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석기 시대
2. 청동기 시대
3. 철기 시대
4.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5. 고려시대
6. 조선시대
2. 청동기 시대
3. 철기 시대
4.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5. 고려시대
6. 조선시대
본문내용
이·풀·꽃·난·대나무 등의 그림을 그려, 백자는 청화의 부드러움과는 다른 힘찬 약동감을 띠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백자만이 궁전의 집기로 사용되어 그 생산은 엄격히 감독되었으며, 일반 서민들 사이에서는 분청사기가 발달하였다. 분청사기는 고려청자의 전통을 이어받아 나타난 것으로 초기에는 백화장한 기면에 청자유를 입힌 것을 번조한 것이다. 시문방법은 고려청자로부터 이어져 온 인화문·상감문이 시문되었으며, 선각·철화 등으로 이어져 발달하였다. 철화는 계룡산요가 유명한데 부드러운 도태 위에 힘찬 선으로 어문이나 당초문을 날렵하게 그린 계룡산요의 철화 기법은 일본의 에카라쓰〔繪唐津〕로 전래되었다. 16세기말 임진왜란으로 가마는 파괴되고 많은 도공들이 일본으로 끌려가 조선의 도자기사에 큰 획을 긋는 계기가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