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것이며, 이러한 개념에 상대적의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결코 맞지 않다.
문화의 다양성을 떠나 보편적인 윤리는 인류 전체가 가꾸고 발전시켜야 할 보편적인 가치인 것이다. 이러한 보편적인 윤리에 문화의 다양성을 적용하며 문화 상대주의를 적용하는 것은 궤변에 지나지 않으며, 문화 상대주의를 수단과 명목으로 사용하는 것일 뿐이다. 결국 어떤 사회의 문화를 이해하는 가장 바람직한 태도는, 문화의 상대성에 입각하면서도 극단적 상대주의를 피하고 보편적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어야 한다.
문화 상대주의는 다른 문화권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가 지녀야 할 태도일 뿐이다. 문화 상대주의가 가치 판단을 할 수 있는 규범은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이 문제는 가치 판단, 윤리 판단의 문제로 계속 남을 수밖에 없다
◎ 문화 절대주의가 지니는 문제점에 대해서 밝혀 보시오.
◎ 문화적 다양성이 인간에게 왜 중요한지, 그 이유를 밝혀 보시오.
◎ 다양한 문화에도 불구하고, 인간으로서 지향해 가야 할 보편적인 가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다음 예시문은 문화 상대주의와 관련된 논의이다. 이에 대한, 자신의 찬성 또는 반대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진술해 보시오. (2003년 서울교대 정시)
특히 문화가 발달되지 않은 사람들을 원시인이라 하기도 하고 야만인이라 하기도 한다. 원시인은 시간적으로 옛날에 산 사람이란 뜻을 풍기고, 야만인은 시간과 관계없이 문화 생활을 하지 않을 뿐 아니라 행동도 세련되지 못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할 때 우리는 인류의 모든 문화를 같은 표준에 의하여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은연중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만약 문화를 재는 잣대가 문화마다 다르면 어느 문화가 더 선진적이고 어떤 문화가 후진적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정말 모든 문화를 다 재어볼 수 있는 공통의 잣대가 있는가? 즉 문화 발달 정도를 가늠하는 보편적인 기준이 있는가?
서양에서는 19세기까지 그런 잣대가 있다고 생각했다. 즉, 과학이 어느 정도 발달되었으며, 자연을 어느 정도 더 정복할 수 있는가에 따라 문화의 발전 정도를 측정하려 했던 것이다. 같은 서양에서라도 옛날에는 자연 과학이 덜 발달되었고 사람들의 삶이 자연에 의하여 더 많이 지배되어 사람들이 행사할 수 있는 힘과 자유가 훨씬 제한되어 있었다. 따라서, 과거의 자기들과 비슷한 수준에 있는 문화는 자기들의 문화보다 더 뒤떨어졌다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런 표준에 의하면 말할 것도 없이 서양 문화가 가장 앞서 있고 아프리카의 문화가 가장 후진적인 것으로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와서 문화인류학에서는 그런 서양 우월주의 혹은 문화 절대주의를 비판하기 시작했다. 여러 문화를 연구해 본 결과 문화의 종류가 워낙 다양하고 풍부해서 한 가지 잣대로 모든 문화를 다 잰다는 것은 무리란 결론을 내린 것이다. 그래서 오늘날 문화인류학은 전반적으로 문화 상대주의(文化相對主義 : Cultural Relativism)를 받아들이고 있고, 최근에 와서는 이런 생각이 다른 많은 분야에도 다원주의(多元主義 : pluralism)란 이름으로 확산되고 있다.
프랑스의 유명한 문화 인류학자인 레비 스트로스(Levi-Strauss)는 아프리카에 연구차 여행하면서 아프리카인의 과학은 서양의 과학과 종류가 다를 뿐 결코 서양 과학보다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그것은 과학에 있어서뿐 아니라 예술이나 관습, 제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란 것이다. 모두 그 나름대로의 합리성이 있고, 수월성이 있는 것이다. 같은 종류의 문화 안에서 선진, 후진이 있을 수 있으나, 다른 문화와의 비교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오늘날 지배적인 견해이다.
문화의 다양성을 떠나 보편적인 윤리는 인류 전체가 가꾸고 발전시켜야 할 보편적인 가치인 것이다. 이러한 보편적인 윤리에 문화의 다양성을 적용하며 문화 상대주의를 적용하는 것은 궤변에 지나지 않으며, 문화 상대주의를 수단과 명목으로 사용하는 것일 뿐이다. 결국 어떤 사회의 문화를 이해하는 가장 바람직한 태도는, 문화의 상대성에 입각하면서도 극단적 상대주의를 피하고 보편적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어야 한다.
문화 상대주의는 다른 문화권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가 지녀야 할 태도일 뿐이다. 문화 상대주의가 가치 판단을 할 수 있는 규범은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이 문제는 가치 판단, 윤리 판단의 문제로 계속 남을 수밖에 없다
◎ 문화 절대주의가 지니는 문제점에 대해서 밝혀 보시오.
◎ 문화적 다양성이 인간에게 왜 중요한지, 그 이유를 밝혀 보시오.
◎ 다양한 문화에도 불구하고, 인간으로서 지향해 가야 할 보편적인 가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다음 예시문은 문화 상대주의와 관련된 논의이다. 이에 대한, 자신의 찬성 또는 반대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진술해 보시오. (2003년 서울교대 정시)
특히 문화가 발달되지 않은 사람들을 원시인이라 하기도 하고 야만인이라 하기도 한다. 원시인은 시간적으로 옛날에 산 사람이란 뜻을 풍기고, 야만인은 시간과 관계없이 문화 생활을 하지 않을 뿐 아니라 행동도 세련되지 못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할 때 우리는 인류의 모든 문화를 같은 표준에 의하여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은연중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만약 문화를 재는 잣대가 문화마다 다르면 어느 문화가 더 선진적이고 어떤 문화가 후진적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정말 모든 문화를 다 재어볼 수 있는 공통의 잣대가 있는가? 즉 문화 발달 정도를 가늠하는 보편적인 기준이 있는가?
서양에서는 19세기까지 그런 잣대가 있다고 생각했다. 즉, 과학이 어느 정도 발달되었으며, 자연을 어느 정도 더 정복할 수 있는가에 따라 문화의 발전 정도를 측정하려 했던 것이다. 같은 서양에서라도 옛날에는 자연 과학이 덜 발달되었고 사람들의 삶이 자연에 의하여 더 많이 지배되어 사람들이 행사할 수 있는 힘과 자유가 훨씬 제한되어 있었다. 따라서, 과거의 자기들과 비슷한 수준에 있는 문화는 자기들의 문화보다 더 뒤떨어졌다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런 표준에 의하면 말할 것도 없이 서양 문화가 가장 앞서 있고 아프리카의 문화가 가장 후진적인 것으로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와서 문화인류학에서는 그런 서양 우월주의 혹은 문화 절대주의를 비판하기 시작했다. 여러 문화를 연구해 본 결과 문화의 종류가 워낙 다양하고 풍부해서 한 가지 잣대로 모든 문화를 다 잰다는 것은 무리란 결론을 내린 것이다. 그래서 오늘날 문화인류학은 전반적으로 문화 상대주의(文化相對主義 : Cultural Relativism)를 받아들이고 있고, 최근에 와서는 이런 생각이 다른 많은 분야에도 다원주의(多元主義 : pluralism)란 이름으로 확산되고 있다.
프랑스의 유명한 문화 인류학자인 레비 스트로스(Levi-Strauss)는 아프리카에 연구차 여행하면서 아프리카인의 과학은 서양의 과학과 종류가 다를 뿐 결코 서양 과학보다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그것은 과학에 있어서뿐 아니라 예술이나 관습, 제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란 것이다. 모두 그 나름대로의 합리성이 있고, 수월성이 있는 것이다. 같은 종류의 문화 안에서 선진, 후진이 있을 수 있으나, 다른 문화와의 비교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오늘날 지배적인 견해이다.
추천자료
[문화마케팅][문화마케팅 전개방향][문화마케팅 전략]문화마케팅의 중요성과 문화마케팅의 전...
[음주문화][술문화]영국 음주문화(술문화), 러시아 음주문화(술문화), 아프리카 음주문화(술...
[문화산업][문화상품][문화정체성]문화산업의 정의, 문화산업의 특성, 문화산업의 기능, 문화...
[문화산업][국내외 문화산업 동향][문화산업 성공 사례]문화산업 개념, 문화산업 특성, 문화...
문화마케팅,문화마케팅유형,문화산어,문화산업시장,문화산업현황,국내문화마케팅,문화마케팅...
민족문화와 민주주의, 문화제국주의, 민족문화와 민족교육, 민족문화와 한글, 민족문화와 민...
양성평등문화(남녀평등문화)의 개요, 양성평등문화(남녀평등문화)와 학교문화, 양성평등문화(...
사이버문화(인터넷문화) 성격과 공간, 사이버문화(인터넷문화) 주체와 주체성, 사이버문화(인...
[시민문화]시민문화의 역사, 시민문화의 의의, 시민문화의 주체형성, 시민문화의 요소, 시민...
[문화 접근, 문화 문헌정보학적 접근, 문화 탈근대적 접근, 문화 비판적 접근, 문화 경제적 ...
[아시아문화, 아시아문화 개념, 아시아문화 형성, 정체성, 교류, 민족의식, 유교관]아시아문...
[문화 접근, 자본문화, 청소년문화, 디지털TV문화]자본문화의 접근, 청소년문화의 접근, 디지...
[일본문화][일본][문화][영화][만화][애니메이션][가옥][다도][성인식][요괴]일본문화와 영화...
[일본문화][일본]일본문화와 일본전통문화, 일본대중문화, 일본문화와 일본주거문화, 일본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