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의 중심사상을 논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엄경의 중심사상을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화엄경의 의의
2. 화엄경의 구성
3. 경의 유래와 시대적 배경
4. 전체내용
5. 주요각품과 내용
5. 화엄경의 핵심 사상정리
1) 유심(唯心)사상
2) 보살사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해서 만들어진 인공물은 물론 산천초목(山川草木)과 같은 자연물까지도 마음(心)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 하는 것은 다른 말로 표현하면 연기법(緣起法)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연기법인 마음이 一切를 만든다고 할 때의 이 마음은 능소(能所)의 이원적(二元的)인 마음이 아니라는 점이다. 마음(心)이 모든 것을 만든다고 해서 만드는 마음(能)이 있고, 만들어지는 일체(所)가 따로 있다면 그것은 유일신교(唯一神敎)에서 신이 천지를 만들었다고 하는 것과 다른 바가 없다. 이것은 불교의 근본 사상과는 거리가 먼 것이 되며, 주체(主)와 객체(客)의 一如를 주장하는 화엄사상과는 더더욱 거리가 멀어진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에서의 마음은 초월적인 절대의 유심이 아니라, 緣하여 生하면서 동시에 滅하고, 滅하면서 동시에 生하는 연기의 작용, 그 자체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하면 주(主)와 객(客)이 一如인 마음이다. 이와 같은 唯心, 즉 法은 분명히 있다. 그러나 그것은 끊임없이 생멸 변화하는 연기의 법이며, 그 법칙의 작용이기 때문에 定形의 실체(實體)가 없다. 따라서 화엄경에서는 삼계는 허망하다고 하는 공관(空觀)에서 유심을 설하고 있는 것이다.
2) 보살사상
화엄경에서의 설법내용은 주로 보살행에 대한 설법이 많다. 보살에 살펴보기로 하자. 보살이라는 말은 보리삿트바라는 말의 음역으로서 한역으로 '보살'이라고 확정한 것은 쿠마라지바(374-414)였다. 원래의 의미는 '보시를 구하고자 머무르는 유정또는 지혜를 가진 유정이라 할수 있다. 보살관념은 자기구제의 감추어진 욕구로 말미암아 불타의 삶에 관심을 갖게 되고 거기에서 자기와 동질적이라 여겨지는 성도 전의 보살로서의 해탈에 주목하므로써 고정의 하용성을 지각한 주체적 자기구현이라 할수 있다. '불타가 된 다음의 삶'에서도 자기구제의 계기를 찾고자 했다. 자기구제의 보편적 명제는 대승운동에서는 '타인의 구제에 힘쓰라'는 것으로 표현된다. 다시 말하면, 제가신자들이 그들 자신의 구제문제에 대하여 힘쓰라고 하는 요구를 객관적인 보편명제로 바꾸어,'타인을 위하여 행동하라'는 것으로 표현한 것이고 더 압축된 용어로는 이른바'이타행'으로 제시하여 지고 이것이 보살사상으로 정립되었다.
참고문헌
1.화엄경 법정스님 동쪽나라
2.불교경전의 이해 이재창 경학사
3.불교사회복지실천론 권경임 학지사
4.사회문제와 사회복지 표갑수 나남출판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0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