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와 한국의 비교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랑스와 한국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국어운동의 시작과 그 배경
2. 주체세력의 형성과 국어운동의 동기
3. 저항세력의 형성과 그 동기
4. 국어운동의 방법과 전개과정
5. 국어운동의 목표와 성과
6. 국어의 세계화를 위한 전망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과의 경쟁이다.
'롱종'이 말했던 것처럼, 말글은 정치적 지배의 연모다.
이 정치적 지배는 남의 겨레를 지배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 겨레 스스로를 잘 다스리려는 것이다. 왜냐하면 말글의 통일은 겨레의 동질성을 찾는 첩경이 되기 때문이다. 말글은 문화의 핵심이다. 그러므로 우리 겨레의 문화를 만들어 내는 일은 바로 이 말글을 잘 가꾸는 일로부터 시작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유엣에이/브리튼/프랑스/도이치란트/이탈리아/스페인 등 유럽의 선진국들이 바로 그 좋은 보기)들이다. 어느 나라이든지 간에 통일된 문자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고유의 문화를 창조해 나갈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하고 자랑스러운 일이겠는가
Ⅲ. 결론
프랑스어는 17세기에 그 근본체계가 모두 정립되었다. 다시 말해서, 전반적인 발음, 동사 및 명사와 대명사의 형태, 단문과 복문의 구성, 전문적인 용례 외에 기본 어휘 등의 구조가 모두 체계화된 것이다. 그렇다면, 프랑스 국어운동의 목표는 무엇이었던가? '마르셀 코엥'은 그의 '프랑스어 역사'란 책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모든 사람들이 올바른 프랑스어를 배울 수 있게 되었을 때, 프랑스어에 의한 프랑스의 정복이 끝이 났다.
라틴어는 점점 덜 사용되어 교과과목의 하나에 불과하게 되었고 대부분의 지식인들도 라틴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별 어려움이 없이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
즉, 그것은 한마디로 '프랑스어 올쓰기 '이었다.
마찬가지로, 한국의 국어운동의 목표 역시 이와 다른 것이 될 수 없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한글알파벳과 겨렛말만으로도 모든 문화생활을 충분히, 그리고 아름답게 누리는 데에 있다. 우리들이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일도 그 후의 일이 되어야 할 것이다. 문화의 흐름, 아니 나라들 상호간의 문화적 교류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라틴의 문화가 이탈리아를 거쳐서 프랑스로 이전되었던 것처럼, 이 문화적 흐름이 다시 한국이나 혹은 어떤 다른 나라로 유입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이치일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들은, 우리들이 기대하고 있는 문화적 흐름이 어떤 특별한 계기나 어떤 집단의 집결된 노력이 없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는 생각지 않는다. 프랑스의 문학가들이 생각했던 '베낌(모방) 의한 애짓나래(창조)'는 문화 교류의 보편적 개념이다. 우리 겨레가 창조해 낸 한글은 세계적으로 가장 우수한 문자체계들 중의 하나이다. 이제 우리에게 남아 있는 과제는 이것을 어떻게 '지키고 북돋구어 빛나게 만들 것이냐'에 있다.
참고문헌
강길운, 『국어사정설』, 영설출판사, 1993.
강신항,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1983.
강신항,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출판부, 1999.
김무식, 『국어학 자료의 이해와 실제』, 경성대출판부, 1998.
김민수, 『국어정책론』, 탑출판사, 1973.
김민수, 홍종선 외, 『외국인의 한글연구』, 태학사, 1997.
김병제, 『조선어학사』, 탑출판사, 1989.
김형규, 『국어사 연구』, 일조각, 1983.
김형길, 「프랑스 플레이야드 학파의 국어운동」, (In)『프랑스학 연구』, 제15권, 1997.
바르트 부르크, 『프랑스어 발달사』, 하서출판사, 1991.
박병채, 『국어발달사』, 세영사, 1989.
박양춘,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69.
변광수, 『세계주요말글』, 한국외대출판부, 1993.
이근수, 『조선조의 어문정책연구』, 고려대대학원, 1978.
이기문, 『국어사 개설』, 탑출판사, 1979.
이숭녕, 『중세 국어문법』, 을유문화사, 1981.
이철수, 『한국어사』, 개문사, 1995.
허동진, 『조선어학사』, 한글학회, 1998.
허웅, 『말글학 개론』, 정음사, 1963.
Balmas E., Litterature francaise, Paris, Arthaud, 1974.
Brunot F., Histoire de la langue francaise, Paris, Armand Colin, 1967. vol. 1-
Chaurand J., Nouvelle histoire de la langue francaise, Paris, Seuil, 1999.
Du Bellay, La Defense et illustration de la langue francaise, Paris, Nelson, 1936.
Hollier D., De la litterature francaise, Paris, Bordas, 1989.
Lagarde & Michard, Collection litteraire, XVIe siecle, Paris, Bordas, 1970.
Lanson G., Histoire de la litterature francaise, Paris, Hachette, 1979.
Longeon C., Premiers combats pour la langue francaise, Paris, Poche, 1989.
Marchello-Nizia C., L'evolution du francais, Paris, Armand Colin, 1995.
Ministere des Affaires Etrangeres, Une politique pour le francais, Paris, adpf, 1996.
Picoche J. &Marchello-Nizia C., Histoire de la langue francaise, Paris, Nathan, 1994.
Rickard P., A history of french language, London, Routledge, 1993.
Ronsard P., Oeuvres completes, La Franciade, Paris, Nizet, 1983.
Sancier-Chateau A., Introduction a la langue du XVIIe siecle, Paris, Nathan, 1993.
Tritter J. L., Histoire de la langue francaise, Paris, Ellipses, 1999.
Walter H., Le francais dans tous les sens, Paris, Robert Laffont, 1988.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47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