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7살, 남)의 그림
위치-불안정한 자아상
큰 머리-자신의 지적 능력에 대해 불안감,과도한 보상 욕구
적거나 없는 머리카락-성적인 면에서 지나치게 수동적이거나 억제적인 태도
목이 없음-충동 통제 및 조절능력 약화, 일상생활에서 부적절감을 느낌
작은 몸통-스스로의 힘과 관련한 부적절감, 수동적이고 억제된 행동
손을 원으로 표현-교류나 통제, 대처와 관련한 부적절감과 무력감
3) 문가영(7살, 여)의 그림
위치-적응적인 자아 중심적 경향
흰 태양-아버지에 대한 거부적인 감정
코를 그리지 않음-타인에게 보여지는 모습에 예민
입을 ‘헤’하고 벌림-대인관계 상호작용에서의 무기력감과 수동적인 태도
진한 머리카락-자기 주장적 행동, 때로 공격적 태도
목이 없음-충동 통제 및 조절능력 약화되어, 일상생활에서 부적절감을 느낌
길고 큰 몸통-지나친 행동성, 스스로의 내적 힘이 부족하다는 느낌 과잉보상
큰 손-과행동을 통해 환경에 대처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부적절감을 과잉보상하고
긴 다리-자율성, 독립성에 대한 욕구
4) 김지민(9살, 여)의 그림
위치-불안정한 자아상, 내향적 성향
옆얼굴을 그림-자신감이 부족
이-정서적인 욕구를 수용하고 표현하는 데 대한 불확실성과 주저함
작은 몸통-스스로의 힘과 관련하여 부적절감, 수동적이고 억제된 행동
적은 손가락의 수-세상에 대한 통제를 얻는 데 있어 부적절감을 느낌
5) 홍민아(10살, 여)의 그림
위치-적응적인 자아 중심적 경향
작은 코-타인과의 감정 교류에 대해 수동적이고 회피적인 태도
이-정서적인 욕구를 수용하고 표현하는 데 대한 불확실성과 주저함
입을 ‘헤’하고 벌림-대인관계 상호작용에서의 무기력감과 수동적인 태도
단추-자신의 내적 힘이 제한되어 있고, 안정감을 얻기 위해 타인에게 의존
발이나 신발을 단순화 시켜 둥그스름하게 그림-자율성의 발달이 매우 미숙함
활발한 동작-불안정한 상태
보고서
보고서
부록
부록
종 결 단 계
1. 요 약
① 인물화 검사 DAP(Draw A Person)이란?
② 검사 및 해석 방법
③ 유념할 점
④ 실제 그림 분석
2. 재동기 부여
그림을 통해 충분히 아이들의 내적 상태를 진단하고 그에 따른 치료를 할 수도 있습니다. 예비교사로서, 이러한 내용을 미리 공부하고, 직접 적용해 보는 이러한 활동들은 현직에 나가서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3. 결언
지금까지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위치-불안정한 자아상
큰 머리-자신의 지적 능력에 대해 불안감,과도한 보상 욕구
적거나 없는 머리카락-성적인 면에서 지나치게 수동적이거나 억제적인 태도
목이 없음-충동 통제 및 조절능력 약화, 일상생활에서 부적절감을 느낌
작은 몸통-스스로의 힘과 관련한 부적절감, 수동적이고 억제된 행동
손을 원으로 표현-교류나 통제, 대처와 관련한 부적절감과 무력감
3) 문가영(7살, 여)의 그림
위치-적응적인 자아 중심적 경향
흰 태양-아버지에 대한 거부적인 감정
코를 그리지 않음-타인에게 보여지는 모습에 예민
입을 ‘헤’하고 벌림-대인관계 상호작용에서의 무기력감과 수동적인 태도
진한 머리카락-자기 주장적 행동, 때로 공격적 태도
목이 없음-충동 통제 및 조절능력 약화되어, 일상생활에서 부적절감을 느낌
길고 큰 몸통-지나친 행동성, 스스로의 내적 힘이 부족하다는 느낌 과잉보상
큰 손-과행동을 통해 환경에 대처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부적절감을 과잉보상하고
긴 다리-자율성, 독립성에 대한 욕구
4) 김지민(9살, 여)의 그림
위치-불안정한 자아상, 내향적 성향
옆얼굴을 그림-자신감이 부족
이-정서적인 욕구를 수용하고 표현하는 데 대한 불확실성과 주저함
작은 몸통-스스로의 힘과 관련하여 부적절감, 수동적이고 억제된 행동
적은 손가락의 수-세상에 대한 통제를 얻는 데 있어 부적절감을 느낌
5) 홍민아(10살, 여)의 그림
위치-적응적인 자아 중심적 경향
작은 코-타인과의 감정 교류에 대해 수동적이고 회피적인 태도
이-정서적인 욕구를 수용하고 표현하는 데 대한 불확실성과 주저함
입을 ‘헤’하고 벌림-대인관계 상호작용에서의 무기력감과 수동적인 태도
단추-자신의 내적 힘이 제한되어 있고, 안정감을 얻기 위해 타인에게 의존
발이나 신발을 단순화 시켜 둥그스름하게 그림-자율성의 발달이 매우 미숙함
활발한 동작-불안정한 상태
보고서
보고서
부록
부록
종 결 단 계
1. 요 약
① 인물화 검사 DAP(Draw A Person)이란?
② 검사 및 해석 방법
③ 유념할 점
④ 실제 그림 분석
2. 재동기 부여
그림을 통해 충분히 아이들의 내적 상태를 진단하고 그에 따른 치료를 할 수도 있습니다. 예비교사로서, 이러한 내용을 미리 공부하고, 직접 적용해 보는 이러한 활동들은 현직에 나가서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3. 결언
지금까지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상담과 그림어휘력검사결과
[에니어그램성격유형][주제통각][성격유형][그림좌절][다면적인성]에니어그램성격유형검사(EN...
CAT- 한국아동용주제통각검사
투사적 그림검사
아동주제통각검사(C.A.T)
미술심리(美術心理)와 아트테라피(Art therapy)세계 - 미술치료이 개념과 배경 및 장점, 색으...
[아동검사] 아동검사의 영향요소 - 검사실시에 영향을 주는 요인, 아동대상 검사시 영향을 주...
[아동문제행동평가] 아동문제행동의 평가목적과 평가과정 및 평가기준, 아동문제행동의 평가...
[아동성격검사] 아동용 성격검사(PIC), 한국판 아동용성격검사(K-PIC), 한국판 유아성격검사,...
아동발달검사 - 영유아 및 아동을 위한 가정환경평가, 유치원-1학년용 선별검사, 학습평가를 ...
지능검사의 종류(분류) - 그림지능검사(PTI), 한국판 그림지능검사(KPTI), Fagan영아지능검사...
아동심리평가(아동심리검사) - 아동심리평가의 과정(아동심리검사과정)
아동검사물수집
[유아발달검사] 유아발달 평가(밀러 유아용 평가검사, First STEP 유아용 선별검사, 유아선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