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면이 있음 모집단의 정확한 규정이 곤란한 경우에 사용
4.2.1 임의 표집법 임의적인 조사자의 표집방법. 예) TV 방송국에서 100명의 성인 남자를 면접할 때 아무나 지나가는 사람을 잡고 질문하는 경우 즉 " 길거리에 지나가는 사람들과의 면접"의 경우
4.2.2 질적 유의 표집법 목적적 표집 ; 중요한 변수에 대하여 한정된 범위의 표본만을 추출하는 접근
두가지 접근 방법 - 극단적 사례표본 - 어떤 변수상 극단적인 값을 갖는 사례들만을 대표하든가 과잉 표집. 예) 에베레스트 등반대의 연구 - 회귀요소표본 - 비교적 빈도가 낮은 사례들만 특별히 선별. 예) 성인 남자중 기혼자만이 연구의 대상4.2.3 이질적 유의 표집법 여러 가지 성질의 대상을 표본으로 추출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 모집단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골고루 표집되도록 주안을 둠. 즉 특정변수들을 중심으로 모집단을 몇 개의 부분 범주틀로 나눈 다음에 각 범주에서 모집단의 인구수에 비례하는 비율로 표본을 추출. 예 ) 전국 표본에서 도시와 농촌, 남녀, 나이 25세 미만의 집단, 근로자 계급, 기독교인 같은 범주들을 차례로 행렬에다 배열하고 각 범주의 상대적 비율에 따라 비례적으로 특성을 지닌 대상을 각 범주에서 일정한 숫자만 확보함.
4.2.4 구조적 표본 지배의 위계 서열, 사회 측정법의 그물, 의사 소통 그물과 같은 구조적 관계상의 위치로 표집당한 표본 이론적인 의미로 보아 중요성을 띠는 특정 관계 속의 단위를 표집 단위로 삼는 특수방법
4.2.5 전략적 제보자 표집법 인류학에서 주로 사용하고 사회학에서 점차 도입함. 동질적이며 구조적인 표본 추출법이 전략적 제보자 표집법임. 사회조직체, 지역 공동체, 총체적 사회를 연구하는 경우에 지식과 정보의 불균등 배분을 전제로 가정하는 접근 특정 집단의 성격에 관하여 가장 정확하고 일차적인 정보를 가장 많이 가진 사람들을 표본으로 뽑는 방법
4.2.6 판단 표집법 광의의 유의표집법으로 표집 기준만을 명시한 지침서를 만든 다음 현지 조사원 또는 면접자에게 마지막 표집 단위의 추출은 전적으로 그의 판단에 의거해서 실시하도록 하는 방법
4.2.7 공간 표집법 일정하게 한정된 모집단이 없고 부분 집단이 생겼다가 해체되고 다시 생기기를 반복하는 경우, 굳이 집단 자체를 규정하고 표집하려 하기보다는 어떤 중요한 사건이 일어나는 공간을 표집 대상으로하여 공간안에서 동시에 몇 명의 조사원이 사람들을 표집하는 방법 사회 운동과 군집 운동에 대한 연구시 사용
추천자료
(조사론) 설문조사
(사회과학조사 방법론) 설문조사 방법론
웰빙에 대한 인식과 행동조사(대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첨부)
[사회복지조사론] 사회조사가 사회복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 방법
전실험조사설계와 유사실험조사설계
전실험조사설계와 유사실험조사설계의 특징과 종류
양적조사와 질적조사
방통대 <사회복지조사론 과제물 a형> 양적조사에서의 접근 자세에 대해 논하시오
방통대 <사회복지조사론 과제물c형> 양적조사에서의 질문지 작성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논하...
마케팅 조사 믹스 4Ps와 조사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본인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제...
[사회복지조사론] 과학과 조사연구방법
[사회복지조사론] 연구디자인의 유형 - 실험디자인, 비실험디자인, 선실험 디자인, 유사실험...
[사회복지조사론] 실험조사설계의 타당도 -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의 의의와 저해요인 및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