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놀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속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민속놀이의 성격
2) 놀이의 성격
(1) 아이들 놀이
(2) 어른 놀이
3) 놀이문화의 한계와 전망
-참고 자료

본문내용

사희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는바, 이미 삼국이전부터의 유풍으로서 우리나라에만 남아 있는 독특한 놀이라고 할 수 있다. 부여족 시대에 다섯가지 가축을 다섯부락에 나누어 주어 그 가축들을 경쟁적으로 번식시킬 목적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하며, 그래서 도는 돼지, 개는 개, 걸은 닭, 윷은 소, 모는 말이라고 하는 짐승들에 비유하기도 한다. 빈부 귀천과 남녀노소가 다 같이 즐길 수 있는 한국 민족의 독특한 오락행위이다.
돌싸움
석전은 돌싸움이라고 하는데 보통 정초부터 서서히 불길이 솟기 시작하여 보름달이면 절정에 이른다. 이 민속은 강변이나 시냇가에서 물을 끼거나 때로는 벌판에서 백여 보의 거리를 두고, 마을 대 마을, 또는 한 지방을 동서 남북 상하로 나우어 돌을 던지며 싸우는 박진감 있고 거친 전투적인 민속이었다.
쥐불 싸움 (불놀이)
음력 정월 14일과 상원(上元)밤에 농가에서는 들에 나가 논둑, 밭둑의 잔디와 잡초를 불태우는데 이것을 쥐불놀이라고 하며, 이웃동네의 아이들이 어울려서 서로 불싸움을 하는 것으로 쥐불싸움이라고도 하게 된다. 미리 횃불을 만들어 두었다가 달이 오를 무렵에 떼지어 들로 나가 쥐불놀이를 하므로 여기저기에서 불타는 광경은 장관을 이룬다. 저녁때가 되어 달이 떠오르면 논둑을 따라서 또는 밭둑을 냇둑을 따라서 불을 놓는다. 쥐불놀이는 해충소멸의 좋은 행사이기도 하나 화재의 피해와 화상을 입는 일도 있었다.
3) 놀이문화의 한계와 전망
하나의 민속현상으로서 집단놀이는 여러 방향에서 연구 될 수 있다. 특정한 집단 놀이가 어디에서 비롯되었으며, 어떠한 전개과정을 거쳐 왔는지를 조망하는 통시적 연구, 특정한 집단 놀이가 전승되는 지역의 다른 민속현상들과 어떠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전승 집단에서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관찰하고 기술하여 분석하는 공시적 연구, 전개과정은 배경으로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 있어서 어려운 점은 1. 전승이 중단, 전승이 왜곡 2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 필 수 있는 자료가 부족 하다는 것이다. 문화는 전승 속에서 싹트고 성장사기 마련이라면, 이러한 우리 고유의 민속을 전승하기에 노력해야 될 것이다.
과거에는 놀 수 있는 것들이 흙과 몸, 또는 주위에 도구나 흙 위에 있는 물건이 아니면 놀이기구가 없었다. 지금처럼 많은 종류의 놀이 문화나 거리에 나가면 다양한 볼거리 등은 꿈도 꿀 수 없었다. 그러나 그들의 놀이 문화를 통해서 공동체 문화(두레)와 슬기를 자연스럽게 일깨웠고, 서로 힘을 합해야 이길 수 있다는 흙 위에서 자연을 뛰어다니던 많은 자연물들, 그들이 살아나가는 생태들을 통해서 세상에 이치를 자연스럽게 터득해 갔다. 오늘날 아이들의 놀이공간이 없다고 TV나 신문에서 떠들어 대고 있다. 과연 그럴까? 우리들의 놀이문화가 기성세대들이 어릴 때부터 잘 일깨워주고 있는지 오직 상업 놀이로 많은 기업들과 어른들이 이용하고 있지는 않은지 많은 사건, 사고 등을 통해 곰곰이 반성해 볼 일이다.
참고 자료 : 한국민속 연구사 -지식 산업사, 민속 놀이 - 대원사, 민속의 현대적 이해 - 세손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6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