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론 - 프로이드 에릭슨 피아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발달론 - 프로이드 에릭슨 피아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음을 나타낸다.
8) 합일화(Incorporation), 함입(Introjection) - 합일화(Incorporation)는 자기와 자기가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원시적인 방법의 동일시이다. 즉 어머니가 웃으면 자기가 좋아서 웃는 줄로 생각하는 것
함입(Introjection)은 합일화보다는 좀더 늦게 일어나는 것으로 적어도 자기와 자기가 아닌것은 구별을 한다.
9)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 용납할 수 없는 감정이나 충동 또는 상황과는 정반대로 행동하는 정신기제이며 미운아이 떡하나 더 준다는 개념이다. 겁이 많은 아이가 불량소년과 함께 노는 것
10) 보상(Compensation) - 자신의 신경증적인 욕구를 보상하기 위해서 사회적으로 칭송받는 일을 하는 것으로 키가 작은 사람이 큰 소리치는 것, 뚱뚱한 여자가 아주 여성스러운 목소리를 내는 것등이다.
11) 합리화(Rationalization) - 우리가 용납할 수 없는 충동이나 행동에 대해 지적으로 그럴듯한 성멸이나 이유를 대는 것이다. 의심이 많은 남편이 수시로 집에 전화확인을 하면서 걱정되어서 전화했어 라고 말한다.
12) 대치(Substitution)와 전치(Displacement) - 대치(Substitution)는 목적하던 것을 못가지게 됨에 따라 오는 좌절감에 기인한 긴장을 줄이기 위해 원래의 것과 비슷한 것을 대상을 취해 만족을 얻은 것이다. 전치(Displacement)는 실제로 어떤 대상에게 향했던 감정을 곧장 다른 대체물로 옮기는 것이다.
13) 상환(Restitution) - 무의식적인 죄책감을 잊기 위해 사서 고생하는 것으로 죄책감을 잊기 위해 자선사업에 돈을 바치는 것이다.
14) 투사(Projection) - 자신이 남을 미워하면서 남이 자기를 미워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용납하기 힘든 자기 내부의 결점을 자기외부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부처의 눈에는 부처로 보이고 장사군의 눈에는 장사로 보인다는 의미이다.
15) 상징화(Symbolization) - 사람이나 사물에 부착된 감정적인 가치를 어떤 상징적 표현으로 전치시키는 것으로 개인의 고통스런 감정은 억제가 되며 억제된 감정은 꿈을 통해서 파악이 된다. 예를들면) 아이를 낳고 싶은 여자가 밤마다 달걀이나 새알을 보이는 꿈을 꾼다.
16) 격리 (Isolation) - 고통스러운 사실은 받아들이지만 그 사건에 대한 감정이나 정서를 억압하는 것으로 남편이 전쟁터에서 사망하였다는 슬픈 소식을 접하면서도 아무일이 없다는 듯이 태연히 하던 일을 계속하는 것이다.
17) 부정(Denial) - 엄연히 존재하는 위험이나 불쾌한 현실을 부정함으로서 그로인한 불안을 회피해서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방어기제이다. 남편이 사별을 하였는데도 남편이 외국에 갔다고 주장한다.
18) 분단(Splitting) - 자기와 남들의 심상과 태도에서 전적으로 좋은 것과 전적으로 좋지 못한 것으로 두개의 상반된 감정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것은 경계선성격장애자에게 많다. 유아가 생후 24개월 정도에서 분리기간을 거쳐 양육자에게 돌아갔을 때 양육자가 외면할 때 생기는 현상이다.
19) 퇴행(Regression) - 인간이 성숙하고 발전하여 가는 과정에서 심하게 좌절을 당했을 경우 그동안 이룩한 발달의 일부를 포기하고 그 마음이 현재보다 더 유치한 과거 수준으로 되 돌아가는 것이다.
20) 고착(Fixation) - 인간의 발달중에서 어떤 스트레스가 부딪칠 때 인격발달의 과정이 중단이 되는 것이다.
21) 해리(Dissociation) - 감정적인 고통을 주는 부분이 있을 때 정신적으로 이겨내지 못하고 새로이 인격이 형성이 되는 것이다. 즉 아이가 죽자 그 고통을 이겨내지 못하고 아이의 흉내를 내는 것이다.
22) 저항(Resistance) - 원치않는 억압된 내용들이 나오려고 할 때 다른 방법으로 나오려고 하는것을 막는 경우이다. 즉 정신분석에서 저항은 당황하거나, 불안하거나, 침묵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23) 반복강박(Repratition) - 실패를 하는 데도 불구하고 같은 병적인 행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의식적으로 싫어도 무의식적으로 그 행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들면) 알콜중독자와 결혼에 실패한 데에도 불구하고 또 알콜중독자와 재혼을 하는 것.
24) 자신에게 향함 - 어떤 대상에게 용납할 수 없는 공격적 충동이 생길때 이를 자신에게 돌려 자신을 해치는 것을 말한다. 엄마에게 야단으 맞은 어린이가 자신의 머리를 쥐어 박는 것을 말한다.
25) 공상 - 현실에서는 이룰수 없는 소원, 욕구를 상상속에서 만족시키는 것이다. 백일몽등이다. 10년동안 실업자로 있는 의존적인 청년이 훌륭한 실업가가 되어 예쁜 여자와 결혼하는 것이다.
26) 취소- 용납할 수 없거나 죄책감을 불러 일으키는 충동이나 행동을 없는 것처럼 하려는 것이다. 여비서에게 성적으로 끌리는 남자가 부인에게 비싼 선물을 사 주는 경우
27) 차단 - 불쾌한 생각이나 느낌을 의식하지 않을려고 하는 것이다.
28) 전환 - 억압된 충동이나 기타 욕구에 의한 무의식적인 갈등을 신체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글을 쓰는데 갈등을 느낀 소설가가 원고를 쓰는 오른팔에 마비가 오는 경우등이다.
29) 신체화 - 심리적인 갈등이 감각기관을 제외한 신체에 증상이 오는 것을 말한다.
30) 주지화 - 정서와 충동을 누르기 위해 그것들을 경험하는 대신에 그것들에 관해 생각을 많이 하는 것을 말한다.
31) 유머 - 자신이 가진 욕구나 느낌을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하게 않게 하면서 공개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32) 이타주의 - 타인의 본능적인 욕구를 건설적인 방법으로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33) 승화 - 가장 건강한 방어기제로 각종 예술, 문화, 종교, 과학, 직업을 통해 자신의 해결하지 못한 욕구를 사회적으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34) 꿈 - 방어기제를 가장 잘 이해하는 도구이며, 꿈은 4가지 근원에서 나온다.
① 과거의 아픈 기억이나 환상을 가진다. 시험에 탈락하는 아픈 기억을 가진 사람은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1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