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의 옥중서신에 관한 소논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바울의 옥중서신에 관한 소논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바울과 종교
2. 바울과 마술(Paul and Magic)
3. 바울과 이적(Paul and Miracle): 누가의 바울과 역사적 바울
4. 맺는 말
주석

본문내용

(Aune)는 하이트뮐러(Heitmueller)로부터 다음과 같이 인용한다. “(1) 초기 기독교인들이 예수의 이름을 사용한 것은 유대교나 그레꼬 로마의 이교도인들이 강력한 이름들을 비슷하게 사용한 것과 같이 마술적 전제들을 공유하고 있다 . . . (2) 예수의 이름을 사용하였다는 공관 복음서의 첫 언급으로부터 오리겐의 때까지 이르는 전 영역에 있어서, 예수의 이름이 지니는 마술적 힘에 대한 동일한 믿음이 기독교 안에 발견된다.” Aune, \"Magic in Early Christianity,\" 1546.
45) Garrett, The Demise of the Devil, 107.
46) Ibid.
47) Helmut Koester, \"GNOMAI DIAPHOROI: The origin and Nature of Diversification in the History of Early Christianity,\" in Trajectories through Early Christianity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1), 152.
48) Jacob Jervell, \"The Signs of an Apostle,\" in The Unknown Paul: Essays on Luke-Acts and Early Christian History (Minneapolis: Augsburg Publishing House, 1984), 91.
49) Jervell, \"The Signs of an Apostle,\" 91, 94. 능력(dynamis)을 행하는 은사도 같은 한 성령이 행하시는 일이다(고전 12:9-11). 여기서 능력은 이적(miracles)이다. Conzelmann, 1 Corinthians, 209. cf. 히 2:4.
50) Aune, \"Magic in Early Christianity,\" 1553.
51) Hans Conzelmann, 1 Corinthians, Hermeneia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5).
52) Jervell, The Unknown Paul, 10. \"미지의 바울은, 바울 신학을 제시할 때 종종 묵과되는, 그의 편지들의 주변적인 진술들과 암시들 속에서 주로 발견될 수 있다. 그러나 미지의 바울이 사도행전의 묘사에서 잘 나타나는 반면에, 누가는 논쟁적인 바울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53) Ibid., \"Paul in the Acts of the Apostles: Tradition, History, Theology,\" 71.
54) Ibid., \"The Signs of an Apostle,\" 91. 각 견해를 대표하는 학자들에 대한 문헌이 소개되어 있다.
55) Ibid., 94. Aune, \"Magic in Early Christianity,\" 1548-49.
56) Ibid., 95.
57) Ibid., 94. 카리스마적 바울에 대한 참고문헌이 제시된다(Ibid., 172, n. 47). A. T. Lincoln, \"Paul the Visionary,\" NTS 25 (1979), 204-20.
58) “바울의 신학에는 성령을 소유하는 것과 ‘책임적’이어야하는 것 사이에 이상하고도 거의 설명할 수 없는 관계가 존재한다.” Dieter Georgi, The Opponents of Paul in Second Corinthians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6), 108-09.
59) Stanley K. Stowers, \"Paul on the Use and Abuse of Reason\" in Greeks, Romans, and Christians: Essays in Honor of Abraham J. Malberbe, David L. Balch, Everett Ferguson, and Wayne A. Meeks, ed.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0), 253-86. 스타우워즈는 다음과 같은 단어들을 지적한다. logismos (고후 10:4; 롬 2:15); dia logismos (롬 1:21; 14:1), logizesthai (고전 13:11; 고후 3:5; 10:2, 7; 빌 4:8), logikos(롬 12:1), nous (롬 1:28; 7:23, 25; 12:2; 14:5; 고전 14:4, 15, 19; 빌 4:7; 살후 2:2), phren (고전 14:20), phronimos(곰 11:25; 12:16; 고전 4:10; 10:15; 고후 11:19), 그리고 phronein (롬 12:3, 16; 14:6; 15:15; 고전 13:11; 고후 13:11; 빌 2:2, 5; 3:15, 1; 4:2, 10). 바울은 곳곳에서 이성과 사고와 분별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서 갈라디아서 6장 1절과 4절에 나타난 두 동사(개역에는 다 “살피다”로 번역되었다), 각각 “skopeo\"와 ”dokimazo\"는 소크라테스 전통과 연결되는 “자기 점검”(self-examination)의 행위로서 바울은 철학자의 과제를 기독교인 개개인의 과제로 삼고 있다. H. D. Betz, Galatians, Hermeneia (Phhiladelphia: Fortress, 1979), 298, 302. 헬레니즘-로마 시대의 철학이 형이상학에 국한된 사변적, 이론적 연구가 아니라, “삶의 방식”(a way of life)라는 점이 아울러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Ferguson, Backgrounds of Early Christianity, 300-01. 맬허비는 바울의 목회전략이 그리이스와 헬레니즘의 대중 철학 전통과 유사점을 지녔다고 주장한다. A. J. Malherbe, \"Paul: Hellenistic Philosopher or Christian Pastor?\" American Theological Library Proceedings 39 (1985), 86-98. 바울의 수사학적 논의 방식과 미덕/악덕 목록들, 환란 목록 등도 그가 당시의 철학 전통과 친밀하였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60) Ibid., 284.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03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