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분석설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스템분석설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의 필요성이 생기므로 이런 경우 처리 방법을 명확히 하여 코드 대장, 코드표의 혼란을 방지한다.
2.4.3 코드 유지보수 작업
코드 유지 보수는 원칙적으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조직의 환경 변화로 피할 수 없는 경우 정형화 된 관리로 혼란을 최소화해야 한다.
①코드 유지 보수 작업 내용
코드의 추가 등록
코드의 정정 등록
코드의 폐지 등록
코드의 대장, 코드 표 등의 보관, 정리 등
②코드 관리 기준에 명시된 규정에 따라서 순시적으로 작업
코드의 추가, 정정 폐지의 필요가 생긴다.
등록 신청서에 작성하여 총괄 부서에 신청한다.
총괄부서는 등록 신청을 받아 심사, 검토한다.
심사 검토한 결과 등록 결정하면 등록 승인서 발행 후 등록 결정서를 배포한다.
등록 신청서를 발행하고 등록 결정서를 관계 부서에 배포한다.
등록 결정을 근거로 코드 대장 코드 표의 정정 및 갱신을 한다.
[ 핵심 요약 ]
1. 코드의 정의
데이터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식별, 분류, 배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숫자, 문자, 기호
2. 코드의 기능
(1) 코드의 기본 기능
① 표준화 기능
② 간소화 기능
(2) 코드의 3대 기능
① 분류 기능
② 식별 기능
③ 배열 기능
(3) 코드의 부가적 기능
① 연상 기능
② 암호화 기능
③ 오류 검출 기능
3. 코드 설계 목적
①고유성
② 분류 편리성
③배열의 효울성
④간결성
⑤유지 보수의 편리성
⑥코드의 독립성
⑦코드의 편의성
⑧추가, 삭제 편리성
4. 코드 설계시 고려 사항
① 기계 처리의 적합성
② 사용의 편리성
③ 코드의 공통성
④ 코드의 체계성
⑤ 코드의 유연성
5. 목적에 따른 코드의 분류
① 식별 코드 : 식별을 주목적으로 하는 코드
② 분류 코드 : 분류 기준에 의한 체계적인 분류가 가능한 코드
6. 기능에 따른 코드의 분류
(1) 순차 코드 (sequence code)
일련 번호 코드라고 하며 대표적인 식별 코드
① 장점
단순, 이해가 쉬움
행수가 비교적 짧음
발생 순서에 따른 코드인 경우 추가가 매우 용이
고유성이 있어 기억이 용이
② 단점
항목 수가 많은 경우 코딩이 어려움
항목에 공통 특징이 없으므로 분류 조작하는데 부적당
코드 사이에 삽입 불가능
코드 자체가 분류 체제가 아니기 때문에 그룹별로 정리하는데 부적당
(2) 완전 순차 코드 (complete sequence code)
순차 코드의 결점을 보완한 완전 순차 코드는 번호에 일정한 간격으로 비어 있는 번호 를 만들어 놓아 새로운 데이터가 발생하면 중간에 삽입 할 수 있는 방법의 코드
① 장점
순차 보드의 중간에 발생한 코드 삽입 가능
실수로 누락된 경우: 여분의 코드를 두어 사용 가능
② 단점 : 여분 코드를 둘 경우 혼동 가능
(3) 구분 순차 코드 (block sequence code)
순차 코드에 약간을 보완하여 분류의 효과를 두드러지게 한 코드로서 몇 개의 qfmfhr으로 나우어 각 블록에 의미를 갖게 하는 방법의 코드이고, 블록 코드 (block code)라고도 함
① 장점
적은 자릿수로 많은 그룹을 표시 가능
예비 코드를 두어 추가가 매우 용이
②단점
예비 코드가 있어 프로그램 처리가 복잡함
구분마다 예비 코드가 있어 낭비
자릿수가 길고, 그룹이 증가하면 프로그램이 복잡해짐
(4) 십진 분류 코드 (decimal classification code)
코드화 대상을 10진으로 분류하고 각각을 다시 10진으로 중분류하며 필요에 따라 계속 10진으로 소분류해 나가는 방법으로 부여된 코드
① 장점
추가가 용이
무한정한 확대 가능
②단점
행수가 많은 경우 사용하기에 불편, 기계 처리 불편
(5) 그룹 분류 코드 (group classification code)
코드화 대상 항목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구분하고 각 그 안에서 순차 번호를 배정하는 코드
① 장점
자료의 항목 구성의 분류 기능이 명확
융통성이 많아서 추가 보충이 용이
기계 처리에 가장 적당
② 단점 : 항목의 행수 (자릿수)가 많음
(6) 표의 숫자 코드 (significant digit code)
코드화 대상 항목의 중량, 면적, 용량, 거리, 광도등의 물리적 수치를 직접 코드에 적용 시킨 코드
① 장점
항목 코드에 물리적 수치를 넣아 줌으로써 기억 용이
같은 코드를 사용해 틀리는 경우가 적음
② 단점
항목의 행 수가 많음
기계 처리 불편
(7) 연상 코드 (mnemonic code)
코드값을 보면 어떤 대상을 의미하는지를 연상할수 있도록 그 대상의 의미가 코드의 이름에 그대로 반영된 코드
(8) 합성 코드 (combined code)
두 개 이상의 코드를 조합하여 만든 코드
(9) 끝자리 분류 코드 (final digit code)
필요한 분류 기능을 기존 코드로 수행하기 힘들 때, 코드의 끝에 한 자리를 추가하여 항목을 분류할 수 있게 하는 코드
(10) 약자식 코드 (letter code)
관습적으로나 제도적으로 널리 쓰여지는 기호나 문자의 약자를 코드화 한 코드
(11) 영숫자 대조식 코드 (numerical- alphabetic code)
숫자식 문자 코드라고도 하여 코드화 대상을 일정한 방식에 따라 1개 문자를 2자리 숫자로 대응시켜 나타낸 코드
7. 입력표에서 오류 방지를 위한 유의사항
① 복잡한 코드 체계
② 적합한 원시 전표 서식
③ 교육 훈련
④ 코드 북 정비
⑤ 제도면의 고려
8. 오류 발생 형태
① 오자 에러 (transcription error)
② 전위 에러 (transposition error)
③ 이중 에러 (double error)
④ 생략 에러 (omission error)
⑤ 추가 에러 (addition error)
⑥ 랜덤 에러 (random error)
9. 오류 검출 방법
① 사람에 의한 검사
② 체크 디지트 검사
③ 프로그램에 의한 검사
10. 코드 설계
코드 대상 항목 결정
코드 목적의 명확화
코드 대상의 확인
사용범위의 결정
사용 기간의 결정
코드 대상의 특성 분석
코드화 방식 결정
코드의 문서화
11. 코드 유지 보수 작업 내용
① 코드의 추가 등록
② 코드의 정정 등록
③ 코드의 폐지 등록
④ 코드의 대장, 코드표 등의 보관, 정리
  • 가격2,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6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