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치원 원장으로서의 삶과 교육학적 변화
2. 학습자 중심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참고문헌
2. 학습자 중심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의 기능에 대한 듀이의 다음과 같은 설명은 바로 이 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진정으로 일반적인 목적 및 목표는 사고를 확대시켜 준다. 즉, 그것은 더 많은 결과들(관계들)을 고려하도록 자극한다. 이것은 수단에 대한 더 광범위하고 융통성 있는 관찰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외적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는 이와 같이 사고를 제약하는 구체적인 명령이 아니라, 사고를 확대시켜 주는 하나의 관점으로 해석됨으로써 구체적인 교육과정에 개입될 수 있는 자리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듀이는 내적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를 주장하고, 외부에서 부과되는 고정적인 구체적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를 비판하며, 외적인 일반적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를 내적인 구체적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를 수립할 때 고려하여야 할 하나의 관점으로 규정함으로써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에 관한 논의의 범위를 확대시켰다. 즉, 내재적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와 외재적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에 관한 논의가 가능해진 것이다. 그러나 이것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듀이에 의해서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에 관한 논의가 제자리를 찾게 되었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교육에서는 외적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에만 의존함으로써 가르치는 것에 교육의 초점이 맞추어지게 되었고, 따라서 교육은 외부에서 부과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따라 나오는 결론은 교육을 국가, 정치, 경제 등 다른 어떤 목적 및 목표를 위한 수단으로 보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나아가서 인간을 그의 개성이나 존엄성에 기초하여 교육하지 못하고 정치나 경제 등을 위해 도구화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러나 반성적 사고에 입각하여 듀이는 교육 일반의 목적 및 목표는 사고력을 기름으로써 성장을 계속하게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는 교육 활동 내에서 설정되어야 하고, 일반적인 외적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는 사고를 확대시켜 줌으로써 내적인 구체적 목적 및 목표를 풍부하고 치밀하게 설정하게 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하나의 관점이라고 규정하였다. 듀이는 이와 같이 종합적 사고 방법에 의하여 내적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와 외적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구체적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와 일반적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의 개념과 기능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의 혼란을 방지하고 교육이 제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은 것이다. 학습목적 및 목표를 ‘도토리 줍기’로 설정하고 유치원 옆 상수리나무가 있는 곳으로 갔다. 원아들은 도토리는 줍지 않고 울긋불긋 물들고 있는 ‘단풍잎’에 흥미와 호기심이 발동하여 “왜 빨개요?”“이건 왜 노랗지요?” 아이들의 관심은 오통 학습목적 및 목표와는 달리 ‘단풍잎’에 쏠렸다. 교사가 설정한 학습 목적 및 목표에 따른 기대되는 효과는 타당한 것인가?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와 관련하여 생각해 볼 문제이다.
참고문헌
성혜자(2003).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장과 교사의 지각 및 기대 비교.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양자, 유치원 운영관리, 형설출판사, 1999
참고문헌
성혜자(2003).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장과 교사의 지각 및 기대 비교.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양자, 유치원 운영관리, 형설출판사,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