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영화, 그 반성과 모색
Ⅰ 들어가며 1
Ⅱ 영화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한계 1
70년대 이전 1
1970년대: ‘다른’ 것을 ‘보기’ 위한 엘리트적 도피 2
1980-1987: 새로움을 예비하는 작은 움직임 2
1/ 억압적 국가 장치의 재구조화 3
2/ 작은 영화, 작은 시작 3
1987-1992: 변혁의 무기? 3
1/ 헤게모니적 배제전략 3
2/ 영화주위 여건의 변화상 4
3/ 독립영화, 정치적 내용 5
1993-1995: 난파, 그리고 정체성의 흔들림 6
1/ 문민 정부의 출현과 사회주의권의 몰락 6
2/ 문화론(신세대․영상세대론)의 폭증과 영화담론의 과잉 6
3/ 표류하는 영화제작 7
4/ 씨네마떼끄와 수용자 8
Ⅲ 뉴미디어 시대의 정체성 찾기 8
‘뉴’미디어와 ‘오랜’ 과제 8
<독립영화> - 각 단체의 정체성 확보 / 대안적 배급구조들에 대한 모색 9
<씨네마데끄> - 진보적 영화의 확보와 유통망 구축 / 건강한 영화담론의 생산 10
Ⅳ 결론을 대신하여 11
Ⅰ 들어가며 1
Ⅱ 영화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한계 1
70년대 이전 1
1970년대: ‘다른’ 것을 ‘보기’ 위한 엘리트적 도피 2
1980-1987: 새로움을 예비하는 작은 움직임 2
1/ 억압적 국가 장치의 재구조화 3
2/ 작은 영화, 작은 시작 3
1987-1992: 변혁의 무기? 3
1/ 헤게모니적 배제전략 3
2/ 영화주위 여건의 변화상 4
3/ 독립영화, 정치적 내용 5
1993-1995: 난파, 그리고 정체성의 흔들림 6
1/ 문민 정부의 출현과 사회주의권의 몰락 6
2/ 문화론(신세대․영상세대론)의 폭증과 영화담론의 과잉 6
3/ 표류하는 영화제작 7
4/ 씨네마떼끄와 수용자 8
Ⅲ 뉴미디어 시대의 정체성 찾기 8
‘뉴’미디어와 ‘오랜’ 과제 8
<독립영화> - 각 단체의 정체성 확보 / 대안적 배급구조들에 대한 모색 9
<씨네마데끄> - 진보적 영화의 확보와 유통망 구축 / 건강한 영화담론의 생산 10
Ⅳ 결론을 대신하여 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