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반두라의 관찰학습 주요개념
2. 반두라의 관찰학습의 과정
3. 관찰학습의 일상에서 적용의 예
4. 반두라의 관찰학습에 대한 시사점 및 이론의 장단점
참고문헌
2. 반두라의 관찰학습의 과정
3. 관찰학습의 일상에서 적용의 예
4. 반두라의 관찰학습에 대한 시사점 및 이론의 장단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개 학습자의 자기규제체제와 효능감을 발달시키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andura는 환경적인 힘이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해 상당한 공헌을 하였다. 또 학교 교육을 위한 중요한 공헌은 강화와 처벌에 대한 자세한 기술 부분이다. 처벌이나 처벌의 부재는 대리적 강화와 마찬가지로 작용하며, 둘 다 실제 교실 상황에서 나타난다. 아마도 이론의 가장 중요한 공헌은 매스미디어로부터 학습되는 행동과 태도의 범위를 명확히 규정해 냈다는 점일 것이다. 사회에서 증가되는 폭력과 공격성의 표출이 사회학습 이론에서 설명된 관찰학습 개념으로 설명되어진다.
참고문헌
이용남 외, 신교육 심리학, 학지사, 2004
이인정 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 2006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론, 학지사, 2003
참고문헌
이용남 외, 신교육 심리학, 학지사, 2004
이인정 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 2006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론, 학지사, 2003
추천자료
행동주의적접근(왓슨,반두라)
강화에 대한 행동주의 입장과 반두라의이론을 비교
강화에 대한 행동주의 입장과 반두라의이론을 비교
강화에 대한 행동주의 입장과 반두라의이론을 비교
[인행사] 반두라 관찰학습 (개인적용사례)
에릭슨과 피아제의 비교와 반두라
2014년 2학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시험과제물 C형(반두라 이론의 특징과 장단점)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반두라(Bandura)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 타인의 관찰에 ...
2015년 2학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시험과제물 C형(반두라 이론의 특징과 장단점)
방통대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행사 유아교육 C 반두라
[관찰학습이론] 반두라의 관찰학습이론 - 관찰학습의 개념과 특성, 교육적 시사점
2016년 2학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시험과제물 C형(반두라 이론의 주요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