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윌슨(J. Wilson)의 도덕성 요소
2. 도덕교육의 제 이론
3. 내용과 형식의 개념 및 구별
4. 윌슨의 도덕성 4범주 16요소
5. 도덕교육론 중 개념분석법
6. 결론
참고문헌
2. 도덕교육의 제 이론
3. 내용과 형식의 개념 및 구별
4. 윌슨의 도덕성 4범주 16요소
5. 도덕교육론 중 개념분석법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념, 징후, 행동 속에 그 사람의 정서ㆍ감정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EMP(2)(Cs)의 교육에 있어서는 동화나 소설, 다큐멘터리, 드라마 등을 잘 활용할 수 있다. 먼저 그런 자료들을 보여 준 다음, 주인공의 정서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5) EMP(2)(Ucs) : 무의식 수준에 있는 다른 사람의 정서ㆍ감정을 인지하기
EMP(2)(Ucs)는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다른 사람의 신념, 징후, 행동을 알아차리는 것으로서 정신분석적인 도움도 필요한 요소이다. 실제로 교실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는 현상은 어떤 남학생이 어떤 여학생을 자주 괴롭히고, 수시로 장난을 거는 것이다. 이럴 때, 과연 그것이 그 여학생에 대한 남학생의 마음의 표현인 것인가에 대해, 보여 지는 그대로 해석할 수 없다고 보통 결론짓는다. 그 남학생의 마음속에는 무의식적으로 그 여학생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그 여학생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그렇게 행동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하나의 예이지만, 부모와 자녀 관계, 이웃 관계, 친구 관계에서 무의식적으로 작용하는 정서가 많이 있고, 그것이 많은 부분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자녀가 없다든지 자녀를 슬하에서 떠나 보낸 사람이 애완 동물을 기르는 일이 많다. 애정을 쏟을 대상이 없을 때 개나 고양이 새끼에게 대신 사랑을 쏟는다. 일종의 대상 행동(代償 行動)이다. 최광선, 상게서, 2003, p. 58
위의 이유들이 작용하여 애완 동물이 사랑스러워 보여 구입도 하게 되며, 마치 인간인 것처럼 키우게 되는 것이다. 주위에서 그런 이유들을 언급해 주면 그제서야 자신들의 잠재적인 심리를 이해하게 됨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한 심리적 분석이 비로소 시작되는 것을 볼 수 있다.
6. 결론
윌슨의 도덕성 요소의 통합적 성격은 도덕적 사태에서 학생들의 도덕 판단력을 증진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또한 도덕성 요소 내의 삼단 논법적 특성으로 인해, 도덕성 요소에 기초한 연역 추론과 귀납 추론이 가능하다. 즉, 윌슨의 도덕성 요소를 직접적으로 가르침으로써 도덕적 사고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역 추론과 귀납 추론의 방식을 개발시켜 줌으로써 학생들의 도덕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덕교육에서 내용적 접근과 형식적 접근, 또는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편중하게 될 때에, 여러 가지 잘못된 도덕적 판단방식이 생길 수 있다. 사회의 규범이나 가치에 대해 맹종한다거나 역으로 사회적 가치나 규범을 무시했을 때는 결국 광신, 맹신, 무도덕, 자신의 취향이나 기호 등에 빠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일부 학자들의 입장이 한 쪽 접근에 치우쳐 있다는 점에서도 통합적인 이론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한다. 윌슨의 도덕성 요소는 도덕 교육 이론에서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의 통합뿐만 아니라 내용적 및 형식적 접근의 통합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도덕 판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론으로서 큰 가치를 지닌다.
윌슨의 도덕성 요소는 우리 주변의 일상 생활의 모든 영역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는 만큼 광범위한 사고를 할 수 있으며 도덕 교육에 있어서의 대상이 되는 전통적 가치관이나 관습, 규칙 등의 내용과 함께, 그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도덕적 판단을 하는 구조까지도 포괄하고 있다. 실제 수업에서 여러 측면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하는 것은 중요한데, 윌슨의 이론은 가르쳐야 할 내용적 요소들을 결코 간과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내용들을 적절히 분석, 분류해서 합리적인 도덕 판단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한 인간의 도덕성에서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의 통합적인 발달도 간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도덕성 요소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도덕 판단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은 큰 의의를 갖는다.
참고문헌
강승희 외7인, 『교사를 위한 교육심리학』, 고양: 서현사, 2004.
김민남, 『도덕발달이론』, 파주: 교육과학사, 1988.
김춘태ㆍ이대희, 『논리학의 이해』, 부산: 세종출판사, 2005.
김태길, 『윤리학』, 서울: 박영사, 2001.
김태훈, 『도덕성 발달이론과 교육』, 고양: 도서출판 인간사랑, 2004.
남궁 달화, 『도덕교육론』,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8.
______, 『도덕 교육과 수행평가』, 파주: 교육과학사, 2000.
______, 『도덕성 요소와 도덕교육』, 서울: 학지사, 2003.
______, 『콜버그의 도덕교육론』, 서울: 과학과 현실사, 1995.
______, 『현대 도덕교육론』, 파주: 교육과학사, 2008
류명걸, 『일반논리학』, 서울: 형설출판사, 2003.
박병기ㆍ추병완, 『윤리학과 도덕 교육 1』, 고양: 도서출판 인간사랑, 2004.
박병기ㆍ추병완, 『윤리학과 도덕 교육 1(개정증보판)』, 고양: 도서출판 인간사랑, 2009.
박은진ㆍ김희정, 『비판적 사고를 위한 논리』, 서울: 아카넷, 2004.
박종홍, 『일반논리학-증보 개정판』, 서울: 박영사, 1997.
박준호, 『논리의 이해』, 서울: 한국문화사, 2001.
소흥렬, 『부드러운 논리 아름다운 생각』,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양태종, 『수사학 이야기』, 부산: 동아대학교 출판부, 1999.
엄정식 외3인, 『논리와 사고』,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2.
윤민봉, 『현대 인성도덕 가치교육』, 서울: 학문사, 2000.
이돈희, 『도덕교육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992.
전상국 외6인,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서울: 북스힐, 2003.
정창우,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서울: 교육과학사, 2004.
조난심, 「도덕교육과정」, 『교육학 대백과사전 2』, 서울: 하우동설, 1998.
차우규 외3인, 『도덕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2003.
최광선, 『마음을 읽으면 사람이 재미있다』, 서울: 사계절, 2003.
최현호, 『이야기 중심의 논리와 창조적 사고』, 대전: 도서출판 보성, 2001.
추병완, 『도덕 발달과 도덕 교육』, 서울: 도서출판 하우, 2007.
황경식, 『사회 정의의 철학적 기초』,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5.
(5) EMP(2)(Ucs) : 무의식 수준에 있는 다른 사람의 정서ㆍ감정을 인지하기
EMP(2)(Ucs)는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다른 사람의 신념, 징후, 행동을 알아차리는 것으로서 정신분석적인 도움도 필요한 요소이다. 실제로 교실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는 현상은 어떤 남학생이 어떤 여학생을 자주 괴롭히고, 수시로 장난을 거는 것이다. 이럴 때, 과연 그것이 그 여학생에 대한 남학생의 마음의 표현인 것인가에 대해, 보여 지는 그대로 해석할 수 없다고 보통 결론짓는다. 그 남학생의 마음속에는 무의식적으로 그 여학생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그 여학생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그렇게 행동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하나의 예이지만, 부모와 자녀 관계, 이웃 관계, 친구 관계에서 무의식적으로 작용하는 정서가 많이 있고, 그것이 많은 부분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자녀가 없다든지 자녀를 슬하에서 떠나 보낸 사람이 애완 동물을 기르는 일이 많다. 애정을 쏟을 대상이 없을 때 개나 고양이 새끼에게 대신 사랑을 쏟는다. 일종의 대상 행동(代償 行動)이다. 최광선, 상게서, 2003, p. 58
위의 이유들이 작용하여 애완 동물이 사랑스러워 보여 구입도 하게 되며, 마치 인간인 것처럼 키우게 되는 것이다. 주위에서 그런 이유들을 언급해 주면 그제서야 자신들의 잠재적인 심리를 이해하게 됨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한 심리적 분석이 비로소 시작되는 것을 볼 수 있다.
6. 결론
윌슨의 도덕성 요소의 통합적 성격은 도덕적 사태에서 학생들의 도덕 판단력을 증진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또한 도덕성 요소 내의 삼단 논법적 특성으로 인해, 도덕성 요소에 기초한 연역 추론과 귀납 추론이 가능하다. 즉, 윌슨의 도덕성 요소를 직접적으로 가르침으로써 도덕적 사고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역 추론과 귀납 추론의 방식을 개발시켜 줌으로써 학생들의 도덕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덕교육에서 내용적 접근과 형식적 접근, 또는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편중하게 될 때에, 여러 가지 잘못된 도덕적 판단방식이 생길 수 있다. 사회의 규범이나 가치에 대해 맹종한다거나 역으로 사회적 가치나 규범을 무시했을 때는 결국 광신, 맹신, 무도덕, 자신의 취향이나 기호 등에 빠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일부 학자들의 입장이 한 쪽 접근에 치우쳐 있다는 점에서도 통합적인 이론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한다. 윌슨의 도덕성 요소는 도덕 교육 이론에서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의 통합뿐만 아니라 내용적 및 형식적 접근의 통합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도덕 판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론으로서 큰 가치를 지닌다.
윌슨의 도덕성 요소는 우리 주변의 일상 생활의 모든 영역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는 만큼 광범위한 사고를 할 수 있으며 도덕 교육에 있어서의 대상이 되는 전통적 가치관이나 관습, 규칙 등의 내용과 함께, 그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도덕적 판단을 하는 구조까지도 포괄하고 있다. 실제 수업에서 여러 측면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하는 것은 중요한데, 윌슨의 이론은 가르쳐야 할 내용적 요소들을 결코 간과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내용들을 적절히 분석, 분류해서 합리적인 도덕 판단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한 인간의 도덕성에서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의 통합적인 발달도 간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도덕성 요소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도덕 판단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은 큰 의의를 갖는다.
참고문헌
강승희 외7인, 『교사를 위한 교육심리학』, 고양: 서현사, 2004.
김민남, 『도덕발달이론』, 파주: 교육과학사, 1988.
김춘태ㆍ이대희, 『논리학의 이해』, 부산: 세종출판사, 2005.
김태길, 『윤리학』, 서울: 박영사, 2001.
김태훈, 『도덕성 발달이론과 교육』, 고양: 도서출판 인간사랑, 2004.
남궁 달화, 『도덕교육론』,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8.
______, 『도덕 교육과 수행평가』, 파주: 교육과학사, 2000.
______, 『도덕성 요소와 도덕교육』, 서울: 학지사, 2003.
______, 『콜버그의 도덕교육론』, 서울: 과학과 현실사, 1995.
______, 『현대 도덕교육론』, 파주: 교육과학사, 2008
류명걸, 『일반논리학』, 서울: 형설출판사, 2003.
박병기ㆍ추병완, 『윤리학과 도덕 교육 1』, 고양: 도서출판 인간사랑, 2004.
박병기ㆍ추병완, 『윤리학과 도덕 교육 1(개정증보판)』, 고양: 도서출판 인간사랑, 2009.
박은진ㆍ김희정, 『비판적 사고를 위한 논리』, 서울: 아카넷, 2004.
박종홍, 『일반논리학-증보 개정판』, 서울: 박영사, 1997.
박준호, 『논리의 이해』, 서울: 한국문화사, 2001.
소흥렬, 『부드러운 논리 아름다운 생각』,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양태종, 『수사학 이야기』, 부산: 동아대학교 출판부, 1999.
엄정식 외3인, 『논리와 사고』,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2.
윤민봉, 『현대 인성도덕 가치교육』, 서울: 학문사, 2000.
이돈희, 『도덕교육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992.
전상국 외6인,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서울: 북스힐, 2003.
정창우,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서울: 교육과학사, 2004.
조난심, 「도덕교육과정」, 『교육학 대백과사전 2』, 서울: 하우동설, 1998.
차우규 외3인, 『도덕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2003.
최광선, 『마음을 읽으면 사람이 재미있다』, 서울: 사계절, 2003.
최현호, 『이야기 중심의 논리와 창조적 사고』, 대전: 도서출판 보성, 2001.
추병완, 『도덕 발달과 도덕 교육』, 서울: 도서출판 하우, 2007.
황경식, 『사회 정의의 철학적 기초』,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5.
추천자료
개념분석 수업모형
DNA fingerpriting (지문분석법)
개념분석 수업 모형에 따른 도덕과 수업 지도 계획
개념분석 수업 모형
개념분석수업(개념분석학습)의 정의, 개념분석수업(개념분석학습)의 전개, 개념분석수업(개념...
시장의개념소비자분석자사및경쟁분석
[취업] 知彼知己, 百戰不殆 (지피지기 백전불태) - 기업의 인재 분석법 5가지.PPT자료
[방사선] X -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재료 분석법
현행 사회복지법제 내용 분석-장애인복지법
<아동학대 원인분석과 해결방안> 아동학대 개념분석과 아동학대 원인분석과 유형분석 및 아동...
[제도경제학 공통] ‘거래비용’이 1) 어떤 이론사적 계기를 통해 형성된 2) 어떤 개념인지, 3...
물리 데이터(Data) 분석법 기초.pptx
[성인건강간호세미나] 우울의 개념분석 (depression) [우울 개념 우울 정의 우울 이론적 접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