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
느낀점 및 독후감
느낀점 및 독후감
본문내용
가 아니다. 유대교, 기독교가 그 사람을 구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종교 밖에서도 하나님은 만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늘 논란이 되어왔던 이야기 복음을 들어보지 못했던 사람들..예를 들어 이순신 같은 사람은 어찌 되는가? 라는 질문에 스티븐 트레비스도 주님 재림때까지는 그 누구도 알지 못할 숙제라고 말한다. 하지만 하나님의 예정과 섭리가운데 이전의 복음을 듣지 못했던 사람들도 주님을 만날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편협하고 일관성 없으신 분은 아니기에.. 10장 소망이 있는 곳에 생명이 있다에서는 주님 오심을 준비한는 것이 발 뒤꿈치를 들고 서 잇는 일이 아니고 우리에게 맡겨진 일을 꾸준히 처리하며 하나님이 우리를 불러서 그렇게 되라고 말씀하신 그런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런 소망의 삶에는 1.성령 안에서의 삶, 2.자기를 주는 삶, 3.참된 부가 있는 곳을 아는 삶, 4.고난을 통한 삶, 5.기도를 우선으로 하는 삶이라고 한다. 그러면서 저자 스티븐 트레비스는 격려의 말로 멋진말을 적어 놓는다.
"하나님의 통치를 거절하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받는 백성으로 산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마지막 11장과 12장에서 저자는 보다 적극적으로 우리가 변화되기를 촉구한다.
"많은 그리스도인이 세상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에 참여하지 않는 또다른 이유가 있다. 그들은 하나님을 개인적 체험 혹은 천국에 들어가기 위한 입장권으로 보는 제지도에 안주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하나님이 진실로 하나님이시라면 그분은 우리 목에 걸고 있는 신통력있는 부적이 아니다. 하나님은 세상을 갱신시킬 뜻을 가진 창조주이시며, 그분의 백성이 협력하기를 원하신다." 라고 말한다.
또 C.S 루이스 말을 빌어 " 천국에서의 삶이 준비 되지 않는 사람은 지상에서의 삶을 위한 준비도 되어 있지 않다"라고 한다. 존 에프 케네디는 "어떤 사람들은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보면서 '왜 그런가?'라고 묻는다 그러나 그는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는 일을 꿈꾸면서' 왜 그렇게 되지 않는가?'라고 물었다" 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예수님은 세상에 대한 새로우 ㄴ비젼을 주시면서 우리로 하여금 "왜 그렇게 안되는가?"라고 물으라고 하신다.
마지막 장에서 전진하는 교회는 교회 내의 청소년, 청년들에게 많은 관심을 갖고 그들을 부흥시키는 교회가 앞으로 전진하는 교회라고 한다. 우리 교회도 청소년, 청년들에게 보다 많은 투자가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 본다.
"하나님의 통치를 거절하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받는 백성으로 산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마지막 11장과 12장에서 저자는 보다 적극적으로 우리가 변화되기를 촉구한다.
"많은 그리스도인이 세상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에 참여하지 않는 또다른 이유가 있다. 그들은 하나님을 개인적 체험 혹은 천국에 들어가기 위한 입장권으로 보는 제지도에 안주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하나님이 진실로 하나님이시라면 그분은 우리 목에 걸고 있는 신통력있는 부적이 아니다. 하나님은 세상을 갱신시킬 뜻을 가진 창조주이시며, 그분의 백성이 협력하기를 원하신다." 라고 말한다.
또 C.S 루이스 말을 빌어 " 천국에서의 삶이 준비 되지 않는 사람은 지상에서의 삶을 위한 준비도 되어 있지 않다"라고 한다. 존 에프 케네디는 "어떤 사람들은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보면서 '왜 그런가?'라고 묻는다 그러나 그는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는 일을 꿈꾸면서' 왜 그렇게 되지 않는가?'라고 물었다" 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예수님은 세상에 대한 새로우 ㄴ비젼을 주시면서 우리로 하여금 "왜 그렇게 안되는가?"라고 물으라고 하신다.
마지막 장에서 전진하는 교회는 교회 내의 청소년, 청년들에게 많은 관심을 갖고 그들을 부흥시키는 교회가 앞으로 전진하는 교회라고 한다. 우리 교회도 청소년, 청년들에게 보다 많은 투자가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 본다.
추천자료
Cobb이 본 역사와 종말
독후감-제레미 리프킨의 노동의 종말
루드비히 포이에르바하와 독일고전철학의 종말 감상문
David Koresh와 그의 종말론(eschatology)
닐 우드의 미국의 종말에 관한 짧은 에세이를 읽고
[문화의이해] 지구종말설에 대한 고찰
제레미 리프킨의 '육식의 종말'을 읽고
벌코프 조직신학 (종말론) 요약정리
루돌프 불트만 역사와 종말론
밀라드 J 에릭슨의 <종말론>
단토, <예술의 종말 이후> 를 읽고
요한계시록21:9-22:5의 새 예루살렘이 종말론적으로 완성될 교회 공동체를 상징한다는 것을 ...
데살로니가전서에 나타난 바울의 종말론
[결과] 종말 속도 측정 (Measurement of Terminal Velocit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