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930년대 민족말살정책
2. 황국신민화
1) 창씨개명
2) 내선일체
2. 황국신민화
1) 창씨개명
2) 내선일체
본문내용
지원병제도로 강제출병, 조선어교육 폐지 및 일본어 상용(常用), 1940년에는 창씨개명(創氏改名)을 강요하고, 또한 어용학자들을 동원하여 내선동조동근론(內鮮同祖同根論)을 주장하며 그들의 조상이라는 아마테라스오미카미[天照大神]의 신위를 가정마다 모셔야 한다는 양상으로 근원적인 한민족말살정책을 폈다.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 양대(兩大) 일간지를 비롯한 언론탄압 끝에 조선어로 된 출판물은 전면 강제 폐간시켰다. 한편 대륙침공의 전초 기지로서 한반도에 군수산업을 이식하여, 군수물자 생산과 자원개발에 조선인을 징용하여 공장과 광산으로 보냈다. 1940년까지만 해도 국내동원 260여 만 명, 일본 및 점령지역에 72만 명에 이르렀다. 이 무렵 일제는 이른바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이라는 대(對)아시아 침략전쟁을 합리화하기 위한 슬로건을 내걸었으며, 마침내 1941년 12월에는 진주만을 기습하여 태평양전쟁을 발발시켰다. 이런 추이 속에 1942년 5월 한반도 징병제, 1943년 8월 해군특별지원병제, 10월 학도병제 실시로 젊은이들을 대량 동원시킴으로써 민족말살정책은 극도에 이르렀다. 내선일체란 군국 일제의 전쟁야욕 성취를 위한 한민족말살정책의 대명사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1920년대 국내 민족 해방 운동
일제하 식민지기 조선과 대만의 공업정책과 민족공업에 관한 비교
1980년대 북한의 개혁.개방정책
2009년 2학기 한국경제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C형(1960년대 한국농업정책)
2008년 2학기 한국경제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C형(1960년대 한국농업정책)
[한국근현대사]1910~20년대 일제_통치와_민족운동
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일한국인, 재일한인)의 현황, 도일사, 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
[1920년대,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1920년대의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1920년대의 문화통치, 1...
[한국민족운동사] 광주학생운동(光州學生運動) - 1920년대 학생운동의 전개과정, 광주 학생운...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노동운동(노동운동의 배경과 조선 노동자들의 노동조건과 생활상...
[한국민족운동사] 1930~1945년대 농민운동 - 혁명적 농민조합운동의 등장배경과 전개, 성격, ...
[한국민족운동사] 1910년대~1920년의 농민운동 - 농민운동 전개의 배경, 소작쟁의와 수리조합...
70년대 대북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