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 이론 비교 분석 및 유아교육에서의 활용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동주의 이론 비교 분석 및 유아교육에서의 활용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행동주의 이론 비교 분석
1. I.P.Pavlov(1849~1936)
1) 파블로프의 실험
2) 조건반사가 성립하는 원리
3) 조건화의 현상

2. Edward L.Thorndike
1) 시행착오설
2) 쏜다이크의 실험
3) 시행착오의 학습법칙
4) 종속적 법칙

3. Skinner - 작동(作動)조건(條件)형성(形成)
1) 비둘기 실험
2) 강화스케줄

Ⅱ. 유아교육에서의 행동주의 활용방안

본문내용

시간 및 반응수를 고정시키는가, 변동시키는가의 차원에서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고정 비율(반응의 비율), 고정 간격(시간의 간격), 변동 비율, 변동 간격
Ⅱ. 유아교육에서의 행동주의 활용방안
고전적 조건형성이론은 주변의 다양한 요소들이 정서적 반응이나 생리적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과 연합되어 조건화될 수 있으며, 학습은 중성적 자극과 무조건적 자극이 대치됨으로써 조검반응을 형성시켜주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학교현장에서 교사의 행동이 처음에는 중립자극으로 작용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반응과 연합되어 조건자극이 될 수 있다. 그 예로, 초등학교 1학년 영수는 입학식 날 선생님의 따뜻한 미소를 보고 긍정적 감정을 경험하게 되며 점차 교사와 학교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경험하게 된다. 반면 두려움을 유발하는 교사의 빈번한 질책은 학교에 대해 두려움을 경험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시험불안은 시험 (중성적 자극)에 실패한 후 부모나 교사로부터 심한 꾸중(무조건 자극)을 들어서 좌절 혹은 불안감(무조건 반응)을 경험한 후 중성자극이었던 시험이 조건자극이 되어 불안감(조건반응)을 야기하게 된 학습의 결과로 이해될 수 있다.
조작적 조건형성은 강화와 벌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유지하고 그렇지 않은 행동을 교정하기 위한 학습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교사는 학생들의 행동을 교정하기 위해 강화와 벌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벌은 행동을 잠시 억제할 뿐 지속적인 효과가 없기 때문에 벌보다는 정적 강화가 상대적으로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Williams, 1987). 또한 프로그램 수업도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을 응용한 수업방식인데, 학습자에게 작은 단계로 정보를 제시하고 학습의 결과에 대해 즉각적 피드백을 주며 학습자가 학습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과거에는 수업의 내용이 교수기계로 제시되었지만 오늘날에는 주로 컴퓨터를 이용한 컴퓨터 보조수업(cal)이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 보조 수업은 재미있는 시각자료로 학생을 동기유발 시킬 수 있고, 즉각적으로 제시되는 오답결과를 참조해서 교사는 수업방식을 바로 개선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김미환, 최윤진.(2003).현장 교육학. 동문사
윤희경, 신혜영.(2005).발달에 적합한 영유아 교육과정. 양서원
김청자, 장선철.(2003).교육심리학. 동문사
김언주, 구광현.(1999).신교육 심리학. 문음사
김영채 역.(2001).학습 심리학. 박영사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86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