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것을 설해 희망과 용기를 주었다.
4. 마치는 말
화엄경은 부처님의 깨달음의 경계를 있는 그대로 내어 보인 성불 당시의 경전이요, 법화경은 아함에서 반야까지의 구도여정(求道旅程)을 거친 이에게 깨달음의 최고 절정인 성불의 예언 즉 수기(授記)를 하는 웅혼한 감동을 맛보게 하는 경전이라고 알려져 왔다.
이 법화경과 함께 설해진 3대부중 개경이라 할 수 있는 무량의경에서는 일체 중생의 성욕(性欲)이 한량없으므로 부처님의 설법도 무량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래의 진실의(眞實義)는 아직 드러내지 않았다 (未顯眞實)고 하여 법화경을 설할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이어 법화경에서는 제법실상을 나타내는 10여시(十如是)를 설해 1념3천설의 사상적 근거를 마련했고, 모든 중생을 부처님의 자리에 올려놓겠다는 위대한 사고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사상을 설하며, 모든 중생의 근기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법을 설했으나 실상은 부처님이 되는 일승법을 설하기 위해 방편으로 했다는 회삼귀일(會三歸一)의 일불승사상(一佛乘思想), 중생들이 보기에 부처님의 일생에는 나고 죽음도 있어보이지만 그것도 방편이며 부처님의 몸도 성불도 이미 오래전에부터 있던 것이라는 구원(久遠)의 본불사상(本佛思想)을 설해 평생 공부하는 이의 아픈 마음을 달래주고, 악인인 제바달다, 여인인 용녀의 성불수기(成佛授記)를 통해 이 세상 누구나 다 성불할 수 있다는 (一切衆生成佛) 것을 이야기 해 말세 중생의 희망의 등대가 되고 있다.
결경인 관보현경에서는 6근의 참회법과 실상을 관하는 진실 참회 사상을 이야기하여 부처님 법의 영원불멸성과 실상참회를 설하였다.
4. 마치는 말
화엄경은 부처님의 깨달음의 경계를 있는 그대로 내어 보인 성불 당시의 경전이요, 법화경은 아함에서 반야까지의 구도여정(求道旅程)을 거친 이에게 깨달음의 최고 절정인 성불의 예언 즉 수기(授記)를 하는 웅혼한 감동을 맛보게 하는 경전이라고 알려져 왔다.
이 법화경과 함께 설해진 3대부중 개경이라 할 수 있는 무량의경에서는 일체 중생의 성욕(性欲)이 한량없으므로 부처님의 설법도 무량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래의 진실의(眞實義)는 아직 드러내지 않았다 (未顯眞實)고 하여 법화경을 설할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이어 법화경에서는 제법실상을 나타내는 10여시(十如是)를 설해 1념3천설의 사상적 근거를 마련했고, 모든 중생을 부처님의 자리에 올려놓겠다는 위대한 사고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사상을 설하며, 모든 중생의 근기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법을 설했으나 실상은 부처님이 되는 일승법을 설하기 위해 방편으로 했다는 회삼귀일(會三歸一)의 일불승사상(一佛乘思想), 중생들이 보기에 부처님의 일생에는 나고 죽음도 있어보이지만 그것도 방편이며 부처님의 몸도 성불도 이미 오래전에부터 있던 것이라는 구원(久遠)의 본불사상(本佛思想)을 설해 평생 공부하는 이의 아픈 마음을 달래주고, 악인인 제바달다, 여인인 용녀의 성불수기(成佛授記)를 통해 이 세상 누구나 다 성불할 수 있다는 (一切衆生成佛) 것을 이야기 해 말세 중생의 희망의 등대가 되고 있다.
결경인 관보현경에서는 6근의 참회법과 실상을 관하는 진실 참회 사상을 이야기하여 부처님 법의 영원불멸성과 실상참회를 설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독일낭만주의의 불교수용에 관한 고찰
[불교학]원효의 화쟁사상과 대승신행의 본질
환경문제와 불교사상(불교의 관점에서 본 환경문제)
노힐부득과 달달박박에 깃든 불교사상
인간의 개념, 생명존중사상, 인간의 존엄성,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헌법적 의의, 국가와 인권...
[유형원][유형원의 사상][유형원의 실학사상][유형원의 경세학][유형원의 조세와 재정][실학...
기독교와 불교에서 바라본 인간의 죽음에 관한 철학적 고찰
원효의 불교철학-일심사상과 화쟁사상
육식에 관한 불교 및 기타 종교에서 바라본 윤리적 인식
[심청전][심청전 근원][심청전 배경사상][심청전 줄거리][심청전 주제][심청전 희극성]심청전...
[가족가치관][결혼가치관][전통적 가족가치관][불교적 가족가치관]가족가치관의 경향, 가족가...
[행정통제론] 유학·실학사상과 행정인의 윤리 및 책임 - 유학 및 실학사상 연구의 현대적 의...
불교의 보시사상과 사회복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