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장애인 일자리 창출
본문내용
이집 등에서 보육교사 보조역할 수행
◎ 우편물 분류 : 자폐성장애 및 지적장애인 등이 지역 우체국에서 우편물 분류 업무 수행
◎ 도서관 사서보조 : 자폐성장애 및 지적장애인 등이 도서관 도서분류, 도서대출, 반납처리 보조 업무 수행
◎ 건강도우미(Health Helper) : 시각장애인 등
- 전국 보건소(246여개 소) 및 장애인·사회·노인복지관(150여개 소)의 물리치료실 또는 체력 단련실에서
건강도우미로 활동
◎ 디앤디케어(D&D Care) : 지체장애인 및 정신지체인 등
- 주· 단기보호시설의 케어도우미, 중증장애인 등·하교 지도 등 업무 담당
◎ 기타 (장애인주차단속보조요원, 환경도우미 등)
※ 직업재활시설, 장애인복지관에서 실시되는 작업 활동 등의 일자리 유형은 수행 할 수 없음
◎ 우편물 분류 : 자폐성장애 및 지적장애인 등이 지역 우체국에서 우편물 분류 업무 수행
◎ 도서관 사서보조 : 자폐성장애 및 지적장애인 등이 도서관 도서분류, 도서대출, 반납처리 보조 업무 수행
◎ 건강도우미(Health Helper) : 시각장애인 등
- 전국 보건소(246여개 소) 및 장애인·사회·노인복지관(150여개 소)의 물리치료실 또는 체력 단련실에서
건강도우미로 활동
◎ 디앤디케어(D&D Care) : 지체장애인 및 정신지체인 등
- 주· 단기보호시설의 케어도우미, 중증장애인 등·하교 지도 등 업무 담당
◎ 기타 (장애인주차단속보조요원, 환경도우미 등)
※ 직업재활시설, 장애인복지관에서 실시되는 작업 활동 등의 일자리 유형은 수행 할 수 없음
키워드
추천자료
장애인 고용의 문제점과 대책방안
장애인 고용확대를 위한 관련 법령 수정방안
장애인 고용 문제
장애인 고용 경제적효과
장애인의정보접근
장애인복지법 분석
장애인의 장애가 아무렇지도 않은 사회가 되기를 바라며
장애인의무고용제도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지역사회 고용네트워크 사례분석 보고서
[장애인복지론]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정신장애인
[장애인복지론] 우리나라 장애인 정책 중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하나 설정하...
[장애인복지] 우리나라 특정 장애인복지정책서비스를 다른 나라 것과 비교 (정책서비스)
장애인의 경제활동에 대해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복지서비스는 무엇인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