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의 음유시인
2. 일상복으로서의 한복
3. 맛을 보면 어느 집인 줄 알 수 있다
4. 자연놀이터
5. 통금이 가져다준 선물
6. 동네마다 하나씩 있던 영화관
7. 역경을 이겨낸 스포츠, 복싱
8. 님도 보고 뽕도 따고
9. 문화리더로써의 대학생
Ⅲ. 결론
Ⅱ. 본론
1. 한국의 음유시인
2. 일상복으로서의 한복
3. 맛을 보면 어느 집인 줄 알 수 있다
4. 자연놀이터
5. 통금이 가져다준 선물
6. 동네마다 하나씩 있던 영화관
7. 역경을 이겨낸 스포츠, 복싱
8. 님도 보고 뽕도 따고
9. 문화리더로써의 대학생
Ⅲ. 결론
본문내용
금도 살아남은 문화이다. 한복은 두 무리로 나뉘어 살아남았다. 개량한복이라고 하는 무리는 의복이라는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정해진 형태를 탈피했다. 서구화된 현대생활에 적합하지 않은 착복형태나, 옷감 등을 변형시켜 일상복으로서의 가치를 유지할 수 있었다.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미의 기준이 서구화되어 예전처럼 널리 이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한복이 가졌던 우리민족의 의복이라는 가치는 계속 유지되고 있다. 또 다른 한 무리는 전통 그 모습대로의 한복이다. 이 무리는 그 고유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했다. 일상복으로서의 본래보다 희미해진 가치를 고수하기 보다는, 그 자체가 갖는 아름다움이라는 제 2의 가치를 찾아낸 것이다. 살아남은 문화는 어떤 방식이든 환경의 변화에 맞는 코드로 변화해왔다. 다양한 갈래로 나뉘어지고 합쳐지며 그 형태와 가치를 변화시켜 지금까지 유지될 수 있었다. 문화라는 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수많은 스타들도 사람들의 코드에 맞게 성형을 하거나 연기변신 등을 통해 자신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기억 속으로 잊혀져 간다. 문화도 마찬가지로 성행했던 그 때의 형태와 가치를 변화시켜야 살아남을 수 있다. 틀에 갇히면 발전의 기회조차 잡지 못하게 된다. 변화하는 것은 주체성을 포기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발전의 기회를 잡는 것이다. 한복은 변화를 통해 새롭게 발전할 수 있었다. 현재에 맞는 새로운 가치와 모습으로. 전통이 발전하려면, 내가 발전하려면, 정해진 틀 속에 머무르기 보다는 새로운 발전의 기회를 잡기 위해 새로운 세상으로 나와 변화해야 한다.
추천자료
소비자행동론_아웃백스테이크 하우스 사례를 통한 소비자의사결정 과정
인터넷환경(온라인)에서의 소비자 행동분석(A+소비자행동론)
(소비자행동론) 소비자행동에 있어 태도와 행동이 미치는 영향
소비자행동론-소비자의사결정(ex핸드폰)
[소비자행동론]피자헛(Pizza-Hut) 마케팅전략 및 소비자만족도 조사(A+리포트)
소비자행동론(표준화 대 비표준화 전략 / 준거집단의 유형/ 소비자조사의 과정)
우수 선수를 통한 소비자 마케팅 전략(스포츠소비자행동론)
소비자행동론
소비자행동론 - 구매 후 부조화
[소비자행동론] 본인의 구매행동 경험 중,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의 각 단계별(문제인식→...
[소비자행동론] 소비자다양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