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통계적으로 검증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심증만 있지 물증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각 통계량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위의 테이블을 자세히 관찰해보면 데이터의 총체적인 구조를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고객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한다’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평균은 3.27이지만 최빈수는 2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2점으로 평가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지만 1점대의 점수를 준 응답자보다는 4, 5점대의 높은 점수를 준 응답자가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왜도는 -0.09로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평균을 중심으로 거의 대칭에 가깝고, 첨도는 -1.25로 값들이 정규분포보다는 넓게 퍼져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