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론과 종말론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론과 종말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로 평화와 공의가 이루어진다.
(7) 곡과 마곡의 전쟁 - 천년 왕국 마지막에 사단이 잠시 풀려남으로써, 곡과 마곡을 하수인 삼아 그리스도의 나라를 대적한다(계 20:8,9).
(8) 사단의 멸망 - 사단은 다시 결박되며 영원한 유황불에 던져진다(계 20:2,3).
(9) 악인의 부활과 대심판 - 심판을 위한 부활에 이어 영원한 고통 속에 처해진다.
(10) 신천신지 - 악인의 심판과는 반대로 구원받은 자는 영원한 고통 속에 처해진다.
2) 역사적 전천년석의 의의
성경을 문자적으로 일관되게 해석했다는 특성이 장점일수도 있으나 이를 너무 일방적으로 고수한 점이 문제일수도 있다. 또한 천년 왕국에 여전히 악인이 존재하면서 성도의 통치를 받는다는 조화키 어려운 문제를 남겨준다.
4. 부활(復活)
성경에 일관되게 흐르는 사상일 뿐 아니라 이 지상의 삶이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영원한 삶과 이어진다는 복음의 핵심이며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신앙이다.
1. 부활의 성경적 증거
1) 구약의 증거
(1) 아브라함의 신앙 - 이삭의 부활을 믿었다(히 11:17-19).
(2) 죽음 묘사 - 깨어남을 전제, ‘잔다’라고 묘사한다(대하 26:23).
(3) 부활 언급 - 직접 ‘살아나고’라고 말한다(사 26:19).
2) 신약의 증거
(1) 그리스도의 증거 - 스스로를 부활과 생명으로 말씀하셨다(요 11:25,26).
(2) 바울의 증거 - 논리적으로 언급하였다(롬 8:11,23; 고전 15장.
(3) 요한의 증거 - 계시록은 부활을 회화적으로 그린다(계 20:4,5).
2. 부활의 성질
여기서는 그리스도 재림 직후 있을 성도의 생명의 부활만을 다룬다.
(1) 부활은 삼위의 사역이다(요 5:21).
(2) 그리스도의 부활이 보증이다(고전 15:22).
(3) 육체적, 가견적 부활이다(고전 15:52).
(4) 옛 육체의 신령한 회복이다(고전 15:53).
(5) 전인류의 예외없는 부활이다(행 24:15).
5. 최후의 심판
1. 최후 심판의 성격
1) 미래적 - 부활 후에 있을, 장차 이루어질 사건이다(요 50:29; 행 24:25).
2) 유형적 - 가시적(可視的)인 사건이다(벧후 3:10)
3) 최종적 - 영원한 운명을 확정한다.
2. 최후 심판의 주체와 객체
1) 심판의 주체
하나님은 인간 구속을 위하여 낮아지셨던 그리스도를 대리자로 하여 심판하신다(마 7:23; 요 5:22; 롬 2:16; 고후 5:10; 계 19:11-16). 한편 천사는 심판의 수종자이며(마 13:41,42), 성도들은 심판의 협조자이다(고전 6:2,3).
2) 심판의 객체
사단(계 20:7-10)과 마귀들(마 25:41)및 불신자들이다(전 12:14; 마 13:36). 한편 이와 달리 성도들은 상급을 위한 심판을 받는다(고후 5:9,10).
3. 최후 심판의 근거
궁극적으로는 그리스도의 의(義)가 심판의 표준이나 이는 대상에 따라 3가지 양태로 나타난다. 즉 하나님의 뜻을 많이 아는 자에 대한 심판 기준이 더 엄격하다(마 11:21-24; 눅 12:28).
1) 이방인 - 양심
인간의 마음에 새겨진, 자연적 율법의 기준으로 심판받는다. 따라서 양심껏 살았던 사람은 지옥에 가더라도 그 형벌이 좀 가벼울 것이다.
2) 구약 시대의 유대인 - 율법
특별 계시로써 주어진 율법에 따라 심판받는다. 따라서 유대인들에 대한 심판 기준은 이방인보다 더 엄격하다고 할 수 있다.
3) 신약 성도 - 복음 및 사랑의 계명
복음 및 율법에 대한 그리스도의 재해석, 즉 사랑의 계명에 따라 심판받는다. 따라서 신약 성도의 심판 기준은 구약 성도들보다 더 엄하다.
6. 최후의 상태
그리스도를 재판장으로 한 최후의 심판을 거친 이성적 피조물들이 영원토록 누릴 최후의 상태에 대한 언급이다.
1. 악인의 최후상태
1) 악인의 처소
지극한 고통이 있는 지옥이다(마 13:42; 계 20:14,15).
2) 악인의 상태
소극적으로는 신적 은총에서 끊어짐에 따른 영원한 행복에 대한 상실감(마 8:12), 적극적으로는 영육간에 미치는 모진 고통이다(계
14:10).
3) 악인의 영벌에 대한 반대 견해
사랑의 속성을 지니신 하나님께선 악인을 영벌하지 아니하시거나, 혹은 악인을 완전히 멸절시켜 아무런 기쁨이나 고통도 느낄 수 없는
무(無)의 상태로 만드실 것이라고 주장한다.
2. 의인의 최후 상태
1) 의인의 처소
성도의 영혼들은 현재 낙원에서 임시로 거하지만(고후 12:2-4), 부활체(復活體)로 영원히 거할 곳은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신 이후에 조성
될 새 하늘과 새 땅이다(계 21:1-4).
2) 의인의 상태
영원하며(계 21:3,4), 완전하며(고전 13:12; 15:49), 평화로우며(마 25:46; 계 21:3), 거룩하며, 영화로운 삶(계 7:9,10)을 살게 된다.
3. 사단의 최후 상태
1) 사단의 처소 - 악인처럼 지옥이다(계 20:10).
2) 사단의 상태 - 유황불로 영원히 고통을 당한다.
* 하나님의 결정은 절대적이시다. 계시록 21장 8절에 의하면, "두려워 하는 자와 믿지 아니하는 자"는 유황불에 던져질 것이니 이것이 둘째 사망이라고 하셨다. 하나님은 사단과 구원 둘 중의 하나를 택하심을 명백히 하신다. 고로 카톨릭에서 말하는 소위 "연옥"이라는 중간 층은 생각할 수 없다.
** 두려워 하는 자는 하나님을 영접하지 아니한 자로서 창세기 3장 10절에 의하여 죄를 범한 자의 인간적 상태는 이미 두려워 하고 있다. 그러나 이사야 41장 10절에서 "두려워 말라 하나님의 의로운 오른손으로 너를 붙들리라"라고 하여 "새하늘과 새땅"(계 21:1)을 보이시고 옛 것을 없애신다는 여호와 하나님의 약속은 이미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보혈의 피(복음)로 구원받음 현재의 믿음으로써 의로움을 받은 형제에게는 두려움도 수치심도 없는 구원의 상태를 의미한다.
< 참고문헌 >
인간론 /최홍석 지음| 개혁주의신행협회 펴냄 | 2005-05-25
역사 속의 종말론 / 이형기 지음| 대한기독교서회 펴냄 | 2004-02-15/ 성경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23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