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발생과 소멸
2. 명칭
3. 표기
4. 특징
5. 작가
6. 국문학상의 의의
2. 명칭
3. 표기
4. 특징
5. 작가
6. 국문학상의 의의
본문내용
888)에 각간 위홍과 대구화상이 <삼대목(三對目)>이라는 향가집을 편찬하였으나 전하지는 않는다. 이 <삼대목>은 신라 향가의 성세를 과시함과 동시에 최초의 시화집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향가계 시가>
향가에서 고려 강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발생한 과도기적 형태의 노래로, 고려 때 지어졌으나 향가의 모습을 지녀 향가의 잔영으로 본다.
(1) 도이장가(예종. 예종 시) : 서경에 행행했을 때, 팔관회에서 국초 공신 김낙과 신승겸 두 장군의 가상회를 보고 그 덕을 찬양한 추도의 노래
(2) 정과정(정서. 의종 시) : 인종의 총애를 받다가 의종이 즉위하자 조정의 참소로 동래로 귀양 가 있었는데, 약속한 소명이 오래도록 내리지 않자 임금을 연모하고 억울함을 하소연한 연군지사. 악곡명은 삼진작(三眞勺)
<향가계 시가>
향가에서 고려 강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발생한 과도기적 형태의 노래로, 고려 때 지어졌으나 향가의 모습을 지녀 향가의 잔영으로 본다.
(1) 도이장가(예종. 예종 시) : 서경에 행행했을 때, 팔관회에서 국초 공신 김낙과 신승겸 두 장군의 가상회를 보고 그 덕을 찬양한 추도의 노래
(2) 정과정(정서. 의종 시) : 인종의 총애를 받다가 의종이 즉위하자 조정의 참소로 동래로 귀양 가 있었는데, 약속한 소명이 오래도록 내리지 않자 임금을 연모하고 억울함을 하소연한 연군지사. 악곡명은 삼진작(三眞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