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분석 수업 모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수업모형의 배경

2. 개념분석 수업 모형의 단계

3.수업 모형의 적용

본문내용

등의 특징이 있음.
③이 단계에서는 분석된 도덕 개념의 의의가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비추어 볼 때, 수용해도 괜찮은지를 검토하며, 앞에서 분석한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개념의 정의를 확립하도록 함.
→우리가 개념을 사전에서 찾는다면, 그것은 가장 일반적인 용법만을 압축하여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상황에서 개념이 어떤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움.
∴앞서 살핀 과정을 통하여 분석한 내용을 체계화하여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의 맥락에서 개념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임.
→도덕적 언어의 기능을 바로 파악하여 도덕적 개념의 의미를 정확하게 인식해야 도덕적 원리를 체계적으로 이해 할 수 있기 때문
8)실천동기 부여
①개념분석을 통해 의미가 명료해진 도덕적 가치ㆍ규범을 일상생활에서 일관되게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열정을 불러일으키고 의지를 다진다.
3.수업 모형의 적용
1)수업 모형의 실제적 적용
①도덕과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이 도덕, 윤리적 문제에 대하여 철학적 탐구의 훈련을 할 수 있다면 매우 바람직할 것.
→일반적인 개념분석 수업 모형에서 다루는 개념들은 대부분 학생들이 처음으로 접하여 획득해야 하는 개념들임.
→일반적으로 개념분석 수업 모형에서는 이와 같은 이와 같은 개념들의 사전적 개념 또는 학문적 개념들을 지도
②그러나 도덕ㆍ윤리과 수업에서 다루어지는 개념은 이와는 다소 상이함.
→도덕ㆍ윤리과 수업을 통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는 개념들은 대부분 학생들이 처음으로 접하는 개념은 아니며, 학생들이 이전에 이미 나름대로 관념을 가지고 있는 개념들임.
③도덕ㆍ윤리과의 개념분석 수업 모형은 그 수업의 초점이나 전개과정이 다른 교과의 개념분석 수업 모형과 차이가 날 수밖에 없음.
→도덕ㆍ윤리과에서 개념분석을 하는 이유는 도덕ㆍ윤리적 개념의 명확한 의미를 확인하는 것을 넘어서서 그 개념이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가를 살피는 데 있음.
→즉, 우리 삶의 도덕적 측면을 반성적으로 검토해 보는 것과 한걸음 더 나아가 그와 같이 분석된 개념을 바탕으로 현실에서 어떻게 그와 같은 개념의 실천을 위하여 노력할 것인가를 지도하는 데 주안점을 둠.
④도덕ㆍ윤리과에서 개념분석 수업 모형을 적용시켜 수업을 이끌어 나갈 경우 앞에서 살펴본 개념분석 수업 모형의 단계대로 수업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어려울 경우도 있음.
→개념분석 수업 모형의 단계 중에서 개념의 전형적인 사례를 찾아보는 것도 교사가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인식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그리 쉬운 작업이 아님.
⑤교사가 개념분석 수업 모형을 적용시켜 수업을 이끌어 나갈 경우 이와 같은 여러 형편을 고려하여 교사 나름대로 단계를 합치거나 또는 생략해도 무방함.
→교사는 자신의 수업에 대하여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으므로 전적인 권한을 행사할 수 있음. 더욱이 수업 모형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닌 수업을 보다 원만하게 잘 이끌어가기 위한 바탕을 마련하는 하나의 틀에 지나지 않기 때문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1.15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10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