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교육사회학과 교육학
2. 뒤르껭의 교육학
3. 기능이론
4. 갈등이론
5.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 가능성에 대한 기능이론에 대한 비판
6.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 가능성에 대한 갈등이론에 대한 비판
참고문헌
2. 뒤르껭의 교육학
3. 기능이론
4. 갈등이론
5.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 가능성에 대한 기능이론에 대한 비판
6.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 가능성에 대한 갈등이론에 대한 비판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향이 있다. 또한 기존학교제도의 문제점을 들어내었지만 그에 대한 대한의 제시가 불충분한 것이 갈등이론이 갖는 결함이라 할 수 있다. 갈등이론은 교육체계의 내용을 분석하지 않음으로써 급진적 교육정치학 이론의 출현을 저해했고, 따라서 만족할만한 교육변동이론이 발전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그들이 내세운 계급재생산의 문제에 있어서도 이런 문제를 언급하지 않음으로써 갈등이론이 갖는 약점이 되었다. 따라서 학교교육의 내용에 대한 이런 상대적인 무시는 역시 기능주의와 같이 노동자 계급의 교육가능성이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결과를 안고 있다. Bowles 와 Gintis 의 경제 재생산이론은 다음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실증주의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방법론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그들이 통계적 방법으로 미국의 교육이 불평등하다는 것과 교육의 기회가 본질적으로 인종이나 부모의 경제수준에 달려 있다는 것 그리고 학생들이 학교의 사회적 질서에 동조하는 정도에 따라 보상을 받는다는 것을 밝혀냈으나 현재 연구의 가치가 통계적인 방법을 몰가치적이고 중립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는 실정에서 자료를 이해하기 위해서 이론적 판단이나 해석이 필요하며 해석이 상식이나 묵시적인 가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그들은 간과하고 있는 사실이다. 또한 그들은 인간을 너무 수동적인 존재로 본 것이다. 그들은 행위자들이 언제나 수동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젊은이들은 지배. 복종의 사회적 관계에 적응해야만 하는 것으로 여겨서 인간은 자기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사회가 인간을 현재의 모습으로 만들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하여 너무나 사회화의 모델에 빠져있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은 학교내외에 존재하는 계급문화나 노동계급의 역동성, 여성해방 같은 복잡한 문제에는 관심을 두지 않아 이런 문제에 대한 이론화가 부족하다. 따라서 그들은 기능이론과는 약간의 차이를 가지지만 기능이론이 가지는 사회화의 내용을 근본적으로 부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들의 대응이론은 너무나 경제 결정론 적이어서 교육이 일어나고 있는 교육적 과정을 무시하여 교육의 결과와 사회적 위치와의 밀착된 관계만을 주시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간의 서로의 관계와 재생산 여부에는 소홀히 한 점이 지적될 수 있다.
참고문헌
『교육사회학』김신일. 교육과학사
『교육사회학 총론』이종각. 동문사
『학교와사회』W.파인버그·J.F.솔티스/고형일·이두휴 옮김. 풀빛
참고문헌
『교육사회학』김신일. 교육과학사
『교육사회학 총론』이종각. 동문사
『학교와사회』W.파인버그·J.F.솔티스/고형일·이두휴 옮김. 풀빛
추천자료
교육사회학-기능주의,갈등론적교육이론비교,개혁,학습욕구이론
신교육사회학과 신교육사회학의 본질과 비판
1장 교육사회학적 성찰:삶과 교육, 역사의 현장에서
교육사회학 : 교육의 개념
교육사회학-사교육
교육사회학 과제, 대학 교육행정의 문제점, 교직과정운영(행정부분, 홈페이지)
[교육사회학]문화와 교육
교육사회학 「교육평등론」 개념이해와 내용정리
교육사회학의 관점 - 기능주의, 갈등주의, 해석학적 이론으로 나누어 조사 (사회관과 교육관)
[교육사회학]‘대학교육에서 기회균형선발제의 근거와 쟁점’을 읽고
[교육사회학] 마르크스적 재생산 이론에 대해서 조사하여 보고 우리나라 교육현실과의 관계성...
교육사회학]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에 관해 논하시오
교육사회학)신자유주의와 교육정책에 대하여 조사하여 쓰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