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회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 교회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독교 교회사

본문내용

s Oglethorpe)는 종교적 박해를 받는 자들을 위해 식민지를 건설하였다. 말씀의 봉사자로 죤 웨슬레, 찰스 웨슬레, 죠지 휫필드 등이 있었다. 죠나단 에드워즈, 죠지 휫필드 등이 대각성 운동(1740-1741)과 관련이 있다.
9). 감리교와 웨슬레 형제(1)
감리교도들은 영국국교회에 찬송가를 도입시킨 장본인들이다. 아이삭 와츠와 찰스 웨슬레의 공로로 인하여 찬송가가 불려졌다. 이것은 찰스 웨슬레가 7,000여편의 찬송 시를 쓴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그 이전에는 시편만 노래했었다.
감리교(Mehtodist)의 기원을 알아보자.
1729년 옥스포드 대학에서 부흥 운동이 시작되었는데 몇몇 학생 중심으로 '신성화?'이라는 단체가 결성되었다. 이들은 성경을 열심히 연구하였다. 그들은 매일 주어진 시간을 잘 활용하였다. 여기에서 그들에게 '감리교도'(Mothodist-직역하면 '규율 주의자')였다. 이 말은 "짜여진 계획에 따라 생활해 나가는 사람들"이라는 의미이다. 그들은 하나님의 단독 사역으로 인간이 구원을 받게 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10). 감리교와 웨슬레 형제(2)
웨슬레 형제가 회심하여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깨달았다. 이것이 감리교 운동에 크다란 영향을 미쳤다. 하나님의 성령의 역사로 인해 회심의 체험을 하지 않고서는 아무도 감리교도가 될 수 없었다. 중생, 성화, 용서, 칭의 등이 주요 교리였다. 웨슬레는 5개 국어에 대한 문법책을 저술하고, 성경 주석을 쓰고, 50여권 되는 총서를 저술했을 정도로 학식이 풍부하였다. 웨슬레의 활동 가운데 가장 훌륭한 것은 '일기'이다. 감리교회는 영국 국교회로부터 전혀 분리될 의도가 없이 시작된 운동이었으나 주교들이나 성직자들로부터 적대적 대접을 받았다. 감리교회는 영국 국교회 내의 교회였다. 1795년 웨슬레가 세상을 떠나자 영국 국교회와 결별하게 되었다. 미국의 볼티모어는 미국 감리교회의 총 본거지이다. 감리교가 국가적으론 영국에서 혁명을 방지하는데 공헌함과 동시에 교회적으로는 영국국교회 내에서 참된 신앙의 부흥이 일어나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11), 감리교와 죠지 휫필드.
휫필드는 회심의 체험을 하였다. 휫필드는 미국의 13개 식민지를 다니며 놀라운 사역을 펼쳐 나갔다. 처음에는 웨슬레와 동역 하였으나 나중에는 독자노선을 걸었다. 휫필드의 신학은 칼빈주의 적이었고 웨슬레는 알미니우스 적이었다. 휫필드는 야외 집회를 자주 인도하였다. 휫필드의 설교에는 회개,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 부활하신 그리스도, 승천하신 그리스도 등 복음의 본질과 전체를 선포하였다. 그는 1770년 5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7. 19세기의 교회 부흥의 특징은 무엇인가?
영국, 북 아메리카의 형편을 설명하시오
19세기 교회 부흥의 특징은 한마디로 '선교'에 의한 부흥이라 할 수 있겠다. 사실상 종교개혁 자체도 위대한 선교 노력이었다고 볼 수 있다.
잘 알려진 선교사들로는 인도로 간 윌리암케리, 버마로 간 져드슨, 아프리카로 간 리빙스턴(David Livingstone), 모파트, 요한 반 더 켐프 등이 있다. 또 식인종들이었던 태평양 섬 원주민들에게 죤 페이턴, 죤 게디 등이 선교사로 갔다. 또 중국으로는 윌리엄 챔머스 번즈, 로버트 모리슨, 허드슨 테일러 등이 있다.
19세기는 위대한 선교의 세기였다고 평가된다. 뿐만 아니라 20세기말에 사는 우리의 사명도 선교인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고 잠시 후 닥칠 21세기에도 여전히 우리의 사명은 선교라 할 수 있겠다.
영국의 형편
교회에 나가지 않는 어린이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주일학교를 최초로 개설하였다. 당시 가장 복음 적인 영국 국교회 단체 가운데는 소위 '클래팜파'가 있었다. 그의 샤프츠베리, 모리스, 킹슬리 등이 있다. 영국 국교회의 복음 적인 기운을 19세기 동안에 걸쳐 유능한 설교자들을 계속 배출해 내었다. 이들 중 라일(Ryle)이 대표적 인물이다. 19세기 초 1804년 '영국 및 해외 성서공회'가 설립되었다. 창립 된지 119년만에 삼억삼천육백만부의 성경이 판매되었다. 19세기는 영국 교회의 활동이 왕성한 시기였다. 연맹, 연합회와 같은 단체들이 교회의 활동을 더욱 활발하게 하기 위하여 생겨났다.
'복음주의 연맹', '기독교 청년 연합회', '고아원'등이 생겨났다.. 19세기 동안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갖가지 형태의 자선 사업에 참여하였다. 넓은 안목으로 보면 19세기는 기독교가 뿌리를 내리는 시기였다. 19세기 영국의 가장 훌륭한 설교자는 찰스 에이든 스펄젼이다. 스펄젼은 설교뿐 아니라 월간 잡지'칼과 흙손', 주석 등을 간행했다. 스펄젼은 교리적으로는 칼빈주의 적이었다. 19세기 후반에 나타난 '진화론', '고등 비평'이 교회를 좀먹었다. 진화론과 고등 비평이 초래한 한 가지 결과는 '다운그레이드 논쟁'이었는데 이것은 스펄젼과 관계된 것이며 스펄젼 사망 후 그의 지지자들은 '성경 연맹을 결성했다'. 19세기에 '플리머 형제단', '구세군'이 생겨났으며 초기 형제단 가운데 죠지뮬러도 포함되어 있다. 19세기말에 '크리스찬 사이언스', '여호와의 증인', '몰몬교', '그리스도 형제단'등의 이단들이 출현했다.
북 아메리카
북 아메리카에 있어서 종교적 발전은 영국과 서 유럽의 교회들과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진행되었다. 모든 교파들은 새로운 지역에로 꾸준한 확장과 발전을 보였다. 이때 인디안 원주민 사역도 있었다. 원주민 목사들이 그들의 언어로 예배를 인도하게 되었다. 북아메리카의 모든 교회에게 영향을 미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노예제도였다. 교회 내에서도 노예제도에 대한 대응 자세가 다양했다. 죠지 휫필드는 노예제도를 인정하였고 죤 웨슬레는 반대하였다. 다양한 민족이 섞여 있는 상황에서 이단들이 나타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말일 성도 교회(몰몬교)', '안식교'등이 있다. 19세기 미국에 나타난 주목할 만한 현상은 주일학교가 굳게 성장 하였다는 것이다. 주일학교는 이제 교회의 필수적인 기관 중 하나가 되었다. 미국은 부흥사 찰스피니, 신학자 찰스핫지, 알렉산드 핫지, 전도자 드와이트 무디를 배출해 냈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09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