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DCOUNT함수
2. COUNTIF함수
2. COUNTIF함수
본문내용
함수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함수의두번재 인수인field는 숫자로 입력된 데이터 목록의 열의 번호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field를 1로 입력했을 때 0명으로 산출되는 이유는 데이터베이스의 첫번째 열에 입력된 데이터 목록은 숫자가 아닌 일반 문자나 텍스트로 입력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림 17-3]은 주어진 표에서 성과금이 300,000원 이상인 사람의 수를 DCOUNT함수를 이용해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므로, DCOUNT함수의 두번째 인수인 field는 성과금에 대한 데이터 목록을나타낸 3번째 열이 되어야한다.
[그림 17-2]와 [그림 17-3]과 같이 입력하면 [그림 17-4]와 같이 각각의 결과가 산출된다.
[그림 17-4] DCOUNT함수 산출 결과
2. COUNTIF함수
이제, COUNTIF함수에 대하여 알아보자. 먼저, COUNTIF함수의 인수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COUNTIF(range, criteria)
range : 개수를 산출할 셀 범위 (단, 빈 셀은 산출 되지 않음)
criteria : 개수를 산출할 때 적용할 조건
COUNTIF함수의 인수에 대하여이해를 하였으면 [그림 17-1]과 동일한 데이터임 [그림 17-5]의 공란에 직위가"사원" 인 사람의 수와성과금이 "300,000원 이상" 인 사람의 수를 계산해보자.
[그림 17-5] 임의의 회사에 근무하는 회사원들의 지급 예정 급여
[그림 17-6]와 [그림 17-7]은 각각 특정 항목에 대한 조건과 수식으로 주어진 조건에 대하여 조건을 충족하는 셀들의 개수를 구하기위해 COUNTIF함수의 수식을 입력하는 과정이다.
그런데, COUNTIF함수의 수식 입력 과정을 보면 DCOUNT함수와 달리 단조로운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COUNTIF함수의 인수는 2개가 전부이고, DCOUNT함수는 데이터베이스 함수로 함수를 적용할 범위가 표 전체 혹은 특정 데이터베이스가 되지만, COUNTIF함수는 표나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데이터 목록 범위이기 때문이다.
[그림 17-6] COUNTIF함수의 수식 입력 과정 (1)
[그림 17-7] COUNTIF함수의 수식 입력 과정 (2)
끝으로, [그림 17-6]과 [그림 17-7]과 같이 수식을 입력하면 그 결과는 DCOUNT로 산출한 결과와 동일하게 [그림 17-8]이 나온다.
[그림 17-8] COUNTIF함수 적용 결과
그러나, [그림 17-3]은 주어진 표에서 성과금이 300,000원 이상인 사람의 수를 DCOUNT함수를 이용해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므로, DCOUNT함수의 두번째 인수인 field는 성과금에 대한 데이터 목록을나타낸 3번째 열이 되어야한다.
[그림 17-2]와 [그림 17-3]과 같이 입력하면 [그림 17-4]와 같이 각각의 결과가 산출된다.
[그림 17-4] DCOUNT함수 산출 결과
2. COUNTIF함수
이제, COUNTIF함수에 대하여 알아보자. 먼저, COUNTIF함수의 인수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COUNTIF(range, criteria)
range : 개수를 산출할 셀 범위 (단, 빈 셀은 산출 되지 않음)
criteria : 개수를 산출할 때 적용할 조건
COUNTIF함수의 인수에 대하여이해를 하였으면 [그림 17-1]과 동일한 데이터임 [그림 17-5]의 공란에 직위가"사원" 인 사람의 수와성과금이 "300,000원 이상" 인 사람의 수를 계산해보자.
[그림 17-5] 임의의 회사에 근무하는 회사원들의 지급 예정 급여
[그림 17-6]와 [그림 17-7]은 각각 특정 항목에 대한 조건과 수식으로 주어진 조건에 대하여 조건을 충족하는 셀들의 개수를 구하기위해 COUNTIF함수의 수식을 입력하는 과정이다.
그런데, COUNTIF함수의 수식 입력 과정을 보면 DCOUNT함수와 달리 단조로운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COUNTIF함수의 인수는 2개가 전부이고, DCOUNT함수는 데이터베이스 함수로 함수를 적용할 범위가 표 전체 혹은 특정 데이터베이스가 되지만, COUNTIF함수는 표나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데이터 목록 범위이기 때문이다.
[그림 17-6] COUNTIF함수의 수식 입력 과정 (1)
[그림 17-7] COUNTIF함수의 수식 입력 과정 (2)
끝으로, [그림 17-6]과 [그림 17-7]과 같이 수식을 입력하면 그 결과는 DCOUNT로 산출한 결과와 동일하게 [그림 17-8]이 나온다.
[그림 17-8] COUNTIF함수 적용 결과
키워드
추천자료
쥬르뎅, 형식적 고착, 메타인지적 이동, 교수학적 변환의 예를 찾으시오.
[전자상거래][EC]전자상거래(EC)의 보안기술과 정보안전 및 활용 전략과 향후 전망 분석(전자...
[블루투스]블루투스의 역사, 블루투스의 발달, 블루투스의 특징, 블루투스의 이점과 블루투스...
원격교육을 바탕으로 평생학습 사회를 촉진하기 위한 원격교육 활용방안
국어교육과정) 8-말-(1) 매체 활용하여 공식상황 말하기
[글로벌에티켓] 아랍과 연결된 에티켓 활용방안
환경가치평가 - CVM을 중심으로 (CVM 간단 체험!, 설문조사, CVM 탐구, CVM의 과정, CVM의 활...
[교대] 초등학교 수학 - 기하판과 활용방안에 대해서
[퍼지][퍼지이론 활용][퍼지화][퍼지로직 사례][퍼지 설계방법][퍼지의 전망]퍼지 분류, 퍼지...
[기업인식조사][아웃소싱][전자상거래]아웃소싱에 대한 기업인식 조사, 인터넷 전자상거래에 ...
빅데이터(BIGDATA) 개념분석과 현황분석 및 빅테이터의 기업 분야별 활용방안과 사례분석 및 ...
빅데이터분석,정의,개념,특징,분석,활용,장정,단점,나의의견
[공공데이터] 공공데이터의 유형, 활용사례 및 활성화 방안 분석
[멀티미디어개론]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와 특징 그리고 멀티미디어 구성요소와 활용분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