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BoA의 6시그마 도입 배경
2. BoA의 6시그마 도입 과정
3. BOA의 6시그마 전략 도입의 특징
6시그마 도입의 성과
참고자료
2. BoA의 6시그마 도입 과정
3. BOA의 6시그마 전략 도입의 특징
6시그마 도입의 성과
참고자료
본문내용
6시그마 도입의 성과
BOA에서 6시그마의 실행 및 관리는 Q&P(Quality and Productivity)본부에서 담당하고 있다. 6시그마의 도입을 통해 BOA에서 거둔 성과는 크게 두가지 부분으로 요약할수 있다.
첫째는 재무성과 부문이다. 2005년 9월 BOA측의 자료를 보면 6시그마를 통한 2005년 재무성과 목표를 15억 달러이고, 상반기 현재 7억 5천만 달러를 달성하고있다.
둘째 성과는 6시그마의 혁신 지향적 문화를 조직의 문화로 정착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최고경영자에서부터 말단직원에 이르기까지 6시그마 교육을 통해 혁신 지향적인 마인드를 갖게 되었고, 6시그마에서 사용되는 툴 및 용어의 이해를 통해 전사원이 공유하는 핵신 인자, VOC, CTQ, 파레토, DMAIC 등의 6시그마 용어들이 전사 공용어로 사용되면서 의사소통이 훨씬 더 간소화 되었다는 것이다.
최근 Fleet Boston 은행과의 합병과정에서도 6시그마는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었따. 그 동안 합병의 과정에서 BOA는 두 은행 중 어느 쪽의 프로세스를 사용할 것인가에 대해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단지 최고겅영진이 임의적으로 판단해 결정하였다. 예를들면 인수은행의 프로세스가 우위에 있을 것이라는 경영진의 직관으로 합병 후 프로세스를 선택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6시그마를 도입하면서 이와같은 상황은 완전히 달라지게 되었다. 두 은행이 합병을 했을 때 상대 은행이 6시그마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라면 먼저 상대 은행 직원들에세 6시그마 교육을 시키고 양행의 프로세스를 동일한 기준을 가지고 비교해 우위에 있는 프로세스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합병시 감정개입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BAO는 인수, 합병 전의 기본 은행에 남아있던 비효율적 측면의 조직문화를 극복할 수 있는 공통의 포괄적인 언어체계인 6시그마를 통해 조직내에 잔존한 장벽을 극복할 수 있었고, “우리가 하는 방식은 당신네 방식과 틀리기 때문에 우리 것을 고집하겠다”는 단순 이기주의를 극복함으로써 우수한 프로세스를 채용하는 성과를 올릴 수 있었다.
<표> BOA의 주요 프로젝트 성과
프로젝트 명
프로젝트 성과
지점들의 일일 현금균형 감소
100만 달러 절감
신입직원 업무배치 비용 감소
130만 달러 절감
온라인 뱅킹 고객만족도 향상
고객만족도 향상
고객 이탈률 감소
780만 달러의 수익창출
부동산 담보대출 시간 단축
110만 달러의 수익창출
카드마케팅 주기 단축(분기-월간)
690만 달러의 수익창출
신입사원 영업성과 향상
200만 달러의 수익창출
메인프레임 작업부담 균형화
480만 달러 절감
PB 신탁자산 유지율 향상
126만 달러 향상(연간)
출처 - 자료 : Will Wade. "BOA Touts 6 Sigma's Bottom - Line Benefits",
America Banker. Vol.169(144), 2004.7.
서비스 이노베이션 엔진 6시그마(삼성경제연구소) 재인용
구글> img.shinhan.com/cib/ko/data/FSB_0604_11.pdf
BOA에서 6시그마의 실행 및 관리는 Q&P(Quality and Productivity)본부에서 담당하고 있다. 6시그마의 도입을 통해 BOA에서 거둔 성과는 크게 두가지 부분으로 요약할수 있다.
첫째는 재무성과 부문이다. 2005년 9월 BOA측의 자료를 보면 6시그마를 통한 2005년 재무성과 목표를 15억 달러이고, 상반기 현재 7억 5천만 달러를 달성하고있다.
둘째 성과는 6시그마의 혁신 지향적 문화를 조직의 문화로 정착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최고경영자에서부터 말단직원에 이르기까지 6시그마 교육을 통해 혁신 지향적인 마인드를 갖게 되었고, 6시그마에서 사용되는 툴 및 용어의 이해를 통해 전사원이 공유하는 핵신 인자, VOC, CTQ, 파레토, DMAIC 등의 6시그마 용어들이 전사 공용어로 사용되면서 의사소통이 훨씬 더 간소화 되었다는 것이다.
최근 Fleet Boston 은행과의 합병과정에서도 6시그마는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었따. 그 동안 합병의 과정에서 BOA는 두 은행 중 어느 쪽의 프로세스를 사용할 것인가에 대해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단지 최고겅영진이 임의적으로 판단해 결정하였다. 예를들면 인수은행의 프로세스가 우위에 있을 것이라는 경영진의 직관으로 합병 후 프로세스를 선택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6시그마를 도입하면서 이와같은 상황은 완전히 달라지게 되었다. 두 은행이 합병을 했을 때 상대 은행이 6시그마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라면 먼저 상대 은행 직원들에세 6시그마 교육을 시키고 양행의 프로세스를 동일한 기준을 가지고 비교해 우위에 있는 프로세스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합병시 감정개입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BAO는 인수, 합병 전의 기본 은행에 남아있던 비효율적 측면의 조직문화를 극복할 수 있는 공통의 포괄적인 언어체계인 6시그마를 통해 조직내에 잔존한 장벽을 극복할 수 있었고, “우리가 하는 방식은 당신네 방식과 틀리기 때문에 우리 것을 고집하겠다”는 단순 이기주의를 극복함으로써 우수한 프로세스를 채용하는 성과를 올릴 수 있었다.
<표> BOA의 주요 프로젝트 성과
프로젝트 명
프로젝트 성과
지점들의 일일 현금균형 감소
100만 달러 절감
신입직원 업무배치 비용 감소
130만 달러 절감
온라인 뱅킹 고객만족도 향상
고객만족도 향상
고객 이탈률 감소
780만 달러의 수익창출
부동산 담보대출 시간 단축
110만 달러의 수익창출
카드마케팅 주기 단축(분기-월간)
690만 달러의 수익창출
신입사원 영업성과 향상
200만 달러의 수익창출
메인프레임 작업부담 균형화
480만 달러 절감
PB 신탁자산 유지율 향상
126만 달러 향상(연간)
출처 - 자료 : Will Wade. "BOA Touts 6 Sigma's Bottom - Line Benefits",
America Banker. Vol.169(144), 2004.7.
서비스 이노베이션 엔진 6시그마(삼성경제연구소) 재인용
구글> img.shinhan.com/cib/ko/data/FSB_0604_11.pdf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