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重義法)을 사용한 것이다.따라서 시를 짓는 일은 서동요의 예에서 보듯 한자의 음과 훈에 능하며 이를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최고급 지식인들이 아니면 불가능한 고난도의 작업이었다.이러한 시작기법은 사라지지않고 조선말 천재시인 김삿갓(김병연,1807-1863)에 의해 새로이 구현된다.중의법이 극단적으로 표출된 그의 시 한편을 보도록하자.
生徒 諸未十 先生來不謁(생도제미십 선생래불알) 1차 의미: 학생은 열이 못되고 선생은 나와보지 않더라 2차 의미: 생도는 제미씹이요 선생은 내불알이라
고대시작의 기본원리가 이러한 중의법이었음에도 불구 그 동안 학계에서는 해석에 있어 이중 삼중적 의미를 추적하지 않고 몇몇 고어를 동원해 표면적 뜻풀이에만 주력하였다.그 결과 서동요가 [선화공주님은 남몰래 시집가놓고 맛둥방을 밤에 몰래 안고가다]는 식으로 잘못 해석되고 말았다.시집도 안간 선화가 무슨 시집을 갔으며 서동을 안고가기는 어디로 안고 갔단 말인가.상기 김삿갓 시도 2차의미를 고려치 않고 [학생은 열이 못되고 선생은 나와보지 않더라]라는 1차 해석만을 할 경우 김삿갓의 의도를 전혀 알지 못한 불완전한 해석이 되고 말 것이다.서동요에서 본 중의적 표현기법이 백제인들(당시 백제문화권이었던 일본 포함)만의 것이었을까? 아니었다.백제인이 지은 가요를 신라의 월성아이들이 따라부르고 신하들이 문제제기를 하였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으로 볼 때 백제의 중의적 기법은 백제와 신라를 포함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공통 작시법이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서동요는 향가를 포함한 고대시가 모두가 재해석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生徒 諸未十 先生來不謁(생도제미십 선생래불알) 1차 의미: 학생은 열이 못되고 선생은 나와보지 않더라 2차 의미: 생도는 제미씹이요 선생은 내불알이라
고대시작의 기본원리가 이러한 중의법이었음에도 불구 그 동안 학계에서는 해석에 있어 이중 삼중적 의미를 추적하지 않고 몇몇 고어를 동원해 표면적 뜻풀이에만 주력하였다.그 결과 서동요가 [선화공주님은 남몰래 시집가놓고 맛둥방을 밤에 몰래 안고가다]는 식으로 잘못 해석되고 말았다.시집도 안간 선화가 무슨 시집을 갔으며 서동을 안고가기는 어디로 안고 갔단 말인가.상기 김삿갓 시도 2차의미를 고려치 않고 [학생은 열이 못되고 선생은 나와보지 않더라]라는 1차 해석만을 할 경우 김삿갓의 의도를 전혀 알지 못한 불완전한 해석이 되고 말 것이다.서동요에서 본 중의적 표현기법이 백제인들(당시 백제문화권이었던 일본 포함)만의 것이었을까? 아니었다.백제인이 지은 가요를 신라의 월성아이들이 따라부르고 신하들이 문제제기를 하였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으로 볼 때 백제의 중의적 기법은 백제와 신라를 포함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공통 작시법이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서동요는 향가를 포함한 고대시가 모두가 재해석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추천자료
향가(鄕歌)의 이해
향가의 주술성과 서술성
향가의 작품세계
향가의 배경 설화와 향가의 내용 사이의 관계성 고찰
향가여요론
신라향가 안민가(安民歌) 분석
[고전시가][시가][설화][고대가요][향가][교려가요][고려속요][경기체가]고전시가 심층 분석(...
[향가]향가의 특징, 향가의 성격과 향가의 율격 및 향가의 사상적 배경 사례 고찰(향가의 개...
향가의 작품 세계
[향가][향가 형식][향가 표기][향찰][향가 배경][향가 자연물 상징][향가 특징]향가 분석 고...
[향가여요론] 향가여요론 요점정리 서브노트
향가여요론 - 혜성가(彗星歌) 분석
향가(사뇌가)의 개념, 성격 고찰과 향가와의 적용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나타난 비극 소설의 기원과 문학(향가)과 권력의 관계 - 초기서사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