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론장의 구조변동, 위르겐 하버마스
메논, 플라톤
메논, 플라톤
본문내용
알고 있는 교사가 가르쳐줘서 얻게 되는지, 실습을 통해서인지, 아니면 본래 타고나는 성품의 결과인지를 메논은 묻는다. 이에 대해 소크라테스는 우선 훌륭함, 덕 그 자체에 대한 자신의 무지를 고백하고, 메논 또한 여전히 그림자와 같이 어둡고 부분적인 앎의 수준에 불과함을 일깨움으로써, 훌륭함의 이데아에 대한 공동탐구에로 초대한다. 이것을 교사의 훌륭함으로 교사의 덕에 관한 사유로 연결지어볼 수 있다. 교사의 훌륭함에 이르는 길이 무엇인가? 훌륭한 교사로 기르는 교사교육의 방법에 대한 물음은 교육철학자로서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에서 미래의 교사를 기르는 임무를 안고 있는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와닿는 물음이다. 그런데 방법적 모색을 서두르는 우리를 돌아보면 아직 교사의 훌륭함이 무엇인지 모르는 자임을 자각하게 된다. 아직 우리는 이 시대 교사의 훌륭함이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길러지는가에 대한 참된 철학적 지혜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교사의 훌륭함과 그러한 덕을 갖춘 교사에 이르는 길에 대해 교사의 현실과 이상적 가능성을 거듭 돌이켜가면서, 그러한 과정에 우리의 통제력을 넘어선 신성한 기운의 도움이 깃들이기를 기원하며, 공동탐구의 길을 열어야 할 때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