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는 “땅이 무르면 진동을 흡수해 더 안전하지 않은가? 건물이 반드시 땅에 고정 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건물은 떠 있으면 안 되는가?\"라고 역설하였고, 그의 주장은 제국 호텔이 1923년 일본 관동 대 지진을 견디어 냄으로써 입증되었다. 그러니 배처럼 떠 있는 건축물도 불가능하진 않으리라 생각된다.진동주기를 구하는 공식 f=(1/2π)√(K/M)주1 에 따르면 건물이 무거울 때 진동주기가 짧아져 덜 흔들리게 된다. 지진이라는 적의 공격에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내진이나 면진은 수동적인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적의 공격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대응하여 지진의 진동에 반대방향으로 건물을 움직이도록 하는 능동적인 방법도 있다. 이를 제진이라 한다.제진은 진동의 반대방향으로 건물을 움직여 지진의 충격을 상쇄시키는 방법이다. 제진의 방법으로 힘을 발생시키느냐 감소시키느냐에 따라 소극적 방법과 좀 더 적극적인 방법으로 나뉜다. 즉, 구조물에 입력되는 지반진동과 구조물의 응답을 계산하여 이와 반대되는 방향의 제어력을 인위적으로 구조물에 가하거나, 입력되는 진동의 주기성분을 즉각적으로 분석하여 공진을 피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진동특성을 바꾸는 것이다. 예컨대, 진동이 발생하면 건물에 부착된 무거운 물체 TMD 주2 나 물 TLD 주3 이 건물의 진동주기와 같은 주기로 흔들려 진동을 제어하는 방법이 소극적 제진방법이라면, 진동이 발생하면 센서를 통해 컴퓨터에 전달되고 컴퓨터가 건물에 부착된 무거운 물체를 액츄에이터(actuator)로 움직이도록 하는 방식(AMD 주4)이 적극적 제진방법이다. 이 경우 TMD의 질량 추 무게는 건물 중량의 1/300 이상이 보통이며, 컴퓨터에는 지진시 질량 추의 움직임 판단을 위해 건축물 주변의 지진데이터나 건물의 고유진동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최상의 공격이 방어일 수가 있으며, 공격과 방어가 조화를 이루어야 할 때가 있다. 이처럼 설계자도 설계할 때 내진설계의 세 가지 방법을 건물의 층수ㆍ용도(전망대 탑 또는 다리)ㆍ구조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혹은 복합적으로 사용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3층 이상에만 건축물에 내진설계가 의무화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도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기 때문에 최소한으로 규정된 법에 얽매이거나 중국과 같이 경제성의 논리로 내진설계를 회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대형 건축물의 내진 설계에만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소형건축물의 내진에도 세심한 주의와 관심을 가져야겠다.
지진의 진동을 막아주는 적층고무
과학향기 제 767 호/2008-06-04] 이재인 어린이건축교실운영위원
주1) f=(1/2π)√(K/M) (f:진동주기(Hertz), K:딱딱함 정도, M:하중), 스프링 상수(M) 값에 의한 이론적인 진동수 값주2) TMD (Tuned Mass Damper) : 동조 질량 댐퍼주3) TLD (Tuned Liquid Damper) : 동조 액체 댐퍼주4) AMD (Active Mass Damper) : 능동 질량 댐퍼
지진의 진동을 막아주는 적층고무
과학향기 제 767 호/2008-06-04] 이재인 어린이건축교실운영위원
주1) f=(1/2π)√(K/M) (f:진동주기(Hertz), K:딱딱함 정도, M:하중), 스프링 상수(M) 값에 의한 이론적인 진동수 값주2) TMD (Tuned Mass Damper) : 동조 질량 댐퍼주3) TLD (Tuned Liquid Damper) : 동조 액체 댐퍼주4) AMD (Active Mass Damper) : 능동 질량 댐퍼
추천자료
건축물[에펠탑,죠지 워싱턴 현수교,휴스텀 아스트로돔,시드니오페라하우스,캐나다 플래스,종...
도급건축물의 소유권
건축물로 본 고대 서양사
건축물 감상문
[공학/컴퓨터/통신] 건축물의 지구온난화 대책 및 환경부하의 최소화 기법에 관하여
건축물의 지구온난화 대책 및 환경부하의 최소화 기법에 관하여
우리나라 건축물(표지포함)
두바이 건축물에 관하여
건축물 벽면녹화의 이론과 실무(친환경건축)
친환경 건축물 서울 중앙 우체국
최고층 건축물[버즈 두바이]
초고층건축물조사
건축물 해체공법
복합 건축물 국내 해외 사례 (DDP, COEX, 바비칸 센터, 센다이 미디어 테크)
소개글