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표주제>
1. 교육심리학은 왜 필요한가?
2. 인간은 악한 존재인가 아니면 선한 존재인가 또는 악하지도 선하지도 않은 백지의 상태라고 생각하는가?
3. 본인이 교사가 되어 학교현장에서 발달이론을 적용한다면 어떤 이론을 어떻게 적용하고 싶은가?
* 교육심리학(Educational Psychology)
교육심리학은 교육의 시기와 방법을 심리학적 방법으로 연구하여 교육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시키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교육심리학은 교육에 관련되어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심리학적 방법으로 연구하고, 그 결과를 실제 적용하여 자라나는 아동들을 바람직하다고 기대되는 인간으로 키울수 있도록 교육적으로 지도하는 기술적이고도 과학적인 방법으로서의 구실을 하는 학문이다.
1. 인간의 이해
1) 인간본성에 대한 과학 이전의 사고
(1) 성악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도덕적으로 악한 충동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악한 행동을 하도록 된 존재.
대표적: 순자, 기독교의 원죄의식, Machiavelli, Hobbes, Marx, Freud
교육에 미친 영향: 엄한 규율과 훈육을 통해 악한 충동을 제거해야 한다고 생각함.
(2) 성선설
인간의 본성은 선하며, 선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것은 일시적인 외적 환경에 의한 것임. 대표적: Rousseau(에밀) , Socrates, Pestalozzi, Hegel, Gesell, Piaget
1. 교육심리학은 왜 필요한가?
2. 인간은 악한 존재인가 아니면 선한 존재인가 또는 악하지도 선하지도 않은 백지의 상태라고 생각하는가?
3. 본인이 교사가 되어 학교현장에서 발달이론을 적용한다면 어떤 이론을 어떻게 적용하고 싶은가?
* 교육심리학(Educational Psychology)
교육심리학은 교육의 시기와 방법을 심리학적 방법으로 연구하여 교육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시키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교육심리학은 교육에 관련되어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심리학적 방법으로 연구하고, 그 결과를 실제 적용하여 자라나는 아동들을 바람직하다고 기대되는 인간으로 키울수 있도록 교육적으로 지도하는 기술적이고도 과학적인 방법으로서의 구실을 하는 학문이다.
1. 인간의 이해
1) 인간본성에 대한 과학 이전의 사고
(1) 성악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도덕적으로 악한 충동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악한 행동을 하도록 된 존재.
대표적: 순자, 기독교의 원죄의식, Machiavelli, Hobbes, Marx, Freud
교육에 미친 영향: 엄한 규율과 훈육을 통해 악한 충동을 제거해야 한다고 생각함.
(2) 성선설
인간의 본성은 선하며, 선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것은 일시적인 외적 환경에 의한 것임. 대표적: Rousseau(에밀) , Socrates, Pestalozzi, Hegel, Gesell, Piaget
본문내용
하나가 두르러지게 우세하지 않은 상태, 즉 평형 (equilibrium)의 상태에 이르는 것.
아동 자신의 활동에 의해 조직화된 행동 양식을 도식(schema)이라고 부른다. 도식이란 아동이 주변 환경을 대할 때 갖는 일관성 있는 활동의 경향으로 풀이할 수 있다.
‘빨기 도식, 쳐다보기 도식
② 발달단계
개인이 일생동안 인지 기능은 같으나 구조는 변화며, 그 변화는 규칙적인 계열성을 따른다. 개인의 인지 발달은 일련의 단계(각 단계는 심리적 구조를 가짐)를 통해 진화한다.
1단계 감각운동기(sensori motor period ; 0-2세): 대상영속성(object permanance)의 개념
2단계 전 조작기(the pre-operational period ; 2세-6,7세)
-상상적 사고가 시작, 전개념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의 형성
-자아중심성(ego-centrism), 가상놀이, 물활론적 사고
3단계 구체적 조작기(the concrete operational period : 7세-11세)
- 보존개념의 형성, 가역적 사고, 탈중심화,
- 언어인 문제보다 시각적인 문제를 더 잘 해결함
4단계 형식적 조작기(the formal operational period : 11세 이상 )
- 가설적-연역적 사고, 조합적 사고
(2)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역사 이론
Piaget와 Vygotsky는 둘다 인간을 능동적인 존재로 봄. 그러나 Vygotsky는 사회적 상호 작용을 더 중시.
개인의 지적 발달은 문화적 영향을 크게 받으며, 아동은 성인의 도움을 받아 문화적 산물 로서의 지식을 내면화함으로써 개인적인 인지 발달이 가능하게 된다.개인간 심리 기능 에서 개인내 심리 기능으로 내면화(internalization)
언어, 기호, 도구등의 중재(mediation)를 강조
Vygotsky는 아동의 지적 능력을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ZPD)의 개념으로 설명함.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ZPD)
- 근접발달영역은 지능검사점수나 학업성취도 등 아동이 현재 스스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 발달 수준(level of actual development)과 자신보다 인지적으로 유능한 성인이나 또래의 도움을 받아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잠재적 발달 수준(level of potential development)간의 격차를 의미한다.
-아동의 근접발달영역은 스스로 과제를 해결하기까지에 필요한 도움의 양과 훈련결과가 전이되는 정도에 의해 진단된다.
비계설정(scaffolding)
아동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매 단계마다 아동의 수행수준에 맞추어 도움을 주는 수준과 양을 적절히 조절하는 방안을 흔히 비계설정(scaffolding)이라 부른다. 비계설정은 성인의 일방적인 가르침에 의존하는 성인중심의 인지 발달 촉진방안과 아동의 자발적인 활동에 의존하는 극단적인 아동중심 방안을 적절히 통합하여 성인이 아동의 수행 수준에 적응해가며 궁극적으로 아동이 독자적인 문제해결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효율적인 성인과 아동간의 교류적 상호작용모형(transactional interaction model)으로 알려지고 있다.
* Piaget와 Vygotsky의 비교
Vygotksy
Piaget
사회문화적 맥락의 영향을 강조
선천성이나, 보편성을 강조
인간과의 상호작용 강조
아동과 물리적 사물과의 상호 작용을 강조
학습과 발달의 상호작용속에서 더 높은 발달이 이루어짐
발달단계가 곧 학습능력의 결정 요인
2) 인간의 비지적 특성
(1) 인성(personality)
Allport ‘인성이란 개인의 특이한 행동과 사고를 결정하는 개인내에 있는 심리생리체제의 역동적 조직’
*인성의 특징
첫째, 인성이란 개인의 특성이다.
둘째, 인성은 심리적인 면(성격)과 생리적인 면(기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셋째, 인성은 지적인 면과 비지적인 면을 모두 포함한다.
넷째, 인성은 체계화된 구조를 가진 역동적 조직체이다(예: Freud의 원초아, 자아, 초자아의 구조)
(2) 동기유발
동기는 자동차의 엔진과 핸들. 어떤 학생은 자발적으로 공부하는데 비하여 어떤 학생은 왜 외부의 간섭을 받아 공부를 하는가? 인간이 행동을 하도록 하게 하는 그 무엇이 동 기(motive). 이러한 상태로 이끄는 것을 동기유발(motivation). 요구(need), 충동(drive), 유인(incentive) 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뜻을 포함하고 있음
Morgan : 동기를 “행동을 일으키는 원동력“이라고 정의. 동기(Motivation)는 라틴어 Movere에서 유래되었으며, 인간의 행동을 일으키는 근원적인 힘을 의미.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흥미, 호기심에서 유래된 동기
외재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 과제 그 자체와 관계가 없는 다른 이유 때문에 무엇인가를 하는 것(처벌을 피하기 위해, 보상을 받기 위해)
교사는 학생들에게 내재적 동기를 불러일으키도록 해야 함.
교사의 기대가 중요.
-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 Rosental & Jacobson(1968) 샌프란시스코 초등학교에서 한 연구.
교사의 기대에 따라 학생의 성적이 달라짐.
* 동기유발의 효과적인 방법
첫째, 학습의 목표를 개인적 욕구와 결부시켜 줌
둘째, 목표를 뚜렷하게 인식시켜 줌
셋째, 학생의 흥미나 적성에 부합된 과제를 줌
넷째, 칭찬이나, 상을 통해 학습동기를 유발시킴
다섯째, 긍정적인 자아개념의 형성을 도와줌
여섯째, 부분해답을 줌.
일곱째, 경쟁심을 적절하게 활용함.
(3) 포부수준
* 포부수준의 정의
첫째, 개인이 어떤 과업에 대해 예상하고 있는 장래의 성취수준
둘째, 개인이 당면한 목표와 관련된 심리상태.
셋째, 학습자가 어떤 특수한 학습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성취를 달성하겠느냐를 결정하는 것, 즉 구체적과제에서의 구체적 성취 또는 목표수준을 의미
넷째, 개인이 어떤 과업을 수행하려고 할 때, 그 과업성과에 대한 주관적 기대,목표, 요구, 열망 등을 의미.
아동 자신의 활동에 의해 조직화된 행동 양식을 도식(schema)이라고 부른다. 도식이란 아동이 주변 환경을 대할 때 갖는 일관성 있는 활동의 경향으로 풀이할 수 있다.
‘빨기 도식, 쳐다보기 도식
② 발달단계
개인이 일생동안 인지 기능은 같으나 구조는 변화며, 그 변화는 규칙적인 계열성을 따른다. 개인의 인지 발달은 일련의 단계(각 단계는 심리적 구조를 가짐)를 통해 진화한다.
1단계 감각운동기(sensori motor period ; 0-2세): 대상영속성(object permanance)의 개념
2단계 전 조작기(the pre-operational period ; 2세-6,7세)
-상상적 사고가 시작, 전개념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의 형성
-자아중심성(ego-centrism), 가상놀이, 물활론적 사고
3단계 구체적 조작기(the concrete operational period : 7세-11세)
- 보존개념의 형성, 가역적 사고, 탈중심화,
- 언어인 문제보다 시각적인 문제를 더 잘 해결함
4단계 형식적 조작기(the formal operational period : 11세 이상 )
- 가설적-연역적 사고, 조합적 사고
(2)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역사 이론
Piaget와 Vygotsky는 둘다 인간을 능동적인 존재로 봄. 그러나 Vygotsky는 사회적 상호 작용을 더 중시.
개인의 지적 발달은 문화적 영향을 크게 받으며, 아동은 성인의 도움을 받아 문화적 산물 로서의 지식을 내면화함으로써 개인적인 인지 발달이 가능하게 된다.개인간 심리 기능 에서 개인내 심리 기능으로 내면화(internalization)
언어, 기호, 도구등의 중재(mediation)를 강조
Vygotsky는 아동의 지적 능력을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ZPD)의 개념으로 설명함.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ZPD)
- 근접발달영역은 지능검사점수나 학업성취도 등 아동이 현재 스스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 발달 수준(level of actual development)과 자신보다 인지적으로 유능한 성인이나 또래의 도움을 받아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잠재적 발달 수준(level of potential development)간의 격차를 의미한다.
-아동의 근접발달영역은 스스로 과제를 해결하기까지에 필요한 도움의 양과 훈련결과가 전이되는 정도에 의해 진단된다.
비계설정(scaffolding)
아동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매 단계마다 아동의 수행수준에 맞추어 도움을 주는 수준과 양을 적절히 조절하는 방안을 흔히 비계설정(scaffolding)이라 부른다. 비계설정은 성인의 일방적인 가르침에 의존하는 성인중심의 인지 발달 촉진방안과 아동의 자발적인 활동에 의존하는 극단적인 아동중심 방안을 적절히 통합하여 성인이 아동의 수행 수준에 적응해가며 궁극적으로 아동이 독자적인 문제해결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효율적인 성인과 아동간의 교류적 상호작용모형(transactional interaction model)으로 알려지고 있다.
* Piaget와 Vygotsky의 비교
Vygotksy
Piaget
사회문화적 맥락의 영향을 강조
선천성이나, 보편성을 강조
인간과의 상호작용 강조
아동과 물리적 사물과의 상호 작용을 강조
학습과 발달의 상호작용속에서 더 높은 발달이 이루어짐
발달단계가 곧 학습능력의 결정 요인
2) 인간의 비지적 특성
(1) 인성(personality)
Allport ‘인성이란 개인의 특이한 행동과 사고를 결정하는 개인내에 있는 심리생리체제의 역동적 조직’
*인성의 특징
첫째, 인성이란 개인의 특성이다.
둘째, 인성은 심리적인 면(성격)과 생리적인 면(기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셋째, 인성은 지적인 면과 비지적인 면을 모두 포함한다.
넷째, 인성은 체계화된 구조를 가진 역동적 조직체이다(예: Freud의 원초아, 자아, 초자아의 구조)
(2) 동기유발
동기는 자동차의 엔진과 핸들. 어떤 학생은 자발적으로 공부하는데 비하여 어떤 학생은 왜 외부의 간섭을 받아 공부를 하는가? 인간이 행동을 하도록 하게 하는 그 무엇이 동 기(motive). 이러한 상태로 이끄는 것을 동기유발(motivation). 요구(need), 충동(drive), 유인(incentive) 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뜻을 포함하고 있음
Morgan : 동기를 “행동을 일으키는 원동력“이라고 정의. 동기(Motivation)는 라틴어 Movere에서 유래되었으며, 인간의 행동을 일으키는 근원적인 힘을 의미.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흥미, 호기심에서 유래된 동기
외재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 과제 그 자체와 관계가 없는 다른 이유 때문에 무엇인가를 하는 것(처벌을 피하기 위해, 보상을 받기 위해)
교사는 학생들에게 내재적 동기를 불러일으키도록 해야 함.
교사의 기대가 중요.
-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 Rosental & Jacobson(1968) 샌프란시스코 초등학교에서 한 연구.
교사의 기대에 따라 학생의 성적이 달라짐.
* 동기유발의 효과적인 방법
첫째, 학습의 목표를 개인적 욕구와 결부시켜 줌
둘째, 목표를 뚜렷하게 인식시켜 줌
셋째, 학생의 흥미나 적성에 부합된 과제를 줌
넷째, 칭찬이나, 상을 통해 학습동기를 유발시킴
다섯째, 긍정적인 자아개념의 형성을 도와줌
여섯째, 부분해답을 줌.
일곱째, 경쟁심을 적절하게 활용함.
(3) 포부수준
* 포부수준의 정의
첫째, 개인이 어떤 과업에 대해 예상하고 있는 장래의 성취수준
둘째, 개인이 당면한 목표와 관련된 심리상태.
셋째, 학습자가 어떤 특수한 학습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성취를 달성하겠느냐를 결정하는 것, 즉 구체적과제에서의 구체적 성취 또는 목표수준을 의미
넷째, 개인이 어떤 과업을 수행하려고 할 때, 그 과업성과에 대한 주관적 기대,목표, 요구, 열망 등을 의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