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무급 순환 휴직 제도 도입 경향 및 의의
2. 휴업·휴직·연차 휴가 소진 등의 실무상 구별
3. 무급 휴직 실시 위한 정당성 요건
4. 노사 합의 의미 및 효력
5. 노사 합의 외에 개별 근로자 동의(신청)를 필요로 하는가
6. 무급 휴직 실시와 근로자 생계 보장의 실무상 문제
2. 휴업·휴직·연차 휴가 소진 등의 실무상 구별
3. 무급 휴직 실시 위한 정당성 요건
4. 노사 합의 의미 및 효력
5. 노사 합의 외에 개별 근로자 동의(신청)를 필요로 하는가
6. 무급 휴직 실시와 근로자 생계 보장의 실무상 문제
본문내용
노사 합의를 증명하는 서류, 근로자 휴직 동의서 및 휴직 명령부 등 휴직을 증명하는 서류 등이다.
무급 순환 휴직을 실시하려는 기업 입장에서는 근로자 생계 보장 차원에서 이러한 고용 유지 지원 제도를 적극 활용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며, 또한 정부 차원에서도 현행 휴직 수당 지원금이 근로자 생계 보장에 미흡한 만큼 고용 유지에 따른 추가적인 지원 확대 방안이 하루 속히 마련돼야 할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근로기준법 제46조 제1항에서는 “사용자의 귀책 사유로 인하여 휴업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휴업 기간중 당해 근로자에 대하여 평균임금의 100분의 70 이상의 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2) 근로기준법 제62조(연차 휴가의 대체)는 사용자와 근로자 대표와의 서면 합의로 연차 휴가일에 갈음하여 특정한 근로일에 근로자를 휴무시킬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음.
3) 근로기준법 제23조 제1항에서는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밖의 징벌을 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음.
4) 대법원 2005.2.18. 선고, 2003다63029 판결
5) 근로기준법 제24조는 정리해고의 요건 및 절차와 관련해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 해고 회피 노력, 합리적이고 공정한 대상자 선정, 과반수 노동조합 또는 근로자 대표에 50일 전 통보 및 성실한 협의를 규정하고 있음.
6) 근기 68207-780 2001.3.8.
7) 대법원 2005.3.11. 선고, 2003다27429 판결
무급 순환 휴직을 실시하려는 기업 입장에서는 근로자 생계 보장 차원에서 이러한 고용 유지 지원 제도를 적극 활용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며, 또한 정부 차원에서도 현행 휴직 수당 지원금이 근로자 생계 보장에 미흡한 만큼 고용 유지에 따른 추가적인 지원 확대 방안이 하루 속히 마련돼야 할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근로기준법 제46조 제1항에서는 “사용자의 귀책 사유로 인하여 휴업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휴업 기간중 당해 근로자에 대하여 평균임금의 100분의 70 이상의 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2) 근로기준법 제62조(연차 휴가의 대체)는 사용자와 근로자 대표와의 서면 합의로 연차 휴가일에 갈음하여 특정한 근로일에 근로자를 휴무시킬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음.
3) 근로기준법 제23조 제1항에서는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밖의 징벌을 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음.
4) 대법원 2005.2.18. 선고, 2003다63029 판결
5) 근로기준법 제24조는 정리해고의 요건 및 절차와 관련해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 해고 회피 노력, 합리적이고 공정한 대상자 선정, 과반수 노동조합 또는 근로자 대표에 50일 전 통보 및 성실한 협의를 규정하고 있음.
6) 근기 68207-780 2001.3.8.
7) 대법원 2005.3.11. 선고, 2003다27429 판결
추천자료
쟁송취소/직권취소의 구별, 행정행위의 효력및 구속력, 구성요건적 효력
판결의 기판력 이외의 효력(집행력, 형성력, 법률요건적 효력, 반사적 효력, 참가적 효력)
[사회복지제도]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이해와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행정행위의 성립과 효력
복지한국, 미래는 있는가 (이해관계자 복지의 모색)
[중소벤처기업창업]중소벤처기업창업의 개념, 중소벤처기업창업의 절차, 중소벤처기업창업시 ...
[벤처기업지원제도][벤처기업지원]벤처기업의 발전역사와 벤처기업의 특성 및 벤처기업확인제...
[육아휴직제도]육아휴직제도의 의의, 육아휴직제도의 도입경과, 육아휴직제도의 정책네트워크...
[육아휴직][육아휴직 실태][육아휴직 급여][육아휴직 장애요인][독일 육아휴직 사례][육아]육...
육아휴직제도의 개념, 법적 근거, 문제점 및 개선방향과 아동복지와의 관련성
[가족정책론] 가족친화(家族親和) 정책의 유형 - 탄력근무제도, 보육 및 돌봄 지원제도, 휴가...
[가족복지론] 모성보호제도의 개념과 출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주요내용을 설명하고 ...
모성보호제도의 개념과 출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주요내용을 설명하고 문제점 및 개선...
[가족복지론]모성보호제도의 개념과 출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주요내용을 설명하고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