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천신학이란 무엇인가?
2. 실천신학과 다른 신학과의 관계
3. 실천신학과 타 학문과의 관계
4. 실천신학과 교회, 실천신학과 세계와의 관계
5. 맺음말
2. 실천신학과 다른 신학과의 관계
3. 실천신학과 타 학문과의 관계
4. 실천신학과 교회, 실천신학과 세계와의 관계
5. 맺음말
본문내용
. 그렇기 위해서 소극적으로는 교회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 중에 잘못된 요소를 비판하고 한편으로는 교회의 행위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서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로서의 사명과 적극적으로는, 세상에 대한 선교의 사명과 인간의 삶의 방향까지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실천신학은 교회의 선포와 행위를 신학적으로 비판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교회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물론이거니와 방법론에서 그 적용에 이르기까지 다른 신학에 대해서 지도적 역할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실천신학이 결코 세속과 유리된 별개의 학문이 아니라 삶의 현장에서 하나님의 피조물에 대한 정신적, 물리적 제 현상을 간파하고 이에 대한 지도적 역할을 한다는 의미에서,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학문적 성과는 괄목 할만 하다. 이제 기독교의 보편적 진리가 말씀 선포의 알파와 오메가가 될 수는 없는 상황에서, 말씀신학을 극복하고 세상의 신학 다시 말하여 救贖史의 신학에서 世俗史의 신학으로 방향을 정위 하되 세계와 역사를 신학함의 자리로 긍정하고, 기독교적 진리와 기독론적 신인식을 바탕으로 한, 인간과 세계와의 개방이라는 차원에서 실천신학의 임무와 나아갈 길은 막중한 것이다.
추천자료
교회사회사업의 모형개발과 실천과제
조직신학 입문 (선포, 성례전, 목회 등)
구약 신학자 폰라드(vonRad)
자연신학(에밀 부루너, 칼 바르트)
유대인 세계의 성서해석(성경해석), 성서해석(성경해석)의 기본요소와 방법, 설교와 생태신학...
목회신학에 대하여
칼 바르트 신학의 특징, 칼 바르트 신학의 배경, 칼 바르트 신학의 인간학, 칼 바르트 신학의...
[신학][군켈][칼빈][칼뱅][루터][캅][바르트][라드][어거스틴]헤르만 군켈의 신학, 존 칼빈(...
요약-개혁주의 예배 신학과 한국 교회의예배의 미래
조직신학의 정의와 임무
조직신학-그리스도론(A+)
<간추린 신약 신학> 전체 요약과 느낀점 _ 토마스 R. 슈라이너 저
[신약신학] <간추린 신약신학> 요약 _ 토마스 R. 슈라이너 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