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압밸브
본문내용
가능하고
중립에서 펌프가 언로드됨
※스풀형식
- 3위치 밸브의 중립위치에서 각 포트간 연결상태를 나타냄
- 실린더, 모터의 전진(정전), 후진(역전)외에 중립위치에서 실린더등의
정지 또는 펌프 언로드기능을 하는 것
- 밸브는 스풀형식에 따라 중립위치의 기능이 달라짐
[포트 3위치 전환밸브의 스풀형식과 표시기호]
스풀형식 및 기호표시
사용예
설명
올포트 블록
크로스센터
중립위치에서 모든 포트가 폐쇠되어 유로가 차단됨
◆ 액츄에이터를 확실히 정지시킴
◆펌프의 유압을 다른 액츄에이터에 사용가능
올포트 오픈
오픈센터
올포트블록과는 반대로 모든 포트가 접속되어 있어서 작동측과 부하측이 모두 탱크로 통하고 있음
◆ 경부하 또는 저속에서 관성에 의한 스스로 이동의 우려가 적은 부하의 정지에 적합
◆ 정지시 충격이 적음
◆ 펌프언로드가 됨
ㅡ프레셔포트 블록
(A.B.R 접속)
포트 P만 폐쇄되고 나머지 A,B는 포트 T에 접속되어 있다.
◆ 경부하 또는 저속에서 관성에 의한 스스로 움직임의 우려가 적은 부하의 정지에 적합
◆ 펌프의 압유을 다른 액츄에이터에 사용가능
실린더포트 블록
(A.P.R 접속)
포트 B만 폐쇄되고, 포트 P는 포트 A 및 포트 T에 접속되어 있음
◆ 펌프언로드가 요구되고 부하에 의한 스스로 움직임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
센터 바이패스
(과도기 크로스)
(P.R 접속)
포트 P와 포트 T가 접속되고 나머지 포트 A, B는 폐쇄되어 있음
◆ 작동기를 확실히 정지할 수 있음
◆ 펌프언로드가 됨
탱크포트 블록
(A.B.P 접속)
포트 P에서 A, B로 통하고 포트 T는 폐쇄되어 있음.
◆ 중립위치에서 전진행정은 차동회로로서 증속할 수 있다.
사이드포트 블록
(A.R 접속)
포트 B와 P는 폐쇄되고 포트 A와 T가 통하고 있음.
◆ B포트에 압유가 누출될 때 피스톤이 후진하여도 안전할 때에 사용
◆ 펌프의 압유을 다른 액츄에이터에 사용가능
[방향전환밸브의 리턴기능]
리턴기능명칭
약어
기능설명
스프링센터형
C
3위치밸브이며 신호를 보내면 중립위치에서 좌우 어느위치로 전환되고 신호를 끊으면 자동적으로 중립위치로 귀환
노-스프링형
N
2위치밸브이며 신호를 끊어도 그대로의 위치로 계속 유지된다. 다만, 수동조작밸브에서는 유지기구를 붙여서 3위치밸브로 하는것도 있음 (솔레노이드의 소손이나 순간정정시에도 가공물을 조인 상태에서 가공할 수 있음)
스프링옵셋형
B
2위치밸브이며 신호를 주면 노말포지션에서 한쪽위치로 전환되고 신호를 끊으면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돌아온다(오동작으로 스프링백하여도 지장이 없는 회로에 사용)
※ 스풀밸브와 유체 고착(Stick) 현상
- 원통형의 스풀밸브는 고압 아래서 장시간 전환된 상태로 방치하면 다음 전환시 스풀이 움직이지
않는 수가 있다. 이것을 스풀밸브의 고착현상이라 함.
- 유체고착의 원인
■더트-록(Dirt Lock) : 틈에 먼지가 끼어서 고착을 일으키는 현상
■하아드로릭(Hydraulic Lock) : 틈의 누출로 생기는 스풀축 직각방향의 불평형압력에 의해
스풀이 슬리브의 한쪽으로 밀려나는 현
중립에서 펌프가 언로드됨
※스풀형식
- 3위치 밸브의 중립위치에서 각 포트간 연결상태를 나타냄
- 실린더, 모터의 전진(정전), 후진(역전)외에 중립위치에서 실린더등의
정지 또는 펌프 언로드기능을 하는 것
- 밸브는 스풀형식에 따라 중립위치의 기능이 달라짐
[포트 3위치 전환밸브의 스풀형식과 표시기호]
스풀형식 및 기호표시
사용예
설명
올포트 블록
크로스센터
중립위치에서 모든 포트가 폐쇠되어 유로가 차단됨
◆ 액츄에이터를 확실히 정지시킴
◆펌프의 유압을 다른 액츄에이터에 사용가능
올포트 오픈
오픈센터
올포트블록과는 반대로 모든 포트가 접속되어 있어서 작동측과 부하측이 모두 탱크로 통하고 있음
◆ 경부하 또는 저속에서 관성에 의한 스스로 이동의 우려가 적은 부하의 정지에 적합
◆ 정지시 충격이 적음
◆ 펌프언로드가 됨
ㅡ프레셔포트 블록
(A.B.R 접속)
포트 P만 폐쇄되고 나머지 A,B는 포트 T에 접속되어 있다.
◆ 경부하 또는 저속에서 관성에 의한 스스로 움직임의 우려가 적은 부하의 정지에 적합
◆ 펌프의 압유을 다른 액츄에이터에 사용가능
실린더포트 블록
(A.P.R 접속)
포트 B만 폐쇄되고, 포트 P는 포트 A 및 포트 T에 접속되어 있음
◆ 펌프언로드가 요구되고 부하에 의한 스스로 움직임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
센터 바이패스
(과도기 크로스)
(P.R 접속)
포트 P와 포트 T가 접속되고 나머지 포트 A, B는 폐쇄되어 있음
◆ 작동기를 확실히 정지할 수 있음
◆ 펌프언로드가 됨
탱크포트 블록
(A.B.P 접속)
포트 P에서 A, B로 통하고 포트 T는 폐쇄되어 있음.
◆ 중립위치에서 전진행정은 차동회로로서 증속할 수 있다.
사이드포트 블록
(A.R 접속)
포트 B와 P는 폐쇄되고 포트 A와 T가 통하고 있음.
◆ B포트에 압유가 누출될 때 피스톤이 후진하여도 안전할 때에 사용
◆ 펌프의 압유을 다른 액츄에이터에 사용가능
[방향전환밸브의 리턴기능]
리턴기능명칭
약어
기능설명
스프링센터형
C
3위치밸브이며 신호를 보내면 중립위치에서 좌우 어느위치로 전환되고 신호를 끊으면 자동적으로 중립위치로 귀환
노-스프링형
N
2위치밸브이며 신호를 끊어도 그대로의 위치로 계속 유지된다. 다만, 수동조작밸브에서는 유지기구를 붙여서 3위치밸브로 하는것도 있음 (솔레노이드의 소손이나 순간정정시에도 가공물을 조인 상태에서 가공할 수 있음)
스프링옵셋형
B
2위치밸브이며 신호를 주면 노말포지션에서 한쪽위치로 전환되고 신호를 끊으면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돌아온다(오동작으로 스프링백하여도 지장이 없는 회로에 사용)
※ 스풀밸브와 유체 고착(Stick) 현상
- 원통형의 스풀밸브는 고압 아래서 장시간 전환된 상태로 방치하면 다음 전환시 스풀이 움직이지
않는 수가 있다. 이것을 스풀밸브의 고착현상이라 함.
- 유체고착의 원인
■더트-록(Dirt Lock) : 틈에 먼지가 끼어서 고착을 일으키는 현상
■하아드로릭(Hydraulic Lock) : 틈의 누출로 생기는 스풀축 직각방향의 불평형압력에 의해
스풀이 슬리브의 한쪽으로 밀려나는 현
추천자료
자동차를 이루고 있는 구성요서 및 원리
자동차를 이루고 있는 구성요서 및 원리
[과외]중학 기술 2-2학기 중간 예상문제 08
[과외]중학 기술 중2-2-2 에너지와 내연기관 06
공압의 개요 와 공압시스템의 구성요소
제동장치
제동장치
[공학]평면가공의 종류와 연삭의 종류 및 구조
[기계 공학 응용 실험] 12. 링 압축에 의한 마찰상수 측정 실험 (A+자료)
자동차공학
[자동차 공학개론] 8.제동장치 & 9.휠및타이어 정리
[자동차 공학] 제동장치(Brake System)-브레이크에 관해서
왕복엔진의 구성품과 역할(동력장치)
공유압 장치계통의 구성품과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